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공간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하여 중앙부처, 지자체 등의 정책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제(6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특히, 전주시를 대상으로 대중교통 취약지역 분석은 기존의 일반적인 공간분석 방법(대중교통 노선현황, 인구 분포 분석)과 달리 시간대별 대중교통 승하차·환승 정보(교통카드 데이터)와 유동인구 정보(통신 데이터) 등을 함께 통합하여 분석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대중교통 노선 조정과 신규 노선 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 공간빅데이터 플랫폼(www.kobigs.molit.go.kr, 행정망) :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대용량의 행정정보, 민간정보(카드, 통신 등)를 융·복합 분석하여 과학적 정책결정을 지원

국토부는 2014년부터 공공분야의 합리적 정책결정 지원을 위하여 공간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까지 총 23건의 빅데이터 분석을 완료, 그 결과를 관련기관에 제공하여 왔다.

올해에는 수요조사를 통해 도시계획, 대중교통, 의료시설, 식품안전, 기업입지, 소방안전 분야의 6개 과제를 선정하고, 수요기관과 빅데이터 관련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 ‘18년 공간빅데이터 분석과제
① (전주시) 교통카드 DB를 활용한 대중교통 현황 빅데이터 분석
② (부산광역시) 역세권 토지이용 구상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③ (국토부, LH) 개발공장과 계획입지 간의 상관성 분석
④ (소방청)빅데이터를 활용한 화재대응 취약지역 분석
⑤ (식품의약품안전처) HACCP 인증과 식품안전사고 상관분석
⑥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 의료 이용지도 구축

6개 분석과제 중에서 대표적인 사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전주시)교통카드 DB를 활용한 대중교통 현황 분석

전주시의 대중버스 승하차 및 환승 정보(교통카드 데이터), 인구, 유동인구(통신 데이터), 노선별 기-종점 정보 등을 융·복합 분석하여 유동인구 대비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분석, 제시했다.

향후 전주시는 버스 노선 신설·변경 등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정책 수립에 이번 분석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② (부산광역시) 역세권 토지이용 구상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역세권 유동인구, 건물용도, 토지이용, 카드매출, 승하차 정보 등을 융·복합 분석하여 도시철도 역세권을 4개의 유형(상업특화형, 상업업무형, 주거특화형, 주거상업복합형)으로 새롭게 분류하고 그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해당 역세권별 개발 잠재력을 정량화하여 제시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이번 분석결과를 기초로 역세권 개발 및 대중교통 중심개발 계획 등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③ 그 이외 산업단지 입지·개발 정책, 신속한 화재 대응 체계 마련, 병원 시설 입지 설정 등 관계기관의 정책결정에 빅데이터 분석결과가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빅데이터 분석은 도시, 교통, 안전, 재난·재해 등 각종 사회적 이슈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공간정보 기반으로 시각화함으로써, ‘데이터 기반 행정’ 실현을 보다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국토부는 공간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가, 지자체 등의 각종 과학적 정책결정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전국적 확산을 추진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공간빅데이터 플랫폼의 고도화와 개방 확대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2018-12-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45 민간소비 위축과 연말특수 실종으로 ‘14년도 외식업 체감경기 하락지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30
6544 민간단체의「개인정보 관리 사각지대」없앤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7 69
6543 민간과 중복되고 활용 저조한 공공앱 대폭 정비되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4 162
6542 민간·공공 협력하여 결핵환자 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8 76
6541 민간 주도 의료광고 심의로 불법 의료광고 사전 방지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23
6540 민간 자동차검사소 부실검사를 지속적으로 줄여나가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0 8
6539 민간 무량판아파트 전수조사 결과 ‘부실시공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3 16
6538 민간 기업 노동자도 “관공서의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보장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30
6537 민·관 협력 강화를 통해 독거노인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7 41
6536 민.관 협력으로 겨울철 수산물 선제적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6 33
6535 민,군 예방접종 이력 공유로 중복접종 막고 언제 어디서든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8 25
6534 민,군 예방접종 이력 공유로 중복접종 막고 언제 어디서든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19
6533 미혼자 10명 중 8명‘작은 결혼’하고 싶지만 주변 여건상 주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31 55
6532 미혼부, 자녀 출생신고 전에도 아동양육비 지원받을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2 10
6531 미혼부 자녀, 출생신고 전(前)이라도 아동수당, 보육료 및 가정양육수당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19 41
Board Pagination Prev 1 ...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