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공간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하여 중앙부처, 지자체 등의 정책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제(6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특히, 전주시를 대상으로 대중교통 취약지역 분석은 기존의 일반적인 공간분석 방법(대중교통 노선현황, 인구 분포 분석)과 달리 시간대별 대중교통 승하차·환승 정보(교통카드 데이터)와 유동인구 정보(통신 데이터) 등을 함께 통합하여 분석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대중교통 노선 조정과 신규 노선 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 공간빅데이터 플랫폼(www.kobigs.molit.go.kr, 행정망) :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대용량의 행정정보, 민간정보(카드, 통신 등)를 융·복합 분석하여 과학적 정책결정을 지원

국토부는 2014년부터 공공분야의 합리적 정책결정 지원을 위하여 공간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까지 총 23건의 빅데이터 분석을 완료, 그 결과를 관련기관에 제공하여 왔다.

올해에는 수요조사를 통해 도시계획, 대중교통, 의료시설, 식품안전, 기업입지, 소방안전 분야의 6개 과제를 선정하고, 수요기관과 빅데이터 관련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 ‘18년 공간빅데이터 분석과제
① (전주시) 교통카드 DB를 활용한 대중교통 현황 빅데이터 분석
② (부산광역시) 역세권 토지이용 구상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③ (국토부, LH) 개발공장과 계획입지 간의 상관성 분석
④ (소방청)빅데이터를 활용한 화재대응 취약지역 분석
⑤ (식품의약품안전처) HACCP 인증과 식품안전사고 상관분석
⑥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 의료 이용지도 구축

6개 분석과제 중에서 대표적인 사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전주시)교통카드 DB를 활용한 대중교통 현황 분석

전주시의 대중버스 승하차 및 환승 정보(교통카드 데이터), 인구, 유동인구(통신 데이터), 노선별 기-종점 정보 등을 융·복합 분석하여 유동인구 대비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분석, 제시했다.

향후 전주시는 버스 노선 신설·변경 등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정책 수립에 이번 분석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② (부산광역시) 역세권 토지이용 구상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역세권 유동인구, 건물용도, 토지이용, 카드매출, 승하차 정보 등을 융·복합 분석하여 도시철도 역세권을 4개의 유형(상업특화형, 상업업무형, 주거특화형, 주거상업복합형)으로 새롭게 분류하고 그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해당 역세권별 개발 잠재력을 정량화하여 제시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이번 분석결과를 기초로 역세권 개발 및 대중교통 중심개발 계획 등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③ 그 이외 산업단지 입지·개발 정책, 신속한 화재 대응 체계 마련, 병원 시설 입지 설정 등 관계기관의 정책결정에 빅데이터 분석결과가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빅데이터 분석은 도시, 교통, 안전, 재난·재해 등 각종 사회적 이슈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공간정보 기반으로 시각화함으로써, ‘데이터 기반 행정’ 실현을 보다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국토부는 공간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가, 지자체 등의 각종 과학적 정책결정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전국적 확산을 추진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공간빅데이터 플랫폼의 고도화와 개방 확대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2018-12-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79 자격증 발급과 확인, 이제 ‘정부24’에서도 할 수 있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9 13
1978 4.25일, 아동 231만 명이 보편지급 아동수당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1977 2018년 유사수신 혐의업체 특징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1976 국세청 납세자보호위원회, 재심의를 통해 납세자 권리 적극 구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5 13
1975 공금의 결제수단 확대로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 완화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13
1974 보호종료아동 2,800여 명에게 자립수당 첫 지급(4.19)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13
1973 학교폭력 및 성폭력 피해학생 보호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13
1972 2018년 인터넷상 불법 금융광고 적발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9 13
1971 봄나들이 철 다중이용시설 일제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13
1970 7월부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1만 원 상한액 486만 원으로 상향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2 13
1969 저소득 중증장애인 장애인연금 기초급여액 4월부터 30만 원으로 오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1 13
1968 정부, ‘생활 속 반칙과 특권’ 근절을 위한 9개 중점과제 이행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13
1967 (금융꿀팁 107번) 청소년의 건전한 금융습관 길잡이, 1사 1교 금융교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6 13
1966 국민이 직접 생활 속 반칙 찾아 개선 의견 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13
1965 지자체 공공시설 이용요금 법정할인 간편하게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