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겨울철, 전기매트류 화재·화상 사고 주의

- 제품 구매 시 KC마크 확인하고, 안전사용 수칙 준수해야 -


겨울철 전기장판, 전기요, 온수매트 등 난방용 전열기기의 사용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전기매트류 이용 시 화재·화상 등 안전사고에 대한 주의를 촉구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 6개월간(‘15.1.~‘18.6.)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기매트류 관련 안전사고 사례는 총 2,411건*이며, 금년 상반기 접수 건은 524건으로, 이미 전년 접수건(520건)을 넘어섰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현황 : (’15년) 750건 → (’16년) 617건 → (’17년) 520건 → (’18. 6.) 524건

◎ ‘12~2월’ 겨울철에 안전사고 집중, 주로 ‘화재·과열·폭발’ 사고 다발

품목별로는 ‘전기장판·전기요’가 1,467건(60.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온수매트’ 913건(37.9%), ‘전기방석’ 31건(1.3%)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시기는 ‘겨울(12~2월)’이 154건으로 53.3%를 차지했으며, 특히 1월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1~’17.12.중 발생시기가 확인되는 289건 대상).

사고유형은 ‘화재·과열·폭발’이 1,516건(62.9%)으로 가장 많았고, 기능 고장, 파열·파손 등 ‘제품 품질·구조’로 인한 사고 407건(16.9%), ‘누수·누전’ 382건(15.8%) 순으로 나타났다.

손상증상은 장시간 피부 접촉이나 화재 발생 등에 따라 ‘화상’이 667건으로 88.0%를 차지했고(증상 확인가능한 758건 대상), 손상부위는 전기매트에 앉거나 누웠을 때 닿는 면이 넓은 ‘둔부·다리 및 발‘이 350건(46.2%)으로 가장 많았다(부위 확인가능한 758건 대상).

◎ 구매 시 KC마크 확인하고, 주의사항 숙지해야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전기매트류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선 제품 구매 시 반드시 KC마크와 안전인증번호를 확인할 것과 과열에 대처하기 어려운 노약자, 영유아는 사용을 자제할 것, 저온화상 예방을 위해 맨살 접촉을 피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라텍스 재질의 침구는 열 흡수율이 높고 열이 축적되면 잘 빠져나가지 않아 화재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절대 전기매트류와 같이 사용하지 말 것, 제품 보관 시에는 열선이 꺾일 수 있으므로 접지 말고 둥글게 말아서 보관할 것 등을 강조했다.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시기별 위해가 다발하는 품목에 대해 안전사고 유형과 원인 등을 심층 분석해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다할 것임을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1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116 안전하고 희망찬 새해 맞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8.12.27
1115 식품·장난감 모양의 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8.12.27
1114 자궁경부암 예방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중1(2005년생) 여학생은 12월 31일까지 꼭 맞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18.12.27
1113 키즈카페 안전관리는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8.12.26
1112 제주 한달살기 숙박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5 2018.12.26
1111 더 이상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 곁엔 139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18.12.26
1110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시, 즉시 119에 도움 요청, 신속한 응급실 이송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8.12.26
1109 스키 탈 때 헬멧‧보호대 꼭 착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8.12.20
1108 국표원, 액체괴물·전기매트 등 132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12.20
1107 소규모 관광숙박 시설의 안전기준 더욱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8.12.20
1106 '정수기 화상 예방 캠페인'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8 2018.12.20
1105 '어린이용 기저귀' 국민청원 안전검사 결과 "위해우려 없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18.12.20
1104 수입 갈랑가(갈) 제품이 흑생강으로 확인되어 회수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18.12.20
1103 식약처, 발사르탄(고혈압약 원료) 복용환자 영향평가 결과 및 추가 조사현황 등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8.12.20
1102 겨울철 대설.한파,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12.18
1101 지하철, 장애인 이용 시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18.12.18
1100 모잠비크 카보델가도주(州) 여행경보단계 상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12.18
1099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예방 관리 강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18.12.18
1098 지인을 사칭한 메신저피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8.12.18
1097 겨울 산행 사고 대부분은 골절·상처…방한복 준비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8.12.17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