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가기술자격 한 번에 조회한다.
- 행안부·고용부·자격 시행기관 국가기술자격 기준정보 업무협약 체결 -

앞으로 공공기관, 기업 등이 직원을 채용할 때 지원자가 취득한 국가기술자격의 진위 확인을 위해 시행기관에 따로따로 공문을 보내는 불편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에도 내부시스템에서 채용지원자의 자격 진위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조회프로그램(API 등)이 제공된다.

지원자가 자격확인서를 일일이 발급받아 제출하는 불편과 이를 다시 확인하기 위한 기관‧기업의 업무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공공기관은 임용, 병역 적성분류, 영업 인·허가 과정에서 기술자격 취득 확인이 필요할 때 자격정보를 통합 조회할 수 있게 되어 자격의 이중등록, 면허 중복발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와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8개 국가기술자격 시행기관(한국산업인력공단,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영화진흥위원회,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인터넷진흥원)과 11월 30일(금)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가기술자격 기준정보 관리 및 활용’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다.

그 간 협약기관들은 525개 기술자격 전체 종목에 대한 취득 정보를 종합관리 할 수 있도록 작년부터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올해에는 관련시스템을 구축하여 마무리 단계에 와있다.

이번 협약으로 정부 내 국가기준정보 관리 시책이 실현되어 첫발을 내딛는 동시에 비효율적인 행정업무 처리를 간소화하여 국민 불편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19년부터 국민들은 ‘정부24’(www.gov.kr)에서도 모든 기술자격 종목에 대한 본인의 취득정보와 자격 진위를 손쉽게 통합 조회하고 자격확인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은 “정부의 핵심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손쉽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과 기업들의 불편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데이터 기반의 협업을 통해 정부혁신을 이끌겠다.“라고 말했다.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은 “정부의 일자리창출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들의 수고를 조금이나마 덜어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국가기술자격 정보의 신뢰성 및 노동시장 활용성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11-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05 저소득층 위한 통합문화이용권, 사용가능품목 확대되고 운영관리 강화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3 10
7504 시·도 체육회 운영비, 체육진흥사업 예산집행 투명해 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3 35
7503 부정청약 적발 시 최장 10년간 청약신청이 제한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3 19
7502 중고차, 성능·상태 점검내용과 실제 차량상태가 다른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3 17
7501 정부, 8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13
7500 8월, 주민세 균등분 모바일로 간편하게 납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7
7499 사회복지사 자격 이수 교과목 늘어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16
7498 9월부터 전립선 초음파 검사비 부담 1/3로 떨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23
7497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기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13
7496 장애학생 통학비·치료비 지원내용 누리집(홈페이지)에 상시 공개 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18
7495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7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17
7494 카드뮴 기준 초과 미국산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9 13
7493 지역 맞춤형 건강정책 수립을 위한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시작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9 22
7492 유통기한 경과 원료 사용 소시지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9 26
7491 공기청정기 안전성·성능 공동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9 24
Board Pagination Prev 1 ...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