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삶의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 연락주세요
더 이상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 곁엔 1393
- 보건복지부, 언제․어디서나 상담 가능한 자살예방 전문상담전화 개통(12.27)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언제․어디서나 자살 관련 상담이 가능한 자살예방 전문 상담전화(1393)를 12월 27일 09시부터 개통한다고 밝혔다.

  ○ 자살예방 전문 상담번호(1393) 운영은 올해 초 수립․추진 중인 「자살예방국가행동계획」의 과제로서 적극적 상담 및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를 강화하여 자살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진된다.

  ○ 그 동안 자살예방상담전화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별적으로 운영되어 전화연결이 되지 않거나 인지도가 낮은 점 등 다소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으나, 자살예방 전문 상담번호를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 지자체별 상담인력이 많지 않고(1~2명) 상담․사례관리를 위한 시스템(CTI: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을 갖춘 지역도 소수(서울, 경기, 광주, 제주)
□ 앞으로는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이나 주변에 자살이 염려되는 친구, 가족, 동료가 있는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1393)로 연락하면 상담 등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 자살예방상담전화는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정보제공․연계 뿐 아니라 전화상담을 하는 동안 통화자의 자살의도, 무망감(無望感),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키는 자살 예방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전국 245개(광역 16개, 기초 229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우울증, 자살시도자, 자살유족 등 자살위험군에 대한 상담 및 사례관리, 의료기관 연계 역할 수행

  ① 첫째, 자살시도 전 응급상황에서 번호를 쉽게 기억하고, 신속히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4자리 특수번호(1393)로 운영된다.

   - 기존 지자체가 운영하는 8자리 전화번호는 인지도가 낮고 기억하기 어려워 앞으로는 4자리 특수번호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② 둘째, 보건복지상담센터의 기존 인력을 활용하여 상담에 대한 노하우(Knowhow)․전문성을 보완하고 자살예방상담 전문인력을 채용하여 수신율을 제고한다.

   -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건복지상담센터 내 위기대응상담팀에서 자살예방상담 전문인력을 채용하여, 자살예방상담전화(1393)를 운영한다.

  ③ 전문상담인력(정원 26명)과 상담 이후 사례관리, 112 등 긴급출동․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등을 위한 운영체계를 갖춘다.

□ 자살예방상담전화(1393) 번호 및 기능은 개통일인 12월 27일에 맞춰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지역별 홍보를 추진하고 전국 대도시 중심의 옥외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 KTX(전광판), 버스, 지하철(스크린도어, 지하철 내부), 시외버스(역사) 등

  ○ 또한 상담전화 인지도 등을 분석하여 추가 홍보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장영진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자살상담전화는 자살예방 및 자살률 감소를 위한 비용대비 효율성이 높은 사업*으로, 이번에 도입되는 1393 자살예방상담전화가 앞으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 Preventing suicide – a global imperative -,  WHO 자살예방 보고서

  ○ “향후 언론 등에서도 자살보도 권고기준*에 따라 자살 예방 정보 제공 시 1393 자살예방상담전화 안내를 포함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전했다.

     * 자살사건에 대한 언론보도 시 구체적인 도구, 장소, 동기를 보도하지 않는 등 언론이 준수해야할 5가지 보도 원칙

 


[ 보건복지부 2018-12-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40 Next 후드 재킷, 장식으로 인한 부상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19.01.31
2539 르노삼성자동차(주) XM3 차량 발전기 커버 미장착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05.22
2538 추석 연휴, 주택화재 발생에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09.23
2537 처방약 성분 함유하여 피부 자극 위험 있는 MAKARI 미백 크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11.23
2536 종합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12.31
2535 신분증,카드번호 등 개인(신용)정보를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2.05
2534 유치원, 어린이집 등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12.11
2533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Malabar Black Peppercorns 통후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1.29
2532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7.28
2531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EleksMaker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2.09
2530 과기정통부,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랜섬웨어) 침해사고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2.09
2529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Zaini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4.01
2528 프탈레이드 과다 함유로 어린이 건강 위험있는 Ohuhu 어린이 악기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4.04
2527 부품 탈락해 질식 위험 있는 B.toys 유아용 보행기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5.04
2526 라벨 미표기 참깨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Eva Bold 프로틴 바(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12.15
2525 Studio Fun International 이야기책(It's Hug Times!)에 동봉된 팔찌, 열상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7.12.06
2524 Olympic 얼룩세척제, 내용물 노출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8.03.21
2523 Maurice’s Piggie Park 소스(Southern Gold BBQ Honey),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8.06.21
2522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 있는 Muraco 캠핑용 주전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23
2521 신학기 문구용품 안전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3.30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