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7년 심장정지환자 생존율, 2006년 대비 4배 증가

◇ ’17년 급성심장정지 2만 9262건 발생, 8.7% 생존(’06년 대비 4배 증가)
◇ 심폐소생술 일반인 시행률은 ’08년 대비 11배 증가, 지역 간 격차도 증가
◇ 조사결과 공유와 지역 격차 해소를 주제로「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개최(11.22)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와 소방청(청장 조종묵)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11월 22일 공동으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 급성심장정지는 심장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를 말함
* 2008년부터 급성심장정지조사를 실시(’06~’17년 발생환자), 2011년 국가통계로 승인

○ ’17년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2만 9262건으로 11년 전인 ‘06년보다 50% 이상 증가하였고, ’15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추세에 있다.
* 심장정지 발생(건) : ’06년 1만 9480건 → ’11년 2만 6382건 → ’15년 3만 771건 → ’17년 2만 9262건
* 심장정지 발생률(인구 10만명당) : ’06년 39.8명 → ’11년 52.6명 → ’15년 60.4명 → ’17년 57.1명

- 환자 중 남자 비율은 64~65%로서, 여자보다 약 2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하는 주원인은 ‘질병’에 의한 것으로,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5%이상이었다.
-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이며,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17년 생존율은 8.7%,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06년 대비 각각 3.8배, 8.5배 증가하였고, ’16년에 비해서도 향상된 결과이다.
*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퇴원 당시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

○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증가하는 긍정적 변화도 있는 반면에, 지난 11년간 생존율의 지역간 차이는 2배 증가(’06년 4.2%p → ’17년 8.6%p)하였다.

- 또한 뇌기능 회복률의 지역간 차이는 ’17년에는 전년보다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06년 1.6%p→ ’16년 7.3%p→ ’17년 5.9%p).

○ 한편, 심폐소생술의 일반인 시행률은 매년 증가 추세로, ’17년에는 9년 전에 비해 약 11배 증가(’08년 1.9% → ’17년 21.0%)하였고, 지역 간 시행률 격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08년 2.5%p → ’17년 26.9%p).

□ 이 같은 조사 결과 공유와 함께 생존률 및 심폐소생술 시행률 변화를 짚어보며, 지역 간 격차를 극복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11월 22일(목)「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 (일시) 2018.11.22.(목), 11:00~17:30 / (장소) SETEC 국제회의실(서울 강남구 소재)

□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하정열 이사장은 “환자 발견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도록 하고,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우리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 심폐소생술 관련 단체인 대한심장학회, 대한심폐소생협회, 대한응급구조사협회,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적십자사, 선한사마리안운동본부, 한국생활안전연합이 참여하는 비영리단체이며, 심장정지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고, 심폐소생술을 보급함으로써 심장정지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고자 설립됨(’12.11.8.)

○ 국가 심장정지 조사․감시 자문위원회장인 오동진교수(한림의대 심장내과)는 “급성심장정지조사는 정부의 노력과 의료기관의 협조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조사통계지표를 생산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해서 관련 인프라 개선과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 2018-11-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30 행안부, 27일 전국서 자동차세 등 상습 체납차량 일제 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5
2729 식약처, 햄버거 업체 특별위생점검 결과 19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1 15
2728 몸 안에서 녹는 첨단신소재 나사 이식, 현실이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0 15
2727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군사시설 조성'의 일환으로 유휴 육군 헬기 예비 작전기지 일제 정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5
2726 가습기살균제 피해 43명 추가 인정…총 877명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5
2725 식약처, 유통 중인 보건용 마스크 품질검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4 15
2724 해외직구 무선 이어폰 소비자불만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5 15
2723 방통위, 『통신장애 시 이용자 행동요령』 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15
2722 아시아나항공 인천-샌프란시스코 운항이 내년 3월 1일부터 4월 14일까지 45일간 정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5 15
2721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행복드림) 운영 고시 개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5 15
2720 100세대 이상 공동주택도 관리비 공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3 15
2719 친환경 도시락, 전국 21개 국립공원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15
2718 「불법사금융 대응요령 및 상담사례집」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0 15
2717 색동옷 갈아입는 조선왕릉 가을 숲길로 오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6 15
2716 캡슐형 세탁세제, 세척성능이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3 15
Board Pagination Prev 1 ...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