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시 A과장은 SNS 단체채팅방을 통해 산하기관 임직원에게 휴일, 심야나 새벽을 가리지 않고 업무를 지시하거나 자신의 업무를 떠넘김
 
# 공공기관인 B공사는 정보시스템 구축계약을 하면서, 당초 제안서에는 없던 상용프로그램을 무상으로 납품하도록 계약 상대방에게 요구
 
# ○○학교 C교장은 학교급식실에서 식사를 하지 않고 급식실 영양사에게 음식을 교장실로 가져오도록 하고 빈 그릇은 다시 영양사가 치우도록 함
 
# ◇◇시의회가 대규모 의원 방문단을 구성하여 외국 전시회를 단순참관하는 해외출장을 가는 데에 소요된 비용을 ◇◇시 예산으로 지원
 
□ 앞으로 공무원들이 위 사례와 같은 행위를 하는 것이 일절 금지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징계를 받게 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할 때 자신의 직무권한을 남용한 부당행위인 ‘갑질’을 하거나, 감독기관이 피감기관에 부당하게 해외출장 관련 경비를 요구하는 행위를 금지하는「공무원 행동강령」이 오늘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어 내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 우리 사회에 만연한 공공분야 갑질 행위는 시급히 청산되어야 할 대표적인 생활적폐로 손꼽혀 왔다. 그러나 갑질 행위에 대한 구체적 개념이나 기준이 없어 가해자나 피해자도 이를 의식하지 못한 채 관행처럼 반복됐고 신고자나 피해자의 보호도 미흡했다.
 
이에 정부는 올해 7월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공공분야 갑질 근절 종합대책’을 추진하기로 하고, 그 대책의 일환으로 「공무원 행동강령」을 개정하여 갑질행위의 개념과 유형을 구체화하며 신고자에 대한 보호조치도 강화하기로 하였다.
 
이번 개정은 공무원의 갑질 행위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갑질 대상에 따라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했다. 이를 위반할 경우 해당 공무원은 징계처분을 받는다.
 
□ 우선 국민권익위는 갑질 행위를 ‘공무원이 직무권한 또는 지위·직책 등의 영향력을 행사해 민원인이나 부하직원, 산하 기관·단체 등의 권리를 부당하게 제한하거나 의무가 없는 일을 부당하게 요구하는 행위’로 규정했다.
 
이와 함께 갑질 행위의 유형을 대상에 따라 ▲ 공무원→국민 ▲ 공무원→공무원 ▲ 공공기관→국민 ▲ 상급기관→하급기관 ▲ 공무원→민원인·부하·하급기관 직원 등 5개로 구분했다.
 
예를 들어, 앞의 사례에서 나타난 A과장의 행위는 ‘공무원→하급기관’에 대한 갑질, B공사의 행위는 ‘공공기관→국민‘에 대한 갑질, C교장의 행위는 ‘공무원→부하직원‘에 대한 갑질에 해당한다.
 
또 직무관련 공무원에게 직무와 관련이 없거나 직무의 범위를 벗어나 부당한 지시·요구를 하는 행위(공무원→공무원), 공무원이 소속기관 또는 산하기관에 자신이 소속된 기관의 업무를 부당하게 전가하거나 비용ㆍ인력을 부담하도록 하는 행위(상급기관→하급기관)도 갑질에 포함된다.
 
이와 함께 ‘부패방지권익위법’상 부패행위 신고자 보호 규정을 적용해 누구든지 갑질 행위 신고자의 신원을 공개하거나 신분상 불이익조치 또는 근무조건에 차별을 주는 것을 금지했다.
 
이를 위반할 경우 형사처벌을 받도록 해 갑질 행위 피해자가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자 보호조치를 한층 강화했다.
 
< 신설규정에 따른 갑질의 개념과 유형 >
 
【공무원 갑질의 개념】
“ 공무원이 직무권한 또는 지위ㆍ직책 등에서 유래되는 사실상 영향력을 행사하여 민원인, 부하직원, 산하 기관·단체 등의 권리나 권한을 부당하게 제한하거나 의무가 없는 일을 부당하게 요구하는 행위 ”
 
【갑질의 유형】
▪ 인가ㆍ허가 등을 담당하는 공무원이 그 신청인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제3자에게 이익 또는 불이익을 주기 위하여 부당하게 그 신청의 접수를 지연하거나 거부하는 행위
⇒ 민원담당자의 직무관련자에 대한 불이익 부과 또는 제3자에 대한 이익 부여 목적의 갑질 행위 (공무원 → 국민)
 
