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전국 모든 읍면동주민센터에서
빠짐없이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제공!
- 전국 3,509개 읍면동을 복지허브화하여 올해 330만 건의 방문상담 실시-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올해 12월부터 전국의 모든 읍면동주민센터(3,509개)에서 노인, 장애인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을 찾아가 상담하고 급여 제공과 서비스를 연계하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실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는 기존 읍면동주민센터 내 복지행정팀 외에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을 추가로 설치하여, 복지대상자를 발굴하거나 방문상담을 통한 가구별 특성에 따른 복지 수요를 파악하여 공적서비스나 민간복지자원 연계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 읍면동주민센터 현황 >

누계

2016

2017

2018

3,509개소

1,029개소

신규설치

1,527개소

신규설치

890개소

신규설치

 

 

□ 보건복지부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맞춤형 복지차량*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 복지담당공무원이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할 때 신속한 이동수단 확보를 통해 기동력을 높이기 위한 치량

 ㅇ 맞춤형 복지차량은 2016년부터 올해까지 총 2,661대 지원(‘19년 30대 지원 예정)하였으며, 현장 방문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위기 상황에 즉각 대응 할 수 있도록 가상 동행 정보통신(IT) 기기인 “안전지킴이*(스마트워치)”도 올해까지 총 7,983대 보급하였다.

     * 안전지킴이 주요기능: 응급호출, 현장녹취, 보호자 및 경찰 신고, 음성통화 등

 ㅇ 또한,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에서 수행하는 복지대상자 발굴 및 사례관리를 위한 사업비를 지원(읍면동별 840만 원씩 총 124억 원)하고, 담당 공무원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협력기관·단체 등에 대해서도 역량 강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인원 : (‘18년) 25과정 7,570명 → (’19년) 25과정 8,000명 예정

□ 올해 읍면동주민센터의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통한 방문상담은 총 330만 건(’18.1~11월 누적, ‘17년 224만8000건보다 47% 증가) 실시하였다.

 ㅇ 방문상담 통해 국민이 필요한 복지욕구를 파악하여 공적급여 제공이나 민간의 복지자원 연계 등 맞춤형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총 338만 건, ’18.1~11월 누적)하였다.


                                    <  2018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제공 실적 : 총 338만 건>

 공적급여 제공(90만 건) : 기초생활보장긴급지원차상위지원 등

 

‣ 민간자원 연계 및 복지서비스 제공(248만 건) : 공익재단보건소복지관 등 공공-민간 프로그램음식·의료·교육·후원금 연계제공 등 

 

 

 ㅇ 또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 민간지원 인력(14만5000명)을 발굴·운영하여 통합 복지서비스 제공 자원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제공 사례 >

○ 대상자 경기도 △△시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90세 여성

 

○ 발굴 당시 현황 : 32년 전 남편 사망 후 딸과 함께 살다가 10년 전 딸이 이사하면서 현 거주지에 홀로 남게 됨

외부와의 소통이 제한되어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

 

○ 발굴 경로 복지통장이 주민등록 사실 조사 시 발견하여 주민센터로 의뢰

 

○ 서비스 제공 국민기초수급자로 신청토록 하여 수급자로 책정

민간의 도움을 받아 라면 등 생필품 지원매월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이 방문하여 정서적 지지 및 청소 등 지원

 

○ 서비스지원에 따른 대상자 변화 국민기초수급자로 책정되어 안정적인 생활 유지가 가능하고전에는 너무 외로웠는데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이 정기적으로 방문하면서 지금은 행복하다고 하심

 


□ 보건복지부 양동교 지역복지과장은 “전국 모든 읍면동주민센터에서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를 시행함으로써 지역 내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먼저 찾아내고, 필요한 보건복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면서,

 ㅇ “앞으로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민관복지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8-12-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90 비실명 대리신고 신고결과...자문변호사단 통해 이의신청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7 7
6589 비실명 대리신고 자문변호사 선택 더 쉬워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33
6588 비싼 치아교정, 진행단계별 치료비 분할 납부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7 65
6587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당뇨병 조기예측 및 중재 가능성 열린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7 58
6586 비알코올성지방간 그대로 방치하면, 10년 내 심혈관질환 4~8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7 21
6585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에서 간 섬유화 진행을 막으려면, 근육의 양보다 ‘질’에 신경써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3 18
6584 비양육부‧모의 양육비 이행 책임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05 11
6583 비양육부ㆍ모의 양육비 이행 책임 강화, 한부모가족 양육비 지원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0 14
6582 비엠더블유 528i 등 14개 차종 리콜 실시(총 2,102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67
6581 비엠더블유, 기아, 아우디, 폭스바겐, 닛산, 다임러트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5 65
6580 비엠더블유, 좌석안전띠 및 연료펌프 결함으로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1 104
6579 비엠더블유, 캐딜락, 벤츠 결함시정(리콜) 실시 [총 3개사 223,330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6
6578 비엠더블유, 한국지엠 리콜 실시(총 13개 차종 12,352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76
6577 비엠더블유, 현대·기아, 포드, 에프씨에이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5개사 238,914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1 16
6576 비엠더블유·르노·포르쉐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5 30
Board Pagination Prev 1 ...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