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복출산 신청결과! 이제 모바일로 확인하세요
- 양육수당 등 다양한 출산지원 서비스 신청결과를 「정부24」에서 한 번에 확인! -

앞으로는 양육수당, 출산지원금 등 다양한 출산지원 서비스의 신청결과를 정부24(gov.kr)에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2월21일부터「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의 신청결과를 정부24(gov.kr) 포털 또는 모바일앱 한 곳에서 통합해 확인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는 여러 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출산지원서비스를 온라인(정부24) 또는 주민센터에서 한 번에 신청하는 서비스로 현재 양육수당, 해산급여, 여성장애인출산비용지원, 출산지원금(지자체) 등 평균 10여 종을 통합 신청할 수 있다.
* 전국공통 : ① 양육수당, ② 해산급여, ③ 여성장애인출산비용, ④ 출산가구 전기료 경감, ⑤ (다자녀) 전기료 경감, ⑥ (다자녀) 도시가스료 경감, ⑦ (다자녀) 지역난방료 경감
* 지자체(예시) : 출산지원금, 다둥이카드, 출산축하용품, 다자녀 출산 축하, 유축기 대여 등

다만, 그동안 행복출산을 통해 신청된 각종 출산지원서비스의 처리 결과는 각 기관에서 문자 등으로 개별 안내함에 따라 신청인이 전체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확인하는데 불편이 있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신청인이 처리결과를 보다 편리하게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복지부, 지자체, 지역정보개발원, 한국전력공사, 지역난방공사 등과 협업을 통해 처리결과를 정부대표포털인 정부24(gov.kr)에서 한 번에 조회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행복출산 신청결과는 정부24 포털 또는 모바일앱 민원서비스 하위 메뉴인 확인서비스 “행복출산 통합신청상황 확인”에서 조회할 수 있다.
※ 정부24 회원이 아닌 경우에도 행복출산 신청 시 받은 접수번호로 조회 가능

‘16년 3월 행복출산 전국서비스 시행 이후 총 86만여 명이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를 신청했으며, 올해는 출산가구의 99%인 28만여 명이 (10월까지)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를 이용했다.
* 행복출산 누적 신청률 93.2% (행복출산 864,185건 / 출생신고 927,070건)

조소연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정책관은 “이번 서비스 개선으로 행복출산서비스를 이용하는 부모의 편의가 향상되고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국민이 찾기 전에 알려주고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는 선제적 맞춤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12-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50 설 연휴 전날 교통사고 사상자 최다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10
6649 미세먼지 특별법 2월 15일 시행, 국무회의 시행령안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15
6648 “위기가구 발굴 위한 정보연계 확대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12
6647 2018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74
6646 개인연금보험 가입자 사망시 상속인이 받을 수 있는 개인연금정보 제공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36
6645 스마트밴드, 칼로리 소모량 측정 정확도 등에서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44
6644 선불식 할부거래업자의 등록변경사항 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25
6643 2019년에도 민자고속道 통행료 인하 지속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11
6642 설 귀성 4일 오전·귀경 5일 오후 가장 몰릴 듯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16
664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로 의료기관 간 ‘의료 질’ 격차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27
6640 정보연계 확대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효과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4
6639 근로청소년의 부당처우를 근절하기 위한 노동인권교육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8
6638 「2018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24
6637 농촌지역 활성화 하려면 경제적 지원과 지방 공교육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1
6636 설명절 고속도로 휴게소 임시화장실 운영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2
Board Pagination Prev 1 ...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