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잠정적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1% 감소한 3,443명으로 집계되었다. 지난 1월 발표한 교통안전종합대책에서 역점을 두고 관리 중인 보행자 사고 사망자의 경우 1,318명으로 보다 큰 폭(∆12.7%) 감소하였다.

특히, 보행사고 사망자가 급증하는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보행사고 다발지역*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교통안전시설 개선** 및 교통안전활동***을 실시한 결과, 3개월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는 17.5%(1,218→1,005, 213명↓), 보행 사망자는 22.6%(514→398, 116명↓) 각각 감소하였다.
* 최근 3년간 교통사고 분석, 사망 및 중상사고 5건 이상 발생 지점 6,379개소 선정
** 횡단보도 3,000개소, 횡단보도 투광기 4,198개소, 보행자 방호울타리 2,815개 등 보행안전시설 신규 설치 및 일출·일몰 전후 박명 시간대 가로등 점등시간 연장 등
*** 전체 교통단속 278,422건 중 사고다발지역 내 단속이 47.9%(131,746건) 차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경찰청(청장 민갑룡)은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에 부응하고, 지자체의 교통안전 노력도를 제고하고자 올해 11월까지 지자체별 교통사고 현황(잠정 사고통계)과 ’17년 지자체별 교통안전시설 개선 추진실적 등을 공개하였다.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는, 광주(∆34.9%), 강원(∆20.7%), 부산(∆17.5%), 경기(∆17.0%), 대구(∆16.8%), 전남(∆15.0%)의 경우 사망자 수가 15% 이상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울산(+34.0%), 대전(+11.4%), 인천(+10.1%), 제주(+2.7%), 충남(+0.9%)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보행자 사고는 강원(∆35.7%), 광주(∆32.3%), 충북(∆32.0%), 전북(∆31.3%)의 경우 30% 이상 크게 감소하였고, 경남(+22.6%), 울산(+20.8%), 대전(+16.2%), 충남(+15.5%)은 10% 이상 증가하였다.

연령대별로는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는 전반적으로 크게 감소(∆32.0%)하였으나, 경기, 서울, 인천 지역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였고, 고령자의 경우 전체 사망자 수는 다소 감소(∆6.0%)하였으나, 울산(+120.0%), 대전(+40.9%), 충남(+28.9%) 등은 크게 증가하였다.

사업용 차량의 경우에는 전체 11.3% 감소하였고, 인천(+60.9%), 제주(+55.6%), 대전(+38.5%) 등은 증가한 반면, 강원(∆68.3%), 광주(∆50.0%), 전남(∆29.2%), 경기(∆21.2%)등은 크게 감소하였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 해 시·도별로 추진한 교통안전 실적 및 주요지표를 제출 받아 공개하였다.

인구 천명 당 교통안전시설에 투입한 예산은 강원도가 206.8백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가 0.7백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대구광역시는 전체 사업용자동차 운전자 중 74.3%에 대해 안전교육을 실시하였으나, 경기도는 전체의 0.1%에 대해서만 교통안전 교육을 실시하였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교통안전 시설개선 실적 등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지자체별로 교통안전에 대한 관심의 정도의 차이가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역교통 정책의 핵심 주체인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지역 주민들의 교통환경도 더 안전해 질 것이라며, 교통안전시설개선, 단속·홍보 강화, 사업용 자동차 안전관리 등 보다 적극적인 교통안전 대책을 추진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지자체별 교통사고 현황과 개선 노력을 상세히 공개하여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하며, 지자체의 역할과 책임을 강화할 계획이라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38 플라스틱 배달용기 사용 줄이고 재활용률 높일 방안 마련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4 49
8137 봄철 산불예방 위해 국립공원 탐방로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0 49
8136 2022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49
8135 오토바이 안전모 미착용 시 사망률 2.9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4 49
8134 오늘부터 반려견 등록하면 과태료 걱정 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19 49
8133 5월 종합소득세 · 개인지방소득세, 홈택스로 쉽고 편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8 49
8132 사과주스 4개 제품에서 파튤린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5 49
8131 "산재보험법" 및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3. 23.~5. 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3 49
8130 행안부, 정부24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 전용창구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3 49
8129 여러분도 안전한 헌혈에 동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49
8128 경사진 주차장에는 고임목 설치해야 … 개정 「주차장법」, 6월 25일부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9 49
8127 한부모·조손가족에게 힘이 되는 정보, 한 곳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0 49
8126 2019년 처음 실시한「만3세 아동 소재·안전 전수조사」완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1 49
8125 "푸른등대 건설근로자공제회 기부장학금" 신청.접수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30 49
8124 2019년 11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1 49
Board Pagination Prev 1 ...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