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초콜릿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간식으로 특히 단맛을 좋아하는 어린이들이 즐겨 찾는 어린이 기호식품이다. 그러나 일부 제품은 카페인 함량이 어린이의 일일 최대섭취권고량*에 근접하거나 초과할 수 있어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 판매 중인 초콜릿류 25개 제품**에 대한 카페인 함량 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 국내 카페인 일일 최대섭취권고량 : 성인(400㎎), 임산부(300㎎), 영유아·어린이(단위체중(kg) 당 2.5㎎)
**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의 초콜릿류 종류 중 밀크초콜릿 12개, 초콜릿 13개 제품 선정


□ 일부 초콜릿 카페인 함량, 콜라 등 탄산음료 보다 높은 수준

  조사대상 초콜릿류 25개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1개 당 3.7~47.8㎎(평균 17.5㎎) 수준으로 제품 간 최대 13배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제품은 성인이 주로 섭취하는 커피음료(88.4㎎)나 에너지음료(58.1㎎)에 비해서는 낮으나, 콜라(23㎎)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었다.

  식품유형별로는 (다크)초콜릿*(13개, 평균 22.8㎎)이 밀크초콜릿**(12개, 평균 11.8㎎) 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의 초콜릿 : 코코아고형분 30% 이상(코코아버터 18% 이상, 무지방고형분 12% 이상)
**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의 밀크초콜릿 : 코코아고형분 20% 이상(무지방고형분 2.5% 이상), 유고형분 12% 이상(유지방 2.5% 이상)


  제품별로 보면 롯데쇼핑(주) 롯데마트 사업본부의 ‘시모아 다크초콜릿’(47.8㎎), 티디에프코리아(주)의 ‘까쉐우간다 다크초콜릿’(44.0㎎)의 카페인 함량이 가장 높았다.

□ 어린이, 초콜릿 과다 섭취 주의 필요해

  어린이(만 3~11세)의 카페인 일일 최대섭취권고량*은 44~96㎎으로 성인(400㎎)에 비해 현저히 낮아 상대적으로 카페인에 취약한 어린이의 경우 초콜릿에 함유된 카페인만으로도 일일 최대섭취권고량을 초과할 수 있었다.
* 만 3∼5세 : 44mg, 만 6∼8세 : 63~66mg, 만 9∼11세 : 89~96mg(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표준체중 근거)

  특히 2개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만 3~5세 일일 최대섭취권고량(44㎎)을 초과하는 수준이었고, 4개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만 6~8세 일일 최대섭취권고량(63~66㎎)의 절반 수준에 달해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이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


□ 사업자의 자발적인 카페인 함량 정보 제공 필요해

  커피, 에너지음료 등의 액체식품은 주의문구 및 카페인 함량을 표시*해야 하지만 어린이가 주로 섭취하는 초콜릿류, 코코아가공품류 등은 표시의무가 없어 카페인 함량을 소비자가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0.15㎎/㎖ 이상인 액체식품은 “어린이, 임산부, 카페인 민감자는 섭취에 주의” 문구와 함께 ”고카페인 함유“ 및 ”총카페인 함량“을 표시

  특히 커피를 통해 대부분의 카페인을 섭취하는 성인과 달리 어린이는 초콜릿류, 코코아가공품류, 탄산음료, 가공유류 등 카페인 섭취경로가 다양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 정보제공 강화 차원에서 관련 사업자에게 ▲자발적인 카페인 함량 정보 제공을 권고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초콜릿류 등 어린이 카페인 섭취 주요 기여식품군의 카페인 함량 모니터링 강화 및 어린이 기호식품의 카페인 함량 표시의무화 검토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8-12-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174 쿠션 조각 섭취 시 질식 위험 있는 CLEK 유아용 카시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2.03.10
1173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한 은행사칭 피싱에 대한 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3.04.04
1172 1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8.01.02
1171 시중 유통 도시락, 햄버거 등 즉석섭취식품 벤조피렌 안전한 수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8.01.17
1170 Vornado 전기히터(VH101), 과열로 화재나 화상 유발할 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8.06.21
1169 경찰청에서 배포 중인 폴-안티스파이 사칭한 악성앱 유포, 내사 착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3.14
1168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3.14
1167 봄철 야생초로 담금주 만들 때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4.08
1166 팽이버섯 생산업체에 대한 위생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0.03.18
1165 포장 결함 있는 Green Giant 옥수수 통조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0.08.24
1164 발화 위험있는 audio-technica(오디오 테크니카) 무선이어폰(ATH-CK3TW SI)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1.05.12
1163 식용불가 '나비완두콩 꽃' 사용 음료 섭취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2.02.23
1162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 있는 Pine-Sol 다용도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1.12
1161 손잡이 파손 위험으로 리콜된 Mytrex Rebive 전기마사지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4.07
1160 분리된 배선이 포함되어 전기 감전이 위험이 있는 Blueque 젤네일 램프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4.07
1159 2017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7.09.18
1158 Caro White 미백화장품(Lightening Beauty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03.21
1157 해외 사기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11.26
1156 소규모 관광숙박 시설의 안전기준 더욱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12.20
1155 SLV 스탠드조명, 감전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2.07
Board Pagination Prev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