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가습기살균제 구제계정운용위원회, 성인 간질성폐질환·기관지확장증 심사기준 의결 및 특별구제계정 지원 대상자 871명 선정

▷ 긴급의료지원 대상자 2명 심의·의결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남광희)은 11월 22일 오후 7시부터 용산역 회의실에서 열린 제12차 구제계정운용위원회(위원장 이용규 중앙대 교수)에서 '성인 간질성폐질환·기관지확장증 구제급여 상당지원 심사기준(안)' 등의 안건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지난 10차 회의('18.7.2.)에서 특별구제계정 신규 지원대상으로 선정한 5개 질환* 중 성인 간질성폐질환·기관지확장증에 대한 구제급여 상당지원 심사기준을 우선 의결하고, 총 871명**을 지원대상자로 인정했다.

* 성인 간질성폐질환, 기관지확장증, 폐렴, 독성간염, 천식

** 지원대상자(871명) = 성인 간질성폐질환(373명) + 기관지확장증(291명) + 2개 질환 모두 진단(207명)

이번 지원대상자는 기존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 인정신청자(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미판정자 및 기존 구제급여 상당지원 지원대상자 제외)의 의무기록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등을 토대로 질환별 심사기준을 적용해 선정했다.

지원금액은 정부구제 대상 피해자가 지급받는 구제급여와 동일한 수준이며, 요양급여(본인부담액 전액 및 일부 비급여 항목 포함)·요양생활수당·간병비·장의비·특별유족조위금·특별장의비·구제급여조정금 등 총 7가지 항목으로 구성됐다.

한편, 폐렴·독성간염·천식 등 나머지 3개 신규 인정질환은 심사기준을 추가로 검토한 후 차기 위원회에서 확정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 의료적·재정적 지원이 시급한 대상자 2명에 대한 긴급의료지원을 의결했다.

대상자는 환경노출조사 결과, 의료적 긴급성 및 소득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됐으며, 요양급여에 한하여 1인당 최대 3천만 원까지 지원받게 된다.

이번 의결로, 특별구제 대상자는 총 1,067명*(질환별·분야별 중복 지원 제외)으로 늘어났다.

* 특별구제 대상자(1,067명) = 폐섬유화 동반 폐질환(144명) + 아동 간질성폐질환(10명) + 긴급의료지원(9명) + 원인자 미상·무자력 피해자(32명) + 진찰·검사비(9명) + 성인 간질성폐질환·기관지확장증(871명) - 중복(8명)

한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올해 10월 말 기준으로 원인자미상·무자력 피해자, 긴급의료지원 및 구제급여 상당지원 대상자 등 특별구제 대상 170명에게 총 107억 원을 지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구제계정운용위원회가 의결한 사항이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18-11-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70 가정의 달 대비 다소비 건강기능식품 등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6 36
6469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 “성폭력, 아동학대 피해자 조사 시 외부노출 방지 등 적극 보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6 36
6468 이제는 모두가 함께 지켜요, 안전속도 5030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36
6467 건강기능식품, 알고 먹는 만큼 내 몸에 이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8 36
6466 유통기한 경과 원료 사용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5 36
6465 2020년 기준 가맹시장현황 분석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5 36
6464 2월 26일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6 36
6463 일부 재활용품은 분리 배출해도 재활용되지 않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8 36
6462 식약처,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7 36
6461 겨울철 전국 공동주택 1,957가구 라돈 농도, 기준치 절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7 36
6460 아산화질소 카트리지 내년부터 사용 못 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36
6459 입원이 꼭 필요한 정신 응급·행정입원 치료비 본인부담금 전액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5 36
6458 '모바일 문서24’ 개통, 공문서 처리내용 모바일로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6 36
6457 추석 연휴 틈탄 환경오염 행위 비대면 감시·단속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1 36
6456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이후 3년, 달라진 점과 달라질 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1 36
Board Pagination Prev 1 ...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