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

- 10건 중 8건이 차량하자 피해 -

◎ 최근 수입차 등록대수가 늘고 있는 가운데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도별 현황(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중 수입차 비율) : 2013년 901천대(4.6%) → 2014년 1,113천대(5.5%) → 2015년 1,390천대(6.6%) → 2016년 1,645천대(7.5%) → 2017년 1,897천대(8.4%)

◎ 최근 5년 6개월간 총 1,410건 접수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5년 6개월간(2013.1.∼2018.6.) 수입차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410건 접수됐다.

 주의보 표 

◎ 10건 중 8건이 차량하자 피해

피해유형별로는 ‘차량하자’가 81.4%(1,148건)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계약 불이행(불완전이행) 등 ‘계약 관련’ 피해는 18.6%(262건)였다.

◎ 피해의 절반 이상이 출고 1년 이내에 발생

피해 발생 시기별로는 출고일 기준 ‘1년 이내’가 55.1%(778건)로 절반을 넘었고, 다음으로 ‘1년 초과∼2년 이하’가 10.6%(150건), ‘2년 초과∼3년 이하’가 9.2%(129건), ‘3년 초과∼5년 이하’가 6.5%(91건) 등이었다. 특히, 5.7%(80건)는 ‘계약 체결 중’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피해구제 신청 1,410건 중 당사자 간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는 51.5%(726건)였고, ‘미합의’ 34.3%(484건) 등이었다.

◎ 차량 상태 꼼꼼히 점검 후 인수, 수리 시에는 견적서와 명세서 교부받아야

한국소비자원은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계약 전 사후서비스(A/S) 등 유지관리상 불편함이 없는지 확인 후 제작사와 차종을 선택하고 ▲계약 체결 시 프로모션 내용, 차량 연식, 인도 시기 등을 계약서에 명시하며 ▲차량 내외부, 하체 및 엔진룸 등을 점검 후 등록하고 ▲보증서(특약사항 명시)와 취급설명서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수리 시에는 점검·정비 견적서와 명세서를 교부받아 관련 분쟁에 대비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8-1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91 과산화수소 과다 검출된 Crest 치아미백스트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7.13
3390 과열 가능성 있는 휴대용 난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3
3389 과열 및 발연 위험이 있는 보조배터리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7.06.02
3388 과열 발생하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워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2.06.07
3387 과열되어 화상 위험있는 MR.Marie Miffy 유아 조명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2.03.08
3386 과열되어 화상 입을 가능성 있는 Nexgio 프로젝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3.01.17
3385 과열되어 화재 발생 가능성 있는 CSB2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0.18
3384 과열되어 화재를 낼 수 있는 Snap 리튬이온 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4.03.13
3383 과열로 인한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휴대용 스피커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0 2016.09.01
3382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 있는 블루투스 LP 플레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8.18
3381 과열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핸드그라인더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7 2016.11.30
3380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Trianium 휴대폰 배터리 케이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0.11.23
3379 과열보호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Jigong 열풍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3378 과열에 따른 감전 위험성 있는 암염램프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8 2017.02.08
3377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감전 위험 있는 Kemei 이발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1.05.13
3376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화재,화상 위험 있는 고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0.11.23
3375 과전류로 인해 연기가 발생할 수 있는 Calm 휴대용 공기청정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10.28
3374 과체온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 있는 Milkiwai 영유아용 침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4
3373 과충전 방지 기능 미흡하여 발열 및 발화 위험있는 Barebones LED램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3.04.04
3372 과충전 시 발화 위험 있는 JOWAY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11.29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