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민 10명 중 7명, 장기·인체조직기증 의사 있다
   -「생명나눔」홍보 접촉 경로로 병원/보건소 늘어(33.9%)
   - 올해 첫 시행한「생명나눔 주간」인지도는 다소 미흡(16%)


◇ 장기기증 인지도는 97.5%, 인체조직기증 인지도는 45.7%로 작년과 유사기증 의향 역시 작년 수준(66.5%)

 

◇ ·조직기증 관련 홍보 접촉 경로는 TV 60.3%, 온라인 매체 35.5%, 가두 캠페인 17.2%, 병원/보건소 내 홍보자료 및 게시물 33.9%(중복응답)

 

◇ 기증희망등록 서약률은 약 2.6% 수준으로 낮아 국민 참여 필요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장기·인체조직 기증에 대한 국민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올해 12월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18 장기·조직기증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 생명나눔 인식조사는 장기·인체조직기증 문화 및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기증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으로, 특히 올해는 제1회 「생명나눔 주간*」운영 및 진행 행사에 대한 인지도가 조사항목으로 추가되었다.
   * 생명나눔 문화 활성화 및 기증자 예우를 위해 매년 9월 두 번째 주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1주간을 「생명나눔 주간」으로 지정
□ 조사 결과 장기기증 인지도는 97.5%로 높았으며, 인체조직기증 인지도는 45.7%로 낮은 상황으로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었다.(2017년  장기기증 인지도 97.5%, 인체조직기증 인지도 48.2%)

 


 ○ ‘기증의향이 없는 사유’로는 인체훼손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33.0%)가 가장 많은 이유를 차지했으며, 막연히 두려워서(30.4%), 절차 이외의 정보(사후처리, 예우 등)가 부족해서(16.5%) 순으로 작년과 유사하게 파악되었다.

 ○ 올해 처음 실시한 ‘제1회 「생명나눔 주간」인지도’는 15.8%로 응답자 10명 중 약 2명이「생명나눔 주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장기·인체조직기증 관련 홍보를 접한 경로(중복응답)에 대한 조사결과, ‘TV’가 60.3%로 지난해(61.3%)에 이어 올해도 압도적으로 높아, 다양한 TV매체*를 통한 홍보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tvN 드라마 ‘크로스’,‘라이프’, KBS ‘생로병사의 비밀’등

 ○ 블로그, 카페, SNS(사회관계망) 등과 같은 ‘인터넷’을 통한 경로는 35.3%로 지난해 30.5%에 비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국제 광고제*에서 동상을 수상한 온라인 바이럴(입소문 홍보) 영상 ‘이특·써니의 비긴어게인’의 송출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한 지속적인 홍보의 결과라고 보인다.
    * 2018 국제비즈니스 대상에서 동상 수상(2018.10.20)

 ○ 또한, 거리 홍보 및 홍보 부스 운영 등과 같은 ‘가두 캠페인’을 통한 접촉 비율이 2017년 13.4%에서 올해는 17.2%로 상승하였으며, 한편 ’병원/보건소 내 홍보자료 및 게시물‘을 통한 접촉 비율 역시 2017년 29.5%에서 33.9%로 상승하였다. 이는 생명나눔 문화 활성화를 위한 제1회 「생명나눔 주간」운영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다양한 오프라인(현장) 캠페인으로 국민과의 접점을 만든 결과물이다.

 


□ 질병관리본부 최기호 장기기증지원과장은 “2018 생명나눔 인식조사 결과와 올 한 해 진행한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더 많은 국민에게 ‘생명나눔 주간’ 및 생명나눔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2019년에도 생명나눔에 대한 범국민적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우리나라는 현재 약 3만 명 이상의 환자들이 장기이식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으나 뇌사장기기증은 인구 백만 명 당 9.95명에 불과해 스페인, 미국 등 해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부족한 상황이다.

     * (뇌사장기 기증자 수) 2014년 446명, 2015년 501명, 2016년 573명, 2017년 515명
     * (인구 백만 명 당 기증자 수) 한국 9.95, 스페인 46.9, 미국 31.96, 이탈리아 28.2 (2017년 기준)

  ○ 우리나라 국민의 장기·인체조직 기증에 관한 인식은 꾸준히 바뀌고 있지만 실제 기증희망등록 서약률은 전체 국민의 약 2.6% 수준으로 보다 많은 국민의 참여가 필요한 상황이다.

   - 기증희망등록은 모바일, 인터넷(www.konos.go.kr), Fax, 우편, 등록기관 방문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편리하게 참여* 가능하다.

     * 문의 :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02-2628-3602)



[ 보건복지부 2018-12-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90 ‘생활 속 반칙과 특권’ 해소 위한 9개 생활적폐 개선과제 정상 추진 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7
6589 섬유제품 소비자 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1
6588 국토부, ’18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0
6587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시 태블릿 PC 등을 활용한 전자청약시스템을 판매점까지 확대 적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20
6586 2020년 요양급여비용(환산지수) 인상률 2.29%로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6
6585 어린이집 이용불편·부정신고센터(1670-2082) 설치·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8
6584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비급여 진료비까지 보상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40
6583 폭력’은 ‘사랑’이 아닙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7
6582 도로·하천 분야 주요 건설 정보(CALS) 1일부터 전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6
6581 미세먼지, 국민의 아이디어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3
6580 오는 10일까지 근로소득간이지급명세서 제출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1
6579 금융꿀팁 200선 - 대부업 관련 주요 민원사례 및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3
6578 식용란 검사 불합격 농가, 전문 방역업체 소독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7
6577 7월 1일부터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소득공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8
6576 15세 이하 아동·장애인 의료급여 이용 절차 편리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6
Board Pagination Prev 1 ...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