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동킥보드, KC마크 확인하고 최고속도 25km/h 이하 제품 구입해야

- 불법·불량 제품 사용 시 안전사고 위험 높아 -


개인형 이동수단의 하나인 전동킥보드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증 정보가 없거나 과속 우려가 있는 제품이 다수 유통되고 있어 구입 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3년 10개월간(2015.1.~2018.10.)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동킥보드 관련 위해사례는 총 384건**으로, 올해에는 10월 기준 전년 동기(115건) 대비 약 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연도별 현황 : (’15년) 5건 → (’16년) 51건 → (’17년) 125건 → (’18년 10월) 203건

위해원인별로는 기능 고장, 부품 탈락, 파손 등 ‘제품의 품질·구조’로 인한 경우가 251건(65.4%)이었고, 미끄러짐, 넘어짐, 부딪힘 등 ‘주행 중 충격’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가 113건(29.4%), 배터리나 충전기의 ‘화재·과열·폭발’로 인한 경우는 17건(4.4%) 등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인증을 받지 않거나 최고속도 안전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제품의 사용이 안전사고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례를 상당수 확인하고 통신판매중개업자 정례협의체**와 협력하여 전동킥보드 온라인 판매게시물의 표시 현황을 조사했다.

* 최고 속도 25km/h 이하(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32,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17-032호)

** ‘온라인 유통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국소비자원과 네이버, 11번가, 이베이코리아, 인터파크, 쿠팡 등 5개사가 참여하는 정례협의체

조사 결과, 인증 정보가 없거나 최고속도가 안전기준(25km/h 이하)을 초과하는 것으로 표시된 온라인 판매게시물이 총 2,155건 확인되어 1,674건을 삭제하고 481건에 대해서는 표시개선 조치를 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소비자들에게 전동킥보드 구입 시 ▲KC마크*와 인증번호 ▲최고속도 안전기준(25km/h 이하) 적합 여부 ▲A/S 정책 등을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통신판매중개업자 정례협의체에는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전동킥보드 온라인 판매게시물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조치를 요청했다.

* Korea Certification의 약자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법으로 정한 특정 제품을 유통·판매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제품에 표시돼야 하는 마크임. 안전·보건·환경·품질 등의 강제인증 분야에 국가적으로 단일화한 마크임.



[ 한국소비자원 2018-12-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89 벤젠 검출된 Coppertone 유아용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12.21
2388 표시사항 기준을 위반한 Weaver Livestock 애완동물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10.27
2387 TC Electronic 기타조율기(Polytune Clip, Polytune Clip Black, Unitune Clip) 단추형 전지관련 주의 경고 표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8.21
238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5.03
2385 겨울철 전기장판 사용 시 저온화상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2.14
2384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임신 20주 이후 사용 제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19
2383 축산물 해썹 인증제 도입하여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08
2382 단추 탈락으로 영유아 삼킴·질식 위험 있는 유아용 겉싸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08.24
2381 여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07.28
2380 본격적인 겨울 시작, 한랭 질환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1.29
2379 여름 불청객, 벌 쏘임 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8.19
2378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여름휴가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7.18
2377 봄철 수산물 패류독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3.05
2376 설 명절 교통사고 화재 등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02.08
2375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Brooklyn Bean 캡슐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4.06
2374 ‘어린이 키성장’ 등 불법·부당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3.16
2373 감전 위험이 있고 전기 설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Algam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1.17
2372 해외서버 이용 국내 사기사이트 급증, 입금자명에 할인코드 입력 요구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6.23
237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LACKINGONE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6.13
2370 부정 물질(실데나필, 타다라필) 검출된 Positive-Health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4.01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