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가사·육아에 지친 중·노년층 여성, 명절연휴 ‘허리통증’ 주의보!

2014년 기준 허리디스크 진료인원, 50대 이상이 60% 넘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추석에 늘어나는 장거리 이동에 대비하여 ‘허리디스크(기타 추간판 장애)’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2014년 기준 진료인원은 약 208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20.4%가 증가하였으며,

주로 진료받은 연령층은 50대로 전체 진료인원의 2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허리디스크‘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0년 약 172만명에서 2014년 약 208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5만명(20.4%)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4.7%이며,

총진료비는 2010년 약 4,996억원에서 2014년 약 5,973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977억원(19.5%)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4.6%를 보였다.

표1. <허리디스크>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10년~2014년)

<허리디스크>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10년~2014년)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진료인원 (명) 1,724,467 1,816,511 1,939,512 1,962,311 2,075,586
701,460 741,037 795,985 817,871 878,152
1,023,007 1,075,474 1,143,527 1,144,440 1,197,434
총진료비 (천원) 499,615,449 513,178,998 557,917,328 576,326,264 597,287,557
220,885,594 226,230,891 245,143,041 256,018,386 264,654,804
278,729,855 286,948,107 312,774,287 320,307,878 332,632,753

‘허리디스크’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층은 50대로, 2014년 기준 약 51만명이 진료를 받아 전체 진료인원의 24.2%를 차지하였다.

2014년 기준 진료인원이 많은 연령층은 50대 24.2% 〉70대 18.6% 〉60대 18.4% 순으로, 50대 이상에서 많이 나타났다.

3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디스크 환자들이 많고, 40대 이상 연령층은 노화현상에 따른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진료인원들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표2. <허리디스크>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허리디스크>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구 분 진 료 인 원 (명) 연 령 별 점 유 율 (%)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0~ 9세 245 181 169 151 134 0.014% 0.010% 0.009% 0.008% 0.006%
137 90 95 94 72 0.019% 0.012% 0.012% 0.011% 0.008%
108 91 74 57 62 0.010% 0.008% 0.006% 0.005% 0.005%
10~ 19세 28,820 29,546 30,423 30,203 34,500 1.6% 1.6% 1.5% 1.5% 1.6%
17,249 17,749 18,115 17,880 19,933 2.4% 2.4% 2.2% 2.2% 2.2%
11,571 11,797 12,308 12,323 14,567 1.1% 1.1% 1.1% 1.1% 1.2%
20~ 29세 123,419 124,420 127,041 126,526 139,757 7.0% 6.7% 6.4% 6.3% 6.6%
73,089 73,545 74,825 74,328 82,560 10.3% 9.8% 9.2% 8.9% 9.2%
50,330 50,875 52,216 52,198 57,197 4.8% 4.6% 4.5% 4.5% 4.7%
30~ 39세 225,664 237,599 251,286 256,097 272,381 12.9% 12.9% 12.7% 12.8% 12.9%
124,808 131,695 140,808 145,470 156,315 17.5% 17.5% 17.4% 17.5% 17.5%
100,856 105,904 110,478 110,627 116,066 9.7% 9.7% 9.5% 9.5% 9.5%
40~ 49세 331,637 338,304 354,342 352,380 373,857 18.9% 18.3% 17.9% 17.7% 17.7%
142,484 147,435 157,304 160,927 174,189 20.0% 19.6% 19.4% 19.4% 19.5%
189,153 190,869 197,038 191,453 199,668 18.2% 17.4% 16.9% 16.4% 16.4%
50~ 59세 399,427 437,210 481,392 486,060 511,754 22.8% 23.7% 24.4% 24.4% 24.2%
143,048 157,224 174,476 180,636 193,976 20.1% 20.9% 21.5% 21.7% 21.7%
256,379 279,986 306,916 305,424 317,778 24.6% 25.6% 26.3% 26.2% 26.0%
60~ 69세 347,070 358,092 375,861 370,963 389,976 19.8% 19.4% 19.0% 18.6% 18.4%
120,188 125,068 133,162 133,572 142,549 16.9% 16.6% 16.4% 16.1% 15.9%
226,882 233,024 242,699 237,391 247,427 21.8% 21.3% 20.8% 20.4% 20.3%
70세 이상 297,539 322,258 356,348 373,289 392,910 17.0% 17.4% 18.0% 18.7% 18.6%
91,135 99,955 111,269 117,989 124,618 12.8% 13.3% 13.7% 14.2% 13.9%
206,404 222,303 245,079 255,300 268,292 19.8% 20.3% 21.0% 21.9% 22.0%

