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신청·접수, 내년 1월 중순 서비스 실시 -
- 관리계획 하에 포괄서비스(검사, 치료 및 점검·평가 및 교육·상담 등) 제공-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동네의원이 고혈압·당뇨병 환자를 지속 관찰하고 상담·교육 등을 제공하는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참여 지역을 12월 11일(화)부터 21일(금)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

 ○ 이번 시범사업은 만성질환 증가에 적극 대처하고, 동네의원이 본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민의 건강보호 및 증진 그리고 의료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추진된다.

< 시범사업의 특징 >

□ 보건복지부는 그간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다양하게 시행되어 온 만성질환관리 사업의 장점을 살려 단계적으로 통합한다는 방향에 따라,

 ○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 이건세 건국의대 교수, 권준욱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의 논의를 거쳐 우선적으로 통합 가능한 두 가지 사업*을 연계하여 모형을 마련했다.

   * 지역사회 일차의료시범사업(’14.11∼‘18.12)의 질병․건강 교육과 만성질환 관리 수가 시범사업(’16.9∼‘18.12)의 스마트폰, 인터넷 등을 활용 혈압·혈당 지속관찰·관리

 ○ 또한, 고혈압학회 및 당뇨병학회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기존 질병관리계획(케어플랜)을 보완하고, 환자 상태에 대한 점검·평가 과정을 추가하였으며, 교육상담 방법과 내용을 다양화했다.

   *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프로토콜 및 교육 콘텐츠 마련 연구(’18.9월~12월)

□ 특히,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동네의원의 서비스 향상을 위해 전문인력인 ‘케어 코디네이터’를 활용하여 만성질환자에 대한 포괄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한다.

 ○ 케어 코디네이터는 간호사, 영양사 등의 자격조건을 갖춘 자로서 의사·간호사·영양사 등이 팀을 이루어 관리계획 수립부터 자원연계까지 환자 중심의 포괄적인 케어를 제공할 수 있다.

 ○ 간호사 등 케어 코디네이터 고용을 위해 시범사업에서는 환자관리료, 교육·상담료 등의 수가를 마련하였으며, 케어 코디네이터 고용에 대해서는 동네의원에서 환자 수 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 또한, 영양, 운동교육은 보건소, 건강보험공단 지사 등 지역 협력기관에 의뢰할 수 있도록 했다.

◇ 케어 코디네이터 개요

▪[자격] 간호사 또는 영양사 면허증 소지자로 케어 코디네이터 관련 교육 이수자

▪[업무] ①환자 등록·안내, ②의사 지원*, ③환자 모니터링·상담**, ④진료안내/확인, ⑤자원연계, ⑥생활습관 개선 교육 등 환자관리 업무 전반 수행

       * 케어플랜 수립, 추적관리, 평가 업무 등   ** 가정 혈당/혈압, 약물순응도, 생활습관 실천여부 등


< 서비스 내용 >

□ 이번 시범사업에서 동네의원은 고혈압·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대면진료 및 약물치료에 더하여 포괄적인 환자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 ▴환자의 질환 및 생활습관을 파악하여 1년 단위의 관리계획(케어플랜)을 수립한 후, ▴문자·전화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통한 점검(모니터링)·상담, ▴질병 및 생활습관 개선 교육을 제공한다.

 ○ 혈압·혈당 등 임상수치, 생활습관 개선 목표 달성정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평가하여 맞춤형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했다.

 

<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통합서비스 제공 프로세스 > : 붙임 참조


< 시범수가 및 환자 본인부담 >

□ 시범사업에서는 기존 진찰료와는 별개로 포괄평가 및 계획수립, 환자관리료, 교육·상담료, 점검 및 평가에 대한 시범수가를 책정하였다.

<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통합서비스 시범수가 >

 

분류

금액(

비 고

1. 포괄평가 및 계획관리료

  

  

포괄평가 및 계획수립

43900

1회 산정

점검 및 평가

24500

2회 산정

2. 환자관리료

28000

4회 산정(분기별)

3. 교육·상담료

  

  

초회 교육상담

34500

1회 산정

기본 교육상담

  

8회 산정

(1) 통합

  

  

(개인

1400

 

(집단

3,100

  

(2) 생활습관개선

  

  

(개인

8,900

  

(집단

2,600

  

집중 교육상담

  

1회 산정

(1) 개인

19200

  

(2) 집단

5,700

  

 

  

 ○ 시범수가에 대한 환자의 본인부담률은 10%로 산정하되, 문자·전화 모니터링과 상담 등이 포함된 환자관리료에 대한 환자 본인부담금은 면제한다.

