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가정에서 난방을 시작하는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 철저히 점검하여 중독 사고를 예방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전국 가구(家口)에서 사용하는 난방의 84%가 개별난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총조사(2015) 중 「거처의 종류별 난방시설 가구 조사」: 인구 부분의 전수조사는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 센서스 방식으로 매년 실시하며, 가구 부분의 일부 표본조사(20%)는 5년마다 실시
※난방의 형태: 개별 16,162,326(84%), 지역 2,425,383(13%), 중앙 524,022(3%)

개별난방의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시가스 보일러가 76%로 제일 많았고 기름보일러 15%, 전기보일러 4%, 프로판가스(LPG) 보일러 3% 순으로 사용하고 있다.

가스보일러(도시가스, LPG)로 인한 사고*는 최근 5년간(‘13~’17) 총 23건이 발생하였으며, 49명(사망 14명, 부상 35명)이 사망하거나 다쳤다.

이 중 도시가스로 인한 사상자는 38명(사망 8명, 부상 30명)이며, 난방비율이 낮은(3%) LPG도 11명(사망 6명, 부상 5명)이나 발생하였다.

특히, 배기통 이탈 등으로 유해 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중독으로 이어진 사고가 17건(74%)이었으며, 화재 부상자 1명을 제외한 48명(98%, 사망14명, 부상34명)이 일산화탄소 중독이었다.
* 일산화탄소 농도별(ppm) 증상:400-두통, 800-실신, 1,600-두통·구토, 지속 2시간부터 사망

이처럼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보일러실은 무엇보다 환기가 제일 중요하다. 빗물이나 찬바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환기구와 배기통을 막아놓으면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어 위험하므로 환기구는 항상 열어두어야 한다.

점검 시에는 배기통이 빠져 있거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내부가 이물질로 막혀있거나 구멍 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특히, 보일러를 켰을 때, 과열이나 소음, 진동, 냄새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받는다.

참고로, 동파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보일러에 연결된 배관들을 보온재로 감싸주면 좋은데, 이 때 헌옷 등 헝겊으로 감싸면 누수 시 헝겊에 배인 물 때문에 오히려 동파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겨울로 접어드는 요즘 한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 철저히 점검하여 안전하고 따듯한 겨울을 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11-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89 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Airbome 멀티비타민제(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7.19
2888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Alnatura 그라운드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7.18
2887 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Airbome 멀티비타민제(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7.18
2886 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Airbome 멀티비타민제(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7.18
2885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dm bio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7.18
2884 알레르기 유발성분(달걀) 함유한 Wish-Bone 셀러드 드레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8
2883 알레르기 유발성분(우유) 함유한 Two bears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7.18
2882 금속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Wakodo 콩가루 쿠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07.18
2881 안전기준 미준수 Lulonee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7.18
2880 안전기준 미준수 Tom aibaby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18
2879 안전기준 미준수 Sonarin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07.18
2878 "올 여름 물놀이장 3년만에 전면 재개장, 안전사고 유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2.07.18
2877 여행수요 늘면서 항공 운항 취소·변경에 따른 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7.18
2876 낙상 위험 있는 Baby Rescue Rapid Evacuation Device 유아 대피장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7.15
2875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FOCUS 전기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7.15
2874 배터리 문제 있는 Final Touch 주류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7.15
2873 비타민 성분 과다 함유한 SimplySupplements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5
2872 세균 번식 가능성 있는 Dino World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7.15
2871 삼킴 및 질식 우려 있는 Bloopies Floaties 목욕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7.15
2870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및 위생관리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15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