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사회적경제, 인식률 높지 않지만 이용 소비자는 긍정적 평가

- 소비자의 사회적경제기업 이용 확대 지원 정책 필요 -


정부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이를 통해 고용이나 소득, 사회안전망, 지역공동체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사회문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 경제활동의 우선순위를 이윤창출이나 분배 과정 중의 사회적가치 확산에 두는 경제영역으로 대표적 조직 유형은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등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소비자의 사회적경제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사회적경제를 이해하고 쉽게 구매·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회적경제기업이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이용한 경험자 1,000명·미경험자 1,000명

전반적인 사회적경제 인식 수준 높지 않고 경험자와 미경험자의 차이 커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기업유형별로는 ‘자활기업’과 ‘마을기업’에 대한 인식률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경험자와 미경험자 간 20%p 이상 차이가 났다. 또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률도 경험자가 46.5%, 미경험자가 21.4%로 경험 여부에 따라 격차가 컸다. 사회적경제기업이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의 구매·이용 경험률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소비자의 전반적인 사회적경제 인식 수준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다.

* 사회적기업에서 구매·이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소비자 비율 약 20%(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7년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경험자의 지불의사가격 상대적으로 높아, 미경험자는 가격 중시

상품·서비스의 품질이 동일한 경우 영리기업과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가격(WTP : Willingness To Pay)을 조사한 결과, 경험 여부와 상품·서비스 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경험자는 미경험자에 비해 모든 품목에서 높은 지불의사가격을 나타냈고, 특히 서비스 분야에서 사회적경제기업이 영리기업보다 높았다. 한편, 미경험자는 구매 결정 요소로 ‘가격’을 택한 비율이 경험자에 비해 높았고, 지불의사가격이 영리기업 보다 낮아 이들의 구매·이용 확산을 위해서는 사회적경제기업의 가격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회적경제기업일 때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 미쳐

또한, 경험자는 대체적으로 상품·서비스 제공 주체가 사회적경제기업이라는 것이 주관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특히, 간호·요양·보건과 같은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긍정응답 비율이 75.0%로 가장 높았고, ‘식료품/신선식품’ 관련 긍정응답 비율도 72.9%였다.

소비자가 사회적경제를 이해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필요

이번 조사 결과 경험자는 사회적경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나, 아직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가격을 중시하는 미경험 소비자가 많아 사회적경제기업이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구매·이용을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관계 기관에 소비자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해도 제고와 구매·이용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마련 등을 건의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8-11-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03 ‘생활 속 반칙과 특권’ 해소 위한 9개 생활적폐 개선과제 정상 추진 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7
6502 섬유제품 소비자 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1
6501 국토부, ’18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0
6500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시 태블릿 PC 등을 활용한 전자청약시스템을 판매점까지 확대 적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20
6499 2020년 요양급여비용(환산지수) 인상률 2.29%로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6
6498 어린이집 이용불편·부정신고센터(1670-2082) 설치·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8
6497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비급여 진료비까지 보상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40
6496 폭력’은 ‘사랑’이 아닙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7
6495 도로·하천 분야 주요 건설 정보(CALS) 1일부터 전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6
6494 미세먼지, 국민의 아이디어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3
6493 오는 10일까지 근로소득간이지급명세서 제출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1
6492 금융꿀팁 200선 - 대부업 관련 주요 민원사례 및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3
6491 식용란 검사 불합격 농가, 전문 방역업체 소독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7
6490 7월 1일부터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소득공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8
6489 15세 이하 아동·장애인 의료급여 이용 절차 편리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6
Board Pagination Prev 1 ...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