    * 시범사업 참여 시 환자의 연간 본인부담금은 1만6000원~2만3000원 수준

□ 환자의 참여 활성화를 위해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40세 이상 고혈압․당뇨병 환자에게 맞춤형 검진 바우처(이용권)가 제공되며 참여의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

 


<  질환별 검사바우처 항목 >

고혈압

당뇨병

고혈압 당뇨병

심전도포타슘(K), 소디움(Na)

미세알부민뇨안저당화혈색소

심전도포타슘(K), 소디움(Na), 미세알부민뇨안저당화혈색소

 


□ 이번 시범사업에서 의원당 참여 환자수는 최대 300명으로 하였고, 시범사업의 소요예산은 환자 1인당 24~34만원으로 의원 1,000여개소, 환자 25만명 참여시 565~807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시범사업 신청절차 >

□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지역의사회는 신청서류를 작성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출하면 된다.

 ○ 이번 공모기간 동안 모집대상은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참여지역과 ‘만성질환관리 수가 시범사업’에 5개 의원 이상 참여지역의 지역의사회에서 신청할 수 있다.

 ○ 지역 선정은 올해까지 완료하여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등에 공지할 예정이다.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참여 지역 모집 계획(1) >

 

모집대상 ··구 지역의사회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참여지역

만성질환관리 수가 시범사업에 5개 의원 이상 참여한 지역 등 89개 시군구(붙임1))

 

모집기간 : ‘18.12.11.() ~ 12.21.(* (2) ‘19.1.22.() ~ 2.1.()

 

신청조건 지역 내 20개 이상 의원 모집

보건소·건강보험공단 지사 등 지역 보건의료기관과 협력체계 구축

 

접수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인(http://hi.nhis.or.kr/main.do)서 신청·접수

 

제출서류 시범사업 참여 신청서 및 계획서 등 공고문 참조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 알림 → 공지사항 → 공고

 

 

 ○ 보건복지부와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추진단(단장 박형근 제주대 교수)은 시범사업 참여희망 지역의사회, 의원 등을 대상으로 12.12.(수) 사업 설명회(19시,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대회의실)를 실시하여 시범사업에 대한 상세한 소개 및 공모방법을 안내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다.

 ○ 신규지역은 2019년 3월부터 상시적으로 신청을 받고, 서비스 제공은 분기별로 시행할 계획이다.

□ 이번 시범사업은 향후 1년 간 진행될 예정이며, 서비스 모형의 적합성, 만성질환 관리의 효과성, 수가 및 본인부담률의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본 사업으로 전환하면서 개선·조정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권준욱 건강정책국장은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가 활성화되도록 시범사업을 진행·평가하고, 향후 고혈압과 당뇨병 외에 대상 질병군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연구 및 모형개발, 그리고 다양한 전문인력의 역할 확대 방안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8-12-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7 안전기준 부적합 충전지 사용 휴대기기 회수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9 41
6566 일상 속 「보험사기 피해예방 알쓸신잡」 시리즈 [4/4]- [금융꿀팁 200선- 98]방심은 금물! 일상생활 속 스며든 보험사기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1
6565 금년 상반기 온라인 해외구매 소비자불만 전년 대비 65.7%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1
6564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 비자의입원 환자의 권리를 다시 한 번 살핀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41
6563 사업자가 수집·이용·제공한 내 개인정보 확인하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9 41
6562 '수입콩 사용 두부에서 GMO 유전자가 검출됐다'는 최근 보도에 대한 해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41
6561 모든 국민의 생애주기별 꿈의 설계를 돕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6 41
6560 「2018년 국세통계연보」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7 41
6559 22개 주요 공공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4 41
6558 건강한 설 명절을 위한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제공(의료제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1 41
6557 위험천만 급경사지, 소교량 등 사고예방 위해 사전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1 41
6556 ’18년 부동산 거래신고 위반 적발건수 전년 대비 약 3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41
6555 친환경인증농지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다면, 임대한 농지라도 인증변경을 하지 않은 농민이 책임져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4 41
6554 시도가 설치한 대기배출시설, 환경부가 직접 관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5 41
6553 주거이전비 지급대상 ‘세입자’에 무상거주자도 포함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3 41
Board Pagination Prev 1 ...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