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하철, 장애인 이용 시 안전사고 위험 높아

- 승강장과 지하철 간 간격·높이, 경고음, 호출버튼 등 안전시설 개선 필요 -



장애인의 이동권 및 안전할 권리 보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하철 역사 내 장애인 안전·편의시설이 미흡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하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전국 지하철 역사 35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장애인 편의시설 안전실태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승강장과 지하철 간 간격·높이 차이 커 발빠짐·넘어짐 등 안전사고 위험 높아

지하철 역사 35개소를 대상으로 승강장과 휠체어 전용 좌석이 설치된 지하철 객실 간 간격 및 높이를 측정한 결과, 30개소(85.7%)는 기준 간격(5cm 이내)을 준수하지 않았고, 최대 15cm에 달했다. 10개소(28.6%)는 승강장과 지하철 간 높이가 1.5cm*를 초과하고, 최대 3cm까지 측정되어 지하철 승·하차 시 휠체어 이용자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시설 설계 지침」 내 승강장과 지하철 간 높이 차(±1.5cm) 기준으로 조사

또한, 기준 간격보다 넓은 30개소 중 18개소(60.0%)는 간격이 넓다는 주의표지도 없어 발빠짐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어려웠다.

◎ 지하철 내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 시설 개선 시급

34개소(에스컬레이터가 없는 1개소 제외) 중 26개소(76.5%)는 에스컬레이터 진행 반대 방향 진입 시 경고음이 울리지 않았고, 수평고정손잡이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31개소 중 15개소(48.4%)는 점자표지판이 없어 시각장애인이 반대 방향으로 진입 가능해 장애인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 개선이 시급했다.

또한, 35개소 중 6개소(17.1%)는 엘리베이터 문이 닫힐 때 움직임을 감지해 문이 열리는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21개소(60.0%)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황을 안내하는 음향신호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문 끼임 등 장애인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 경사형 휠체어 리프트 이용 시, 역무원 호출버튼이 계단과 가까워 추락사고 우려

장애인이 경사형 휠체어 리프트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역무원을 호출해야 하며, 호출버튼은 계단과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사고 사례] 호출버튼과 계단 간 거리가 90cm인 휠체어 리프트에서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 리프트의 호출버튼을 누르려다 휠체어 뒷바퀴가 계단에 걸려 추락함(2017.10.20.)

그러나, 11개소*의 역무원 호출버튼과 계단과의 거리**는 평균 114cm이었고 61cm에 불과한 곳도 있어 추락사고 발생이 우려되었고, 3개소(27.3%)는 호출버튼이 작동되지 않아 휠체어 리프트 사용이 어려웠다.

* 조사대상 지하철 역사 35개소 중 경사형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된 역사 11개소

** 호출버튼이 2개인 경우 계단과 가까운 곳에 설치된 호출 버튼과 계단과의 거리 측정

◎ 지하철 역사 진입 어렵고 환승 안내도 미흡해

역사 출입구 70곳* 중 엘리베이터가 없어 휠체어 출입이 어려운 31곳의 이동편의시설 안내표지 설치 여부를 조사한 결과, 12곳(38.7%)이 안내표지가 없거나 있어도 이동 편의시설의 위치가 표시되어있지 않아 휠체어 이용자가 역내로 진입하기 어려웠다.

* 조사대상 지하철 역사 35개소별 출입구 2곳씩 조사(35개소 x 2곳)

환승구간 26개소* 중 9개소(34.6%)는 엘리베이터에 ‘환승’ 또는 ‘나가는 곳’ 등 출입구에 대한 안내가 없어 휠체어 이용자의 환승이 쉽지 않았고, 환승 이동수단이 고장났음에도 안내표시가 없어 환승로를 다시 되돌아와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 조사대상 지하철 역사 35개소 중 환승역 17개소의 환승구간

◎ 장애인의 안전한 지하철 이용을 위한 관리강화 및 기준마련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지하철 내 장애인 안전·편의시설 개선 및 관리·감독 강화 ▲지하철 내 장애인 안전시설 설치 기준(에스컬레이터 역방향 진입 시 경고음 장치 설치·엘리베이터 광감지식 개폐장치 설치 의무화 등) 마련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12-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91 위험 및 주의문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헤드라이트 복원 용액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4190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흡한 Bondi Sands 자외선 차단 로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4189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4188 제조 품질이 불량한 CAO MM 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4187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피규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5.13
4186 로또 당첨번호 예측서비스, 소비자피해 여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5.29
4185 하도급대금 조정 관련 분쟁 및 피해 예방을 위한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1.13
4184 눈 마사지기 1개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1.16
4183 알러지원 성분이 함유된 Akai Bohshi 쿠키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1.20
4182 배터리 단락 위험 있는 Aiper 수영장 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8
4181 질식 위험이 있는 Make Believe Ideas 보드북 (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8
4180 삼킴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ZDZBLX 자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9
4179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우유)가 함유된 Funny-frisch 프레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9
4178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Shan Lahori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20
4177 불완전 장착 가능성 있는 Salomon Summit 9 BR 스키바인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21
4176 화상 등 부상 위험 있는 Rene Rofe 유아용 목욕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21
4175 단락 발생 위험 있는 Nuby 야간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1.05
4174 주행 중 돌발서행 발생하는 기아㈜ K8 하이브리드 차량 무상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1.05
4173 시력 손상 위험 있는 VSSHE 반려동물용 레이저포인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1.04
4172 겉감 발수 처리가 미흡한 Goldwin 아웃도어 팬츠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1.08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