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자동차를 꾸미는 운전자가 증가하면서 디자인은 물론그립감 등 운행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차량용 핸들커버가 판매되고 있으나,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차량용 핸들커버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한 유해물질 안전성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일부 차량용 핸들커버에서 유럽연합 리콜 대상 유해물질 검출

핸들커버는 운전자의 손과 장시간 접촉이 이루어지고, 땀 등으로 인해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인체에 노출될 우려가 높다.

유해물질 함량 시험결과, 조사대상 20개 중 3개(15.0%) 제품에서 유럽연합에서 유해물질로 관리하고 있는 단쇄염화파라핀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검출되었다.

2개 제품에서 유럽연합 잔류성유기오염물질규정(POP regulation) 기준(1,500mg/kg)을 최대 1.9배(2,986mg/kg) 초과하는 단쇄염화파라핀이 검출되었고, 1개 제품에서는 유럽연합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기준(1mg/kg 이하)을 27.3배(27.3mg/kg) 초과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검출되었다.


[ 유해 물질 검출범위 및 기준초과 제품 ]

물질명

기준명

기준치(mg/kg)

기준초과 검출 제품

검출치

단쇄염화파라핀

유럽연합 POPs

(잔류성유기오염물질규정)

1,500

하이퍼인터내셔널()/ PAVONI

카본 스포티 핸들커버(370mm)

1,896

카닉스/ CARNIX 판테온 트럭

핸들커버(490mm)

2,986

다환방향족탄화수소 (8)

유럽연합 REACH

(신화학물질관리제도)

1.0

Tree/ 블랙 레더 핸들커버

GTS23358(불명)

최 대 27.3mg/kg

(총 합 61.5)


?단쇄염화파라핀(SCCPs) : 자연환경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면역체계 교란·중추신경계 손상 등을 유발하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일종으로 국제암연구소(IARC) 에서는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로 분류하고 있음.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중 벤조(a)피렌은 1군 발암물질로 피부접촉시 홍반, 색소침착, 박리, 가려움 등을 유발할 수 있고, 2B군 발암물질인 크라이센은 홍반, 여드름성 병변, 자극감 등을 유발하며, 벤조(a)안트라센은 동물실험시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남.


유럽연합은 환경에 오랫동안 잔류하면서 사람과 생태계에 위해를 미치는 단쇄염화파라핀을 모든 완제품에 1,500mg/kg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의류·장갑·요가매트·자전거 핸들·스포츠 라켓·손목밴드 등 피부 또는 구강과 장·단시간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제품에 대해 다환방향족탄화수소 8종의 함량을 각 1mg/kg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소비자 제품에 대한 단쇄염화파라핀 안전기준이 부재하며, 다환방향족탄화수소도 실외체육시설의 인조잔디나 탄성 포장재에 대해서만 KS 기준(총합 10mg/kg 이하)이 설정되어 있다.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저감화 필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어린이제품에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 우리나라와 유럽연합은 피부 또는 점막 등을 통해 노출될 우려가 있는 합성수지제품에 대해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우리나라 DEHP·DBP·BBP 3종, 유럽연합 DEHP· DBP·BBP·DIBP 4종)의 함량을 0.1%이하로 제한할 예정이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량 시험 결과, 조사대상 20개 중 10개(50.0%) 제품에서 최소 0.2%에서 최대 10.6%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규제 예정 기준(0.1%이하)을 초과하는 것으로 사업자의 품질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에서 단쇄염화파라핀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검출된 제품의 사업자에게 제품의 판매중지 및 회수 등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고, 해당 업체는 이를 수용해 즉시 회수 조치하기로 하였다. 또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된 제품의 사업자는 향후 제품 생산 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저감화 하는 등 품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


√ 유해물질 기준초과 검출 제품은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http://www.kca.go.kr) 또는 행복드림(https://www.consumer.go.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한국소비자원 2018-1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11 King Arthur's Tools 원형 체인톱, 상해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71 2019.02.07
4010 King Bio 천연치료제, 미생물 감염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8.12.06
4009 Konsar Future Nutrition 위생 및 품질관리 문제 발생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19.09.23
4008 KS기준(강모다발 유지력)을 충족하지 못한 마이비 유아 칫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6 2017.06.01
4007 KTM 1290 DUKE GT 리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30 2017.04.27
4006 KTM 690 DUKE / 690 DUKE R 리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11 2017.03.02
4005 Kwik Tek 레저용 눈썰매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48 2016.09.08
4004 L.Q.L. SURPRISE! 장난감, 독성 성분 함유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18.12.06
4003 La Bella 헤어젤,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9.07.22
4002 Laduo 와이파이 스마트 소켓,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03.21
4001 Lao Gan Ma 고추기름, 병뚜껑 가소제 제품 유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6 2019.04.11
4000 Lay's 과자, 우유성분 함유 미표기로 알레르기 유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07.22
3999 Le Toy Van 완구 3종, 질식위험으로 교환 · 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7.10.31
3998 Le Toy Van 완구(Petilou Tunnel Puzzle-Momma Bear), 질식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06
3997 Ledlenser 손전등 충전기 무상 교환 조치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1.12
3996 Lee Stafford 전기머리인두(Coco Loco Straightener),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8.04.12
3995 Lee’s Tea 찻잎,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9.05.16
3994 LEMON YOGASHOP - 룰루레몬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22.09.08
3993 LG EBES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3.01.12
3992 LG가전프라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11.10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