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7년 심장정지환자 생존율, 2006년 대비 4배 증가

◇ ’17년 급성심장정지 2만 9262건 발생, 8.7% 생존(’06년 대비 4배 증가)
◇ 심폐소생술 일반인 시행률은 ’08년 대비 11배 증가, 지역 간 격차도 증가
◇ 조사결과 공유와 지역 격차 해소를 주제로「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개최(11.22)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와 소방청(청장 조종묵)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11월 22일 공동으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 급성심장정지는 심장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를 말함
* 2008년부터 급성심장정지조사를 실시(’06~’17년 발생환자), 2011년 국가통계로 승인

○ ’17년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2만 9262건으로 11년 전인 ‘06년보다 50% 이상 증가하였고, ’15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추세에 있다.
* 심장정지 발생(건) : ’06년 1만 9480건 → ’11년 2만 6382건 → ’15년 3만 771건 → ’17년 2만 9262건
* 심장정지 발생률(인구 10만명당) : ’06년 39.8명 → ’11년 52.6명 → ’15년 60.4명 → ’17년 57.1명

- 환자 중 남자 비율은 64~65%로서, 여자보다 약 2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하는 주원인은 ‘질병’에 의한 것으로,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5%이상이었다.
-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이며,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17년 생존율은 8.7%,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06년 대비 각각 3.8배, 8.5배 증가하였고, ’16년에 비해서도 향상된 결과이다.
*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퇴원 당시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

○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증가하는 긍정적 변화도 있는 반면에, 지난 11년간 생존율의 지역간 차이는 2배 증가(’06년 4.2%p → ’17년 8.6%p)하였다.

- 또한 뇌기능 회복률의 지역간 차이는 ’17년에는 전년보다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06년 1.6%p→ ’16년 7.3%p→ ’17년 5.9%p).

○ 한편, 심폐소생술의 일반인 시행률은 매년 증가 추세로, ’17년에는 9년 전에 비해 약 11배 증가(’08년 1.9% → ’17년 21.0%)하였고, 지역 간 시행률 격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08년 2.5%p → ’17년 26.9%p).

□ 이 같은 조사 결과 공유와 함께 생존률 및 심폐소생술 시행률 변화를 짚어보며, 지역 간 격차를 극복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11월 22일(목)「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 (일시) 2018.11.22.(목), 11:00~17:30 / (장소) SETEC 국제회의실(서울 강남구 소재)

□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하정열 이사장은 “환자 발견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도록 하고,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우리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 심폐소생술 관련 단체인 대한심장학회, 대한심폐소생협회, 대한응급구조사협회,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적십자사, 선한사마리안운동본부, 한국생활안전연합이 참여하는 비영리단체이며, 심장정지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고, 심폐소생술을 보급함으로써 심장정지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고자 설립됨(’12.11.8.)

○ 국가 심장정지 조사․감시 자문위원회장인 오동진교수(한림의대 심장내과)는 “급성심장정지조사는 정부의 노력과 의료기관의 협조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조사통계지표를 생산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해서 관련 인프라 개선과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 2018-11-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54 하도급분야 비밀유지 계약체결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32
2753 국민권익위, 민원정책 알림서비스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32
2752 국민권익위, “앞으로는 부패신고 처리 시 피신고자도 조사, 실체적 사실 규명에 도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37
2751 테슬라·아우디·범한·할리데이비슨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39
2750 2월 18일부터 만 60세 이상 농지연금 가입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39
2749 사적모임 인원 전국 6인 유지, 영업시간 22시로 완화, 내일부터 즉시 시행(2.19~3.1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41
2748 화장품, 택배서비스 등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68
2747 위급상황, 소화기·완강기·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은 이렇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8 36
2746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 3월 15일까지 신고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41
2745 자가검사키트 온라인 판매는 안돼요! 약국.편의점에서 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39
2744 2020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38
2743 워킹머신, 제품별로 운동량 표시 정확성·소음 등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36
2742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하니 사망자 72.1%, 교통사고 31.5% 줄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28
2741 소형화물차(총중량 3.5톤 이하) 충돌사고 안전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31
2740 모바일 신분증으로 국가자격시험 응시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2 39
Board Pagination Prev 1 ...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