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캠핑이 대중화되면서 추운 날씨에도 캠핑을 즐기려는 소비자들의 캠핑 난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름 난로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고,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16년 ∼ ’18년 9월)된 기름 난로 관련 위해 사례는 총 25건이며, 이 중 10건(40%)이 화재·화상 사고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캠핑용 기름 난로* 8개 브랜드 8종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품질성능 등을 시험·평가했다.

* 등유를 사용하는 심지식 기름 난로(연료소비량 600 g/h 이하의 개방식 자연 통기형)

◎ 일부 제품, 전도 시 소화되지 않아 안전기준에 부적합(세부내용, 자료 6페이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난로가 넘어질(전도) 경우 화재·화상 등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기준*에서는 10초 이내에 난로가 소화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전도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4개 제품**이 10초 이내에 불이 꺼지지 않아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71(기름 난로)

** 부적합 4개 제품 : 대우(DEH-K8000), 사파이어(SF-2300OH), 유로파(EPH-9900), 후지카(FU-4863)

⇒ 해당 업체는 기 판매된 제품에 대해 회수 및 무상수리 등 자발적인 시정 조치 계획을 알려옴.

◎ ‘일산화탄소 농도’ 문제없고, 일부 제품은 경사진 곳에서 기름이 누설되어 품질개선 필요 (세부내용, 자료 6페이지)
(일산화탄소 농도) 연소 중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전 제품이 안전기준(0.07 CO%이하)에 적합했다.
(경사 안정성) 경사진(10°) 사용 환경에서 기름 누설 등의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2개 제품*이 심지 조절기 부분에서 기름이 누설됨으로써 한국산업표준**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해 품질개선이 필요했다.

* 기름 누설 2개 제품 : 사파이어(SF-2300OH), 후지카(FU-4863)

** 기름 난로(KS B 8004 : 2014)

⇒ 해당 2개 업체는 자율적으로 구조개선 결과를 알려옴.

◎ ’냄새‘ 에서 일부 제품 미흡했고, ’표면온도‘, ’내충격성‘ 등의 품질은 전 제품 이상 없어(세부내용, 자료 8페이지)
(냄새) 기름 난로는 연소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는 연소 방식이기 때문에 연소 중에 냄새가 발생하는지를 평가한 결과, 3개 제품*이 한국산업표준에 미흡했다.

* 3개 제품 : 대우(DEH-K8000), 사파이어(SF-2300OH), 후지카(FU-4863)

(표면온도 등) 사용 중 화상 등의 우려가 있는 부위의 ‘표면온도’,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확인하는 ‘내충격성’, ‘연료소비량(발열량) 차이’, ‘소화 시간’ 및 ‘저온(영하 20℃) 연소시험’에서는 전 제품이 한국산업표준을 만족했다.
◎ ‘유량계’의 지시 위치는 대부분의 제품이 부정확해(세부내용, 자료 9페이지)
시험대상 8개 제품 중 7개 제품*은 기름의 양을 표시하는 유량계의 지시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했다.

* 7개 제품 : 대우(DEH-K8000), 사파이어(SF-2300OH), 신일산업(SCS-S53PC), 유로파(EPH-9900), 알파카(TS-231A), 파세코(PKH-3100G), 후지카(FU-4863)

⇒ 해당 7개 업체는 유량계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자율적으로 구조개선 결과를 알려옴.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상품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11-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31 금속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Tesco 수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8.25
3330 금속 조각 혼입으로 섭취 시 부상 위험 있는 Daim 아몬드 케이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2.17
3329 금속 필라멘트 이물 혼입된 Cemoi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10.17
3328 금속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Layenberge 다이어트 보조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11.14
3327 금속성 이물 검출된 ‘빵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11.10
3326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Country Time 음료 가루[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3.08
3325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Country Time 음료 가루[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3.08
3324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Country Time 음료 가루[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3.08
3323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11
3322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0)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2.14
3321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2.02.14
3320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2.02.14
3319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2.02.11
3318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2.02.14
3317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2.14
3316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14
3315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6)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2.02.14
3314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7)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2.02.14
3313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8)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2.02.14
3312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9)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2.02.14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