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응급실, 중환자실 관련 기준비급여 건강 보험 적용 확대


- CT, 호흡기바이러스 검사, 중환자 수술용 재료 등 보험기준 확대, 비급여 부담 경감 -


□ 보건복지부(박능후 장관)는 응급실, 중환자실과 관련된 기준비급여*를 건강 보험이 적용되는 급여로 확대하기 위해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고시」개정안을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행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 기준비급여 : 처치‧시술 횟수, 치료재료 사용개수, 시술‧재료의 적응증(질환, 증상, 대상 환자 및 부위 등)에 대한 기준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행위, 치료 재료 등으로, 급여 제한 기준에 따라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

 ○ 복지부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17년 8월 발표)」의 일환으로 400여 개의 기준비급여 해소를 추진해 왔다.

   - 기준비급여를 필수급여로 우선 전환하고, 그래도 남는 부분은  예비급여를 적용하여 기준에 의해 유발되는 비급여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 ((필수)급여) 통상적인 본인부담 입원 20%, 외래 30∼60%(종별 10%씩 차등)적용 (예비급여) 경제성 등이 불확실하나 급여적정성 등의 재평가를 전제로 필수급여보다 높은 본인부담 적용(50∼90%)

 ○ 이에 따라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에 두 번에 걸쳐 기준 비급여 50여 항목을 건강보험 항목으로 전환(급여 또는 예비급여)하였다.

 


□ 이번에는 전문가 의견 수렴, 관련 학회, 단체 등과 논의를 거쳐 응급‧중환자실 관련 기준비급여 21개 항목을 건강보험 적용 대상으로 확대한다.

 ○ 응급·중환자실의 긴급한 진료환경을 감안하여 신속하고 충분하게 의료서비스가 이뤄지도록 대부분 필수급여로 전환하여 건강보험을 적용할 예정이다.

   - 아울러 일부 경제성* 등이 불분명한 경우에도 예비급여를 적용**하여 비급여 부분이 최소화되도록 했다.

     * 비용 대비 치료효과성, 다른 의료기술로의 대체가능성 등

    ** 예시) (자동봉합용 치료재료) 기존 재료로 봉합이 어려운 횡격막 상・하부의 식도, 직장하부 등에는 필수급여하고, 결장수술에는 예비급여 적용 / (생체조직접착제) (심장)대동맥박리술, (뇌)경막봉합술 등에는 필수급여를 적용하고, 폐수술에는 예비급여 적용

 ○ 이와 함께 급여 확대 항목의 오‧남용 여부 평가를 위해 급격한 청구량 변동, 이상 사례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견 시 건강보험 적용 기준을 조정하는 등 사후관리도 함께 실시한다.

□ 주요 급여 확대 및 개선 내용은 아래와 같다.

 ○ CT(전산화단층영상진단),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의 적응증을 확대하여 환자의 신속한 선별로 조기에 적정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환자안전 강화와 함께 본인부담도 경감한다.

 

 

 ○ 뇌 수술, 심장 수술 등 중증 질환자에 수술용 치료 재료의 이용제한 사항 10개 항목의 기준을 완화하여 의료인이 수술실 내에서  의료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 잠수병 등에 필수적인 고압산소요법의 적응증도 당뇨성 족부궤양 등으로 대폭 확대하여 환자의 진료 기회를 넓히고 고압산소챔버 등 시설‧장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한다.

     * (기존) 잠수병, 일산화탄소 중독, 화상 등 + (적응증 추가) 당뇨성 족부궤양, 만성난치성 골수염, 머리 농양 등

 ○ 이외에 중환자 심장기능 측정·감시, 인공성대 등 8항목의 사용 횟수 및 적응증이 확대되도록 개선한다.

□ 행정예고는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며, 행정 예고를 마치고 최종확정 되면 준비기간을 거쳐 2019년 1월 이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 의견 제출은 보건복지부 예비급여과로 하면 되며, 해당 내용은 22일부터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 → 정보 → 법령 → 입법/행정예고 전자공청회란에서 확인할 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복지부에서는 현재까지 150여개 기준비급여 항목을 검토하였고 ’19년도에도 상·하반기로 나눠 암, 소화기, 뇌혈관* 등 관련 기준비급여 해소를 추진할 예정이다.

     * (행위) 근전도 검사, 신경전도 검사, 종양 검사 등 (치료 재료) 척수신경자극기 치료재료, 뇌혈관 치료재료 등 총 70여 항목

   - 남아 있는 300여개 기준비급여 항목도 의견 수렴을 거쳐 ’22년까지 단계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2018-11-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56 민생안정을 위한 청소년 생활 지원금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2 20
6555 민생불편 해소와 국민 건강 확보 위한 식약처 소관 법률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11
6554 민생경제 회복 위해 건강보험료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4
6553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한 저소득층 230만 명 대상 소비쿠폰 지급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1 81
6552 민방위훈련 전국 실시공습경보가 발령되면 지하대피소로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3 85
6551 민방위경보(사이렌‧방송)에 전광판도 활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5 61
6550 민방위 집합교육 사이버교육으로 실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47
6549 민방위 제도 사회변화 반영해 조직편성과 운영방식 바꾼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6
6548 민방위 교육 온라인으로 전환, 상반기 민방위 훈련 취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2 22
6547 민방위 경보 발령체계 개선대책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4 16
6546 민방공 대피 훈련, 23일 14시 전국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1 48
6545 민권익위, “법인의 지점이라도 독립적으로 운영된다면 별도 사업장으로 봐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02 10
6544 민관협력 미혼 한부모 생활비 지원 대상 19세→22세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8
6543 민관합동조사반, 코웨이 3종 얼음정수기 제품결함조사 결과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13 78
6542 민관합동조사반, 코웨이 3종 얼음정수기 제품 결함 조사 결과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30 83
Board Pagination Prev 1 ...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