•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심근경색증·뇌졸중, 시간이 생명이다!”

-원인이 되는 생활습관 요인 및 선행질환 관리는 여전히 미흡하고-

-증상 발생 후 빠른 치료가 관건이나, 병원도착시간은 개선되지 않아-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929세계 심장의 날을 맞아 심뇌혈관질환의 심각성과 예방·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국민들에게 권고하였다.

 

* 세계 심장의 날(9.29)은 세계심장협회(World Heart Federation)가 지정한 기념일로 심혈관질환의 발병 원인 및 예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하였다.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연간 50,803, 전체 사망의 약 20%, 사회경제적 질병부담이 크다.

 

심장질환 사망률은 OECD국가 평균보다는 낮지만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뇌혈관질환 사망률은 감소 추세이나 여전히 OECD 국가 평균을 상회

 

* (’13년 인구 십만 명당 사망률/사망자 수) 심장질환 50.2/25,358, 뇌혈관질환 50.3/25,445

 

순환기계 질환 진료비는 61천억 원으로 암 진료비 41천억 원보다 높음

 

그러나,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은 전반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현재 흡연자 850만 명, 성인 남성 흡연율은 여전히 40% 이상

 

고위험 음주자 440만 명, 성인 35.8% 1회 이상 폭음

 

성인의 신체활동 실천율 지속적 감소,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증가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선행질환인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의 적정 관리수준 또한 미흡하다.

 

한편,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은 증상 발생 즉시, 재관류 치료가 가능한 전문 의료기관을 내원해야 하나, 병원도착시간은 아직까지도 골든타임(golden time) 보다 상당히 지연되고 있으며, 후유증으로 인한 사망률과 재발률도 증가 추세에 있다.

 

뇌졸중 환자 중 권장 시간인 3시간 이내 도착하는 경우는 전체 환자 중 50% 미만

 

질병관리본부는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첫째, 9대 생활 수칙을 준수하고(붙임 1),

 

둘째, 심뇌혈관질환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시간이 생명이므로 지체 없이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가까운 큰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또한, 국민들이 생활수칙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여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붙임 2).

 

[보건복지부 2015-09-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04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 “고소장 반려 시 고소인의 동의 여부 명확히 확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6 20
10303 국민권익위, “공익사업을 위해 수용하고 남은 토지가 원래 목적대로 사용이 어렵다면 지자체가 매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6 30
10302 전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5 26
10301 “고용.산재보험 과오납금 찾아가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5 21
10300 2021년 당신에게 꼭 맞는 섬을 추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23
10299 열린어린이집 정보 이제 쉽게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22
10298 7월 1일부터 해외 예방접종 완료자는 국내 입국 시 격리면제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18
10297 코로나19 피해 취약 개인채무자는 2021년 12월말까지 가계대출 원금 상환유예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19
10296 14일부터 항공기내 반입 금지물질 운영기준이 완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21
10295 온라인으로 아세트아미노펜 해열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22
10294 돈가스, 햄버거패티 등 제조업체 안전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21
10293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유지(수도권 2, 비수도권 1.5단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34
10292 비대면 간편 자격확인, 지자체에서 확대 운영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0 21
10291 ‘토스’, ‘위하고’ 앱에서도 전자증명서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0 37
10290 가공식품, 당류 및 나트륨 저감화 노력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0 17
Board Pagination Prev 1 ...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