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겨울철, 전기매트류 화재·화상 사고 주의

- 제품 구매 시 KC마크 확인하고, 안전사용 수칙 준수해야 -


겨울철 전기장판, 전기요, 온수매트 등 난방용 전열기기의 사용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전기매트류 이용 시 화재·화상 등 안전사고에 대한 주의를 촉구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 6개월간(‘15.1.~‘18.6.)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기매트류 관련 안전사고 사례는 총 2,411건*이며, 금년 상반기 접수 건은 524건으로, 이미 전년 접수건(520건)을 넘어섰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현황 : (’15년) 750건 → (’16년) 617건 → (’17년) 520건 → (’18. 6.) 524건

◎ ‘12~2월’ 겨울철에 안전사고 집중, 주로 ‘화재·과열·폭발’ 사고 다발

품목별로는 ‘전기장판·전기요’가 1,467건(60.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온수매트’ 913건(37.9%), ‘전기방석’ 31건(1.3%)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시기는 ‘겨울(12~2월)’이 154건으로 53.3%를 차지했으며, 특히 1월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1~’17.12.중 발생시기가 확인되는 289건 대상).

사고유형은 ‘화재·과열·폭발’이 1,516건(62.9%)으로 가장 많았고, 기능 고장, 파열·파손 등 ‘제품 품질·구조’로 인한 사고 407건(16.9%), ‘누수·누전’ 382건(15.8%) 순으로 나타났다.

손상증상은 장시간 피부 접촉이나 화재 발생 등에 따라 ‘화상’이 667건으로 88.0%를 차지했고(증상 확인가능한 758건 대상), 손상부위는 전기매트에 앉거나 누웠을 때 닿는 면이 넓은 ‘둔부·다리 및 발‘이 350건(46.2%)으로 가장 많았다(부위 확인가능한 758건 대상).

◎ 구매 시 KC마크 확인하고, 주의사항 숙지해야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전기매트류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선 제품 구매 시 반드시 KC마크와 안전인증번호를 확인할 것과 과열에 대처하기 어려운 노약자, 영유아는 사용을 자제할 것, 저온화상 예방을 위해 맨살 접촉을 피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라텍스 재질의 침구는 열 흡수율이 높고 열이 축적되면 잘 빠져나가지 않아 화재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절대 전기매트류와 같이 사용하지 말 것, 제품 보관 시에는 열선이 꺾일 수 있으므로 접지 말고 둥글게 말아서 보관할 것 등을 강조했다.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시기별 위해가 다발하는 품목에 대해 안전사고 유형과 원인 등을 심층 분석해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다할 것임을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1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191 새 학기 초등학생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9.03.07
1190 노인요양시설 내 대형가전 전기화재 위험 상존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19.03.07
1189 해외용 포켓 와이파이, 통신 장애 시 배상받기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19.03.06
1188 생활 속 미세먼지 대처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3.06
1187 안전인증 의무화 등 승강기 안전관리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9.03.05
1186 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19.03.05
1185 봄철 수산물 패류독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9.03.05
1184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19.02.28
1183 2018년 보이스피싱 피해액, 역대 최고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9.02.28
1182 해외여행 전에 꼭 확인해요, 국가별 여행경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9.02.27
1181 봄의 시작, 3월에는 이런 재난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9.02.27
1180 이동통신서비스 관련 고령소비자 피해 지속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9.02.27
1179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홍역·수두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2.27
1178 국표원, 어린이가방·학용품 등 51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9.02.27
1177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착색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2.27
1176 바디미스트 제품, 알레르기 유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9.02.26
1175 씻은 채소는 반드시 냉장보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2.26
1174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02.25
1173 궁금한 독성정보, 톡스인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2.22
1172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2.22
Board Pagination Prev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