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자동차를 꾸미는 운전자가 증가하면서 디자인은 물론그립감 등 운행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차량용 핸들커버가 판매되고 있으나,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차량용 핸들커버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한 유해물질 안전성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일부 차량용 핸들커버에서 유럽연합 리콜 대상 유해물질 검출

핸들커버는 운전자의 손과 장시간 접촉이 이루어지고, 땀 등으로 인해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인체에 노출될 우려가 높다.

유해물질 함량 시험결과, 조사대상 20개 중 3개(15.0%) 제품에서 유럽연합에서 유해물질로 관리하고 있는 단쇄염화파라핀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검출되었다.

2개 제품에서 유럽연합 잔류성유기오염물질규정(POP regulation) 기준(1,500mg/kg)을 최대 1.9배(2,986mg/kg) 초과하는 단쇄염화파라핀이 검출되었고, 1개 제품에서는 유럽연합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기준(1mg/kg 이하)을 27.3배(27.3mg/kg) 초과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검출되었다.


[ 유해 물질 검출범위 및 기준초과 제품 ]

물질명

기준명

기준치(mg/kg)

기준초과 검출 제품

검출치

단쇄염화파라핀

유럽연합 POPs

(잔류성유기오염물질규정)

1,500

하이퍼인터내셔널()/ PAVONI

카본 스포티 핸들커버(370mm)

1,896

카닉스/ CARNIX 판테온 트럭

핸들커버(490mm)

2,986

다환방향족탄화수소 (8)

유럽연합 REACH

(신화학물질관리제도)

1.0

Tree/ 블랙 레더 핸들커버

GTS23358(불명)

최 대 27.3mg/kg

(총 합 61.5)


?단쇄염화파라핀(SCCPs) : 자연환경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면역체계 교란·중추신경계 손상 등을 유발하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일종으로 국제암연구소(IARC) 에서는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로 분류하고 있음.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중 벤조(a)피렌은 1군 발암물질로 피부접촉시 홍반, 색소침착, 박리, 가려움 등을 유발할 수 있고, 2B군 발암물질인 크라이센은 홍반, 여드름성 병변, 자극감 등을 유발하며, 벤조(a)안트라센은 동물실험시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남.


유럽연합은 환경에 오랫동안 잔류하면서 사람과 생태계에 위해를 미치는 단쇄염화파라핀을 모든 완제품에 1,500mg/kg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의류·장갑·요가매트·자전거 핸들·스포츠 라켓·손목밴드 등 피부 또는 구강과 장·단시간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제품에 대해 다환방향족탄화수소 8종의 함량을 각 1mg/kg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소비자 제품에 대한 단쇄염화파라핀 안전기준이 부재하며, 다환방향족탄화수소도 실외체육시설의 인조잔디나 탄성 포장재에 대해서만 KS 기준(총합 10mg/kg 이하)이 설정되어 있다.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저감화 필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어린이제품에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 우리나라와 유럽연합은 피부 또는 점막 등을 통해 노출될 우려가 있는 합성수지제품에 대해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우리나라 DEHP·DBP·BBP 3종, 유럽연합 DEHP· DBP·BBP·DIBP 4종)의 함량을 0.1%이하로 제한할 예정이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량 시험 결과, 조사대상 20개 중 10개(50.0%) 제품에서 최소 0.2%에서 최대 10.6%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규제 예정 기준(0.1%이하)을 초과하는 것으로 사업자의 품질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에서 단쇄염화파라핀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검출된 제품의 사업자에게 제품의 판매중지 및 회수 등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고, 해당 업체는 이를 수용해 즉시 회수 조치하기로 하였다. 또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된 제품의 사업자는 향후 제품 생산 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저감화 하는 등 품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


√ 유해물질 기준초과 검출 제품은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http://www.kca.go.kr) 또는 행복드림(https://www.consumer.go.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한국소비자원 2018-1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51 규정 준수 문서가 누락된 회색·검정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6.05
3350 균열이 쉽게 생겨 낙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Fischer 스키부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0.04.13
3349 근거리 시력 저하되는 50대 이상에서 안약 오인 점안사고 다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8.25
3348 글로벌 OTA, 외국적 항공사 이용 시 소비자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7.04
3347 글로벌 숙박 플랫폼, 가격 표시에 숨은‘다크패턴’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8.10
3346 글로벌 호텔 예약 사이트‘아모마닷컴(AMOMA.com)’폐업, 소비자 피해 우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9.09.20
3345 글리시돌(glycidol) 기준 초과 검출된 오메가3 영양제(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09.26
3344 글리시돌(glycidol) 기준 초과 검출된 오메가3 영양제(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26
3343 글리포세이트 성분 함유된 Arche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9.13
3342 글리포세이트 성분 함유된 사쿠라표 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12.21
3341 금감원, 나이롱환자 등의 허위입원을 조장하는 한방병원 무더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7.12.21
3340 금감원을 사칭하는 가짜 이메일 피싱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18.08.09
3339 금속 부스러기가 음식에 혼입될 수 있는 Kitchencraft 치즈 그레이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4.12
3338 금속 이물 혼입 수입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9.02.14
3337 금속 이물질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Kool-Aid 음료 가루 재고 폐기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2.03.08
3336 금속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Wakodo 콩가루 쿠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07.18
3335 금속 이물질 혼입 위험 있는 MAISON COLIBRI 다크 초콜릿 마들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2.02.10
3334 금속 이물질 혼입 위험 있는 MAISON COLIBRI 헤이즐넛 마들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2.02.10
3333 금속 이물질 혼입돼 부상 위험 있어 리콜된 Chupa Chups 사탕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1.12
3332 금속 입자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Apoday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