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추석 명절연휴에도 당직 병원·약국은 문을 연다
당직 병의원·약국 129, 119에서 전화안내,
“응급의료 정보제공” 스마트폰 앱으로도 확인 가능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에서 “명절병원”으로 검색 가능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추석 명절 기간(9.26~29) 국민들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일선 의료기관 및 약국과 협력하여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진료공백을 방지하고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군구별로 지역 의사․약사회와 협의하여 당직의료기관 및 휴일지킴이 약국을 지정‧운영한다.

전국 540개 응급의료기관․응급의료시설은 평소와 동일하게 24시간 운영되고, 다수의 민간 의료기관이 문을 닫는 추석 당일과 그 다음날에도 보건소를 비롯한 국공립 의료기관은 진료를 계속한다.

<추석연휴 (9.26 ~ 29) 4일간 진료하는 병원·약국 수>

<추석연휴 (9.26 ~ 29) 4일간 진료하는 병원·약국 수>
구분 9.26 9.27 9.28 9.29 일평균
응급의료기관·시설 540 540 540 540 540
국공립 의료기관 709 563 566 702 635
민간 의료기관 3,944 716 1,799 8,067 3,632
휴일지킴이 약국 8,540 1,754 4,515 10,235 6,261

우리 동네에서 문을 연 병의원이나 약국은 전화, 인터넷, 스마트폰 앱을 통해 쉽게 안내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콜센터(국번없이 129) 및 119구급상황관리센터(국번없이 119)를 통해 전화로 안내받을 수 있으며,

응급의료정보제공 EGen (www.e-gen.or.kr), 보건복지부(www.mw.go.kr) 등에서 9월 23일(수)부터 인터넷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명절기간에는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에서 “명절병원”으로 검색하면 연휴기간 문을 연 병의원·약국을 조회할 수 있다. 별도로 홈페이지 주소를 외울 필요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특히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을 다운받기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인근에 문을 연 병원과 약국을 지도상에서 보여주고, 진료시간 및 진료과목도 조회할 수 있다.

야간의료기관 정보, 자동제세동기(AED) 위치정보, 응급처치 방법 등이 제공되기 때문에 평소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①스마트폰 바탕화면

②앱 기동 메뉴화면

③명절정보 제공화면

※ 해당 앱은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에 무료로 설치 가능

추석 명절 연휴기간에는 문을 연 의료기관이 적고, 고향방문 등으로 평소와 생활환경이 달라지기에 응급상황에서 더 당황하기 쉽다. 간단한 생활응급처치 방법을 미리 숙지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심정지 등 긴급을 요하는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환자의 의식을 확인하고 즉시 주위에 도움을 청해 119에 신고한 뒤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야 한다.

심폐소생술 과정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는 무리해서 인공호흡을 시도하기보다는 가슴압박만 ‘강하고’ ‘빠르게’ 119가 올 때까지 실시한다.

떡이나 다른 음식물에 의해 기도가 막히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환자가 기침을 할 수 있으면 기침을 하게하고, 할 수 없으면 기도패쇄에 대한 응급처치법인 하임리히법을 실행한다.

환자의 뒤에서 감싸듯 안고 한 손은 주먹을 쥐고 한 손은 주먹 쥔 손을 감싼 뒤, 환자의 명치와 배꼽 중간지점에 대고 위로 밀쳐올린다.

* 더 상세한 응급처치방법은 ‘응급의료 정보제공’ 앱에서 확인가능 (참고자료 첨부)

심폐소생술이나 하임리히법은 위험하므로 응급환자가 아닌 사람에게 시행해서는 안되며, 가능한 의료인이나 119의 조언을 받아야 한다.

기도막혔을 때 대처법 성인

기도막혔을 때 대처법 소아

화상을 입었을 때는 통증이 감소할 때까지 찬물을 흘려주고 물집이 터지지 않도록 주의해야하며 가능한 응급처치후 병원치료를 받는다

얼음찜질은 하지 않으며, 소주, 된장, 연고 등은 바르지 않도록 한다.

이번  추석 연휴 기간에도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달빛 어린이병원’을 이용할 수 있다. 소아환자는 응급실보다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고 진료비도 더 저렴하다.

부산성모병원, 부산 온종합병원, 대구 한영한마음아동병원, 평택 성세병원, 용인 강남병원, 김천제일병원, 포항 여성아이병원, 김해중앙병원, 양산 웅상중앙병원, 제주연동365의원 10개 병원은 연휴기간 동안 계속 진료하며,

부산 일신기독병원, 대구 시지열린병원, 전주 다솔아동병원 3개병원은 추석 당일에만 휴진한다.

* 첨부 : 달빛 어린이병원 추석명절 진료계획

명절연휴 기간동안 보건복지부, 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에 비상진료상황실을 설치하여 당직기관․당번약국의 운영상황을 점검하고

중앙응급의료센터에 24시간 재난·응급의료상황실을, 전국 20개 권역센터에 재난의료지원팀을 편성하여 대형재해 및 사고발생에 대비 한다.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9월 25일(금) 오후 천안 단국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여 명절에도 진료하는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연휴기간 응급환자 발생에 대비하여 비상진료체계 가동을 당부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15-09-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07 고령자에 대해 계약금의 70%까지 주택도시기금 융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4 96
12506 ‘한가위 맞춤정보’ 국가인터넷지도에서 만나보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4 107
12505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4 89
12504 불법.위해 수입물품, 꼼짝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4 73
12503 공사비에 누락된 법정경비는 계약 후라도 지급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84
12502 무료체험, 무료이용 빙자한 할부계약에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74
12501 한국소비자원,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외래 관광객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한 원스톱 상담서비스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121
12500 8월 주택인·허가 6.9만호로 전년동월대비 41.2%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77
12499 8월 항공여객 2.0% 증가하며 회복세 전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81
12498 광역ㆍ도시철도 승강장에 안전문설비 설치 의무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78
12497 장례 관련 가격정보는 ‘e-하늘’에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78
12496 결핵환자 가족, 동거인은 증상에 상관없이 결핵검사 받아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144
12495 추석 연휴 맞아 감염병 예방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87
12494 가사·육아에 지친 중·노년층 여성, 명절연휴 ‘허리통증’ 주의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96
» 추석 명절연휴에도 당직 병원·약국은 문을 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222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