 
▪ 직무관련 공무원에게 직무와 관련이 없거나 직무의 범위를 벗어나 부당한 지시ㆍ요구를 하는 행위
⇒ 조직내 상급자의 이익 추구 목적 또는 하급자에 대한 불이익 부과 목적의 하급자에 대한 갑질 행위 (공무원 → 공무원)
 
 
▪ 공무원 자신이 소속된 기관이 체결하는 물품ㆍ용역ㆍ공사 등 계약에 관하여 직무관련자에게 자신이 소속된 기관의 의무 또는 부담의 이행을 부당하게 전가하거나 자신이 소속된 기관이 집행해야 할 업무를 부당하게 지연하는 행위
⇒ 조직이익 목적의 직무관련자에 대한 갑질 행위(기관 → 국민)
 
 
▪ 공무원 자신이 소속된 기관의 소속 기관 또는 산하기관에 자신이 소속된 기관의 업무를 부당하게 전가하거나 그 업무에 관한 비용ㆍ인력을 부담하도록 부당하게 전가하는 행위
⇒ 조직이익 목적의 하급기관에 대한 갑질 행위(상급기관 → 하급기관)
 
 
▪ 그 밖에 직무관련자, 직무관련공무원, 공무원 자신이 소속된 기관의 소속 기관 또는 산하기관의 권리ㆍ권한을 부당하게 제한하거나 의무가 없는 일을 부당하게 요구하는 행위
⇒ 그 밖에 민원인, 부하직원, 하급기관 등에 대한 갑질 행위
 
 
□ 한편 이번 개정안은 감독ㆍ감사ㆍ조사ㆍ평가를 하는 감독기관 소속 공무원이 그 감독ㆍ감사ㆍ조사ㆍ평가를 받는 피감기관에 출장ㆍ행사ㆍ연수 등과 관련하여 법령에 근거가 없거나 예산의 목적ㆍ용도에 부합하지 않는 금품등의 제공을 요구하거나 정상적인 관행을 벗어난 예우‧의전을 요구하는 행위를 금지하도록 하였다.
 
이번 개정안은 감독기관 소속 공무원의 해외출장 지원과 관련한 부당한 요구를 금지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부당한 요구를 받은 피감기관 소속 공무원의 거절의무를 신설하여 감독기관 소속 공무원으로부터의 부당한 요구를 제도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도록 하였다.
 
또한 피감기관 소속 공무원이 부당한 요구를 거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같은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피감기관의 행동강령책임관과 기관장에게 보고해야 하고, 피감기관장은 그 사실을 감독기관장에게 통지하여 부당한 요구를 한 공무원에 대하여 징계 등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함으로써, 피감기관과 감독기관 간, 각급기관 내에서의 통제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 국민권익위 임윤주 부패방지국장은 “새로 도입된 규정들이 공직사회의 잘못된 관행과 문화를 개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모든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며, “각급 공공기관들의 이행실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위반신고 사건도 모니터링해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직문화가 정착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8-12-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20 빈집 철거 시 재산세 부담 완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5 10
6519 빈집을 활용한 자율주택정비사업으로 동네가 새롭게 태어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21
6518 빈혈, 40대 여성 건강이 위험하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54
6517 빗길 사고 위험성 분석 결과… 장마철에 전체 빗길 교통사고 사망자의 33%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1 25
6516 빠져나갈 구멍이 도저히 없어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0 81
6515 빨리 찾아온 무더위,건강관리 이렇게 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95
6514 빵류 영양표시 확인하고 선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37
6513 빼빼로데이, 수능 대비 선물용 식품 전국 일제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6 9
6512 빼빼로데이.수능 대비, 선물용 초코릿 제품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7 18
6511 빼빼로데이.수능 대비, 초콜릿 등 식품업체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0 10
6510 뺑소니 운전자 사고부담금 신설 등 자동차보험 표준약관 개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2 128
6509 뺑소니·무보험 차량으로 인한 사고 피해자의 정부 보상금 신청이 편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9 22
6508 쁘띠 성형시술 후 염증·눈꺼풀 처짐 등 부작용 호소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1 174
6507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주거복지망으로 집 걱정 나눠지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4 17
6506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복지3법, 7월1일부터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72
Board Pagination Prev 1 ...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