※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내에서의 점유율임.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허리디스크’ 세부 상병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 장애’로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 이상(59.4%)을 차지하였다.

표3. <허리디스크> 세부상병별 진료인원 (2010년~2014년)

<허리디스크> 세부상병별 진료인원 (2010년~2014년)
상병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M510 척수병증을 동반한 허리척추뼈 및 기타 추간판 장애 118,735 125,133 125,613 119,462 120,494
M511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 장애 1,084,792 1,150,393 1,254,047 1,290,738 1,381,747
M512 기타 명시된 추간판전위 302,428 309,774 339,239 335,433 345,343
M513 기타 명시된 추간판변성 103,765 105,384 107,841 106,686 109,942
M514 쉬몰결절 559 531 447 396 447
M518 기타 명시된 추간판 장애 107,743 122,953 125,273 115,179 124,063
M519 상세불명의 추간판 장애 233,028 240,175 242,938 242,022 243,864

※ 상병별로 중복인원이 발생하여 합계를 구할 경우 ‘기타 추간판 장애’ 전체 진료인원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흔히 ‘디스크’로 불리고 있는 ‘추간판 장애(추간판 탈출증)’는 척추뼈 마디 사이에서 쿠션같이 완충작용을 해주는 디스크 조직(추간판)이 잘못된 자세나 무리한 운동 등으로 인해 밖으로 밀려나오며 발생하는 질환이다.

‘디스크’는 척추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목(경추)과 허리(요추)부분에서 대부분 발생한다.

‘허리디스크’의 흔한 증상은 허리의 경우 허리통증 및 발·다리의 방사통 등이 있으며 통증이 심해 걷기 힘든 경우도 있다.

밀려나온 디스크 조직이 주위의 신경근을 자극, 압박하게 되어 다리의 저림이 나타나게 되는데, 밀려난 부위가 크고 중앙에 위치하면 드물게 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디스크’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허리디스크’ 예방을 위해서는 의자에 바르게 앉기, 무리하게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기 등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며, 자주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운동을 통해 각 부위 근육의 피로를 풀고 척추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심사평가원 어환 전문심사위원은 “추석에 남성의 경우 장시간 운전을 강행 시에는 척추뼈 사이에서 압력이나 충격을 분산·흡수시키는 역할을 하는 추간판에 무리가 오기 쉬우며, 여성의 경우에는 명절음식을 할 때 거실에 모여 앉아 같은 자세로 쪼그려서 음식준비를 하기 때문에 허리와 무릎관절에 무리가 가기 쉬워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른 자세로 앉아 틈틈이 일어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15-09-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22 가을 나들이 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 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1 62
3221 가을 나들이 철 다중이용 식품취급업소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4 12
3220 가을 나들이 철 다중이용 식품취급시설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10
3219 가을 개학맞이 학교 주변 식품 조리.판매업소 위생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7 76
3218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에게 법률상담 및 소송대리 등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6 47
3217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범위 확대…특별법 개정ㆍ공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7 24
3216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법 하위법령 재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6 10
3215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법 시행령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82
3214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법 개정에 따른 세부규정 마련 완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1 26
3213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법 개정…피해 인정범위 크게 넓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3 11
3212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9 21
3211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2 52
3210 가습기살균제 피해 미인정자 구제급여 지원 심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7 33
3209 가습기살균제 피해 43명 추가 인정…총 877명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5
3208 가습기살균제 피해 294명 추가 인정…총 3,838명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9 22
Board Pagination Prev 1 ...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