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양한 장묘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미흡

- 정보 부족으로 합리적 선택 어렵고, 중도해지 시 환급 불가 -

이 자료는 9월 23일(수)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9월 22일 12시)

매장(埋葬) 중심의 전통적인 장례문화가 점차 변하면서 장묘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장묘시설이나 서비스 관련 정보 제공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2014.1.∼2015.3. 까지 장사(장례/장묘) 서비스를 직접 이용한 소비자 6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7.3%(494명)는 화장을, 22.7%(145명)는 매장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을 선택한 소비자 494명 중 봉안시설(봉안당, 봉안묘) 이용이 368명(74.5%)으로 가장 많았고, 자연장(수목장 및 잔디장) 117명(23.7%), 산골 9명(1.8%) 등의으로 나타났다.

* 국내 화장율은 (’12)74.0%, (’13)76.9%, (’14)78.8% 등으로 지속해서 증가

□ 수목장·잔디장 등 자연장 이용 정보 얻기 힘들어

3일간의 짧은 장례로 경황없는 가운데 장묘서비스를 선택, 소비해야 하는 특성상 소비자는 장묘에 관한 정보를 쉽게 취득하여 비교·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조사 결과 장묘업체 267개 중 90여 개(33.7%) 업는 홈페이지도 없이 영업하고 있어 소비자 정보제공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나마 홈페이지가 있는 업체 중에도 거래조건을 표시한 봉안당은 21.4%, 수목장은 20.0%에 불과하여, 소비자들이 객관적인 정보 보다는 장례식장 주변의 소개인·중간상들의 한정된 정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나타났다.

□ 장사정보 포털 ‘e하늘장사정보‘, 정보제공 수단으로 미흡

현재 종합적인 장사정보 제공을 위하여 ‘e하늘장사정보’가 구축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장례·장묘서비스 경험자 790명 중, 이 사이트를 ‘전혀 모른다’는 응답자가 75.6%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동 사이트를 접속해 본 경험자는 6.4%, ‘단순히 포털명만 알고 있다‘는 응답이 18.0%였다. 장사정보 포털 ‘e하늘장사정보’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부족한 장묘 정보의 확대를 위하여 ‘관련업체의 정보 등록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총 장사 비용 1,400여만 원 소요

또한 장례(葬禮)부터 장묘(葬墓)까지 총 장사(葬事)비용은 평균 1,380.8만 원으로 조사됐다. 장묘방법에 따라 화장 이용자는 1,327.6만 원, 매장 이용자는 1,558만 원으로 화장이 매장 보다 약 230만 원 저렴했다.

□ 사설 봉안당, 선반의 위치·방향·높낮이에 따라 가격 차이 많아

봉안당의 경우, 공설 봉안당이 가격을 일률적으로 책정하는 것과 달리, 사설 봉안당은 1단부터 최고 11단까지 선반의 위치·방향·밝기·단의 높낮이에 따라 가격을 차별적으로 책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동남향, 중간 높이의 단을 가장 비싸게, 그 반대일수록 저렴하게 책정하고 있어 이에 대한 사전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실제 사설 봉안당 44개 업체의 최고가격(사용료)을 조사한 결과, 500만 원 ~ 1천만 미만이 13개(29.5%)로 가장 많았고, 300만 원 ~ 500만 원 미만 11개(25.1%), 300만 원 미만 10개(22.7%) 등으로 나타났다. 각 업체별로는 VIP룸 등 최고급 봉안당도 운영하고 있으며 1천만 원 이상 가격대도 10개(22.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설 수목장 중도해지 시 ‘환급거부’ 등 소비자 권익보호 미흡

사설 수목장 11개 업체 중 10개(90.9%)는 중도 해지 시 잔여대금 환급이 불가하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가능한 업체는 1개(9.1%)에 불과했다.

또한, 계약해지와 관련하여 “관리비를 1회 이상 미납한 경우 무연고묘로 간주, 관리하지 않음” 또는 “관리비를 미납한 지 6개월이 경과한 경우, 별도의 통고절차 없이 자동해지 된다” 등 통보 절차나 유예기간 없이 일방적인 해지를 규정하고 있어 소비자권익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69%가 ‘작고 검소한 장사문화’ 긍정 평가, 수목장도 호응

한편, ‘작고 검소한 장례·장묘 문화’ 정착에 대해 ▲ 전체 응답자 790명 중 543명(68.7%)이 “국가경제, 효율성 차원에서도 작고 검소한 장례문화로 정착해야 한다”라고 응답한 반면, ▲ 205명(26.0%)은 “부유층은 좀 호화로워도 좋다”거나 “효문화와 품위유지를 위해 작고 검소한 장례문화로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응답했다.

‘바람직한 장묘방법’에 대하여 ▲ 345명(43.7%)은 수목장을, ▲ 167명(21.1%)은 봉안당을, ▲ 205명(25.9%)는 다양한 방법의 조화를, 35명(4.4%)은 매장으로 응답했다.( ‘모름’ : 4.9%)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사설 자연장의 중도해지 환급기준 마련’, 소비자정보 제공확대를 위해 ‘장묘업체의 e하늘장사정보 사이트에 정보등록 활성화’ 등을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9-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98 ‘김장체험 즐기기 좋은 농촌체험마을 10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30 83
10897 유통기한 연장 표시한‘하노이 맥주(수입)’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9 83
10896 욕실 바닥 미끄럽지 않게, “실내건축기준”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8 83
10895 대한민국 최고의 착한가격업소를 찾아주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83
10894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상품 등의 정보제공에 관한 고시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83
10893 담뱃갑 경고그림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83
» 다양한 장묘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미흡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3 83
10891 추석명절을 틈탄 금융사기에 유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3 83
10890 ‘15년 가을 신학기 학교급식 식중독예방 합동점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2 83
10889 해외 감염병 대응을 위해 외교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손잡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83
10888 「노인장기요양보험법」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83
10887 주민이 직접 만든 정책, 대한민국을 바꾼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1 83
10886 공간정보 엔젤투자 유치 멘토링에 참여하여 창업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83
10885 어린이·유아용풀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1 83
10884 아동 권리? 아하 그렇구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5 83
Board Pagination Prev 1 ...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