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출산 극복, 지방자치단체가 앞장선다!
- 행안부, 지자체 저출산 우수시책 경진대회 개최[11.20.]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지자체의 우수시책을 발굴‧공유하는 「2018 지방자치단체 저출산 극복 우수시책 경진대회」를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저출산 극복의 마중물 역할을 담당하는 지자체의 우수시책을 발굴·확산함으로써 우리 사회가 직면한 저출산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개최되며 자치단체 저출산 담당공무원 2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경진대회에는 시·도 자체심사와 전문가 서면심사를 통과한 총 11개 지자체의 우수시책이 출품되었다.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충청북도 등 3개 광역자치단체와 대구광역시 북구, 인천광역시 서구, 광주광역시 광산구, 경기도 시흥시, 강원도 춘천시·화천군, 전남 순천시·광양시 등 8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최종 발표를 진행한다.

최종 발표심사의 순위에 따라 최우수상 2건, 우수상 4건, 장려상 7건을 선정하여 특별교부세 총 10억 원을 지원한다.

정책분야별 우수사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임신·출산·육아 사회책임 시스템 구현을 위한 우수시책으로 대구 북구 ‘토닥 토닥 편한 맘’, 광주 광산구 ‘병원 아동 돌봄 서비스’ 및 강원 춘천시 ‘황혼육아 지원 사업’ 등이 소개되었다.

전남 광양은 ‘청년주택자금 대출이자, 걱정 No! 지원 Yes!’ 사업을 통해 주거의 공공성 강화를 통해 저출산 극복 대안을 제시했다.

또한, 일-가정 양립의 일상화를 위한 광주광역시의 ‘직장 맘 지원센터 운영’, 인천 서구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아빠성장프로젝트「아빠점프업」’과 육아·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 노력인 부산광역시의 ‘핑크라이트 사업’이 우수사례로 발표되었다.

김현기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저출산 현상의 극복을 위해서는 주민과 접점에 있는 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하고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8-11-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0 22개 낙후 시군, ‘지역활성화 지역’ 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80
3229 ‘전통체험하기 좋은 농촌체험마을 10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0 80
3228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0 80
3227 대학생-청년 햇살론 시행 및 고금리 대출 이용 최소화를 위한 지도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8 80
3226 미승인 로고 사용한 찰흙 업체 제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9 80
3225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전년대비 3.1% 상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30 80
3224 핀테크 시대, 더욱 간편해진 전자금융업 등록절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4 80
3223 금감원-경찰청 '금융사기 근절' 협력 성과 및 향후 대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7 80
3222 메르스 극복을 위해 꼭 알아야 할 10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80
3221 ㈜에이모노 알루미늄 액자 자발적 환급 또는 무상교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9 80
3220 잔류물질 검출 브라질산 닭고기 회수 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2 80
3219 ㈜에스케이상사와 ㈜오르, 유아용 물통 자발적 무상 교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80
3218 영유아보육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9 80
3217 저소득층 범죄피해(가구) 유·청소년에게 스포츠 강좌 이용권 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80
3216 올 6월말 현재, 자동차등록대수 2천 55만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80
Board Pagination Prev 1 ...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