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필리핀·우크라이나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은 출국 4주전 예방접종을 받고 출국
◇ 입국 시 발열, 발진 등 증상이 있는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
◇ 귀가 후 홍역 의심 증상(발열, 발진 등)이 있을 경우 ☎1339에 문의
◇ 생후12개월∼만12세 어린이 표준예방접종일정 준수하여 접종 완료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필리핀·우크라이나에서 홍역*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동절기 해당 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경우, 예방접종력을 사전 확인하여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종 후 출국 할 것을 당부하였다. (출처: WHO, 우크라이나 보건당국)
*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병으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을 시작으로 특징적인 구강 점막에 Koplik 반점에 이어 특징적인 발진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cdc.go.kr)–해외질병-국가별 정보 참고
【☞ 유행지역 여행 대비 홍역백신 접종 안내(붙임 1)】

○유럽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인 홍역유행이 올 하반기부터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우크라이나의 경우 환자 발생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특히 필리핀에서 발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하였다(붙임 2).

□ 질병관리본부는 어린이 홍역(MMR) 예방 접종률*(1차 97.7%, 2차 98.2%)이 높아 국외에서 홍역바이러스가 유입 되더라도 국내 대규모 유행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 자료원: 2017년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 2018년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 결과

○ MMR* 백신 접종을 2차까지 완료하지 못했거나 면역력이 낮은 사람들에서 소규모의 환자 발생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하면서, 해당지역 방문 전 접종 완료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못했다면 접종하도록 권고하였다(붙임 1).
* MMR: 홍역(Measles), 볼거리(Mumps), 풍진(Rubella) 혼합백신
** 예방접종 기록은 예방접종 도우미(https://nip.cdc.go.kr)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명칭: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을 통해 확인 가능

○ MMR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는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하고, 12개월보다 어린 생후 6∼11개월 영아*라도 1회 접종을 하고 4~6주 후에 출국하는 것이 필요하다.
* 만 1세 전에 홍역 단독 또는 MMR 백신을 접종 받은 영아도 12~15개월과 4~6세에 MMR 백신을 접종받아야 함

□ 또한 국외여행 중에는 손 씻기 및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홍역 유행국가를 방문한 후 입국시 발열, 발진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해 줄 것과
- 귀가 후 홍역(잠복기 7~21일) 의심 증상(발열, 발진 등)이 나타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에 문의하여 안내에 따라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18-1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39 플라스틱 부품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크리스마스 초콜릿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3.03.16
1438 투자리딩방 사기 주의 촉구 및 예방법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3.03.29
1437 방청 처리 불량한 자동차 완구 자발적 리콜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3.04.04
1436 LIFE스토리 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3.04.07
1435 Pro-Tec 헬멧 2종, 머리가 다칠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7.12.06
1434 스키장 이용시 안전모 등 보호장구 착용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8.01.31
1433 Laduo 와이파이 스마트 소켓,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8.03.21
1432 하계 휴가철 인터넷 사기(휴가 용품, 여름 가전 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8.07.04
1431 Munchikin 목욕 장난감, 삼킴 우려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8.09.06
1430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소비자 피해 4배 이상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9.04.16
1429 중국 내 폐 페스트 환자 2명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9.11.14
1428 질병관리본부,‘일본뇌염 주의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3.26
1427 ㈜신우전자 주방자동소화장치 관련 3개 건설사 자발적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4.13
1426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4.29
1425 TRUSCO 진공청소기 발화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7.01
1424 화상 및 감전 위험 있는 LUCIDE BALLOON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1.02.26
1423 살모넬라균 검출된 '순대국'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1.10.12
1422 안전성 미흡한 Denver 어린이용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1.10.07
1421 알레르기 성분(밀) 미표시된 Lindt 초코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1.12.22
1420 접지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Puhui 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3.13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