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가정에서 난방을 시작하는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 철저히 점검하여 중독 사고를 예방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전국 가구(家口)에서 사용하는 난방의 84%가 개별난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총조사(2015) 중 「거처의 종류별 난방시설 가구 조사」: 인구 부분의 전수조사는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 센서스 방식으로 매년 실시하며, 가구 부분의 일부 표본조사(20%)는 5년마다 실시
※난방의 형태: 개별 16,162,326(84%), 지역 2,425,383(13%), 중앙 524,022(3%)

개별난방의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시가스 보일러가 76%로 제일 많았고 기름보일러 15%, 전기보일러 4%, 프로판가스(LPG) 보일러 3% 순으로 사용하고 있다.

가스보일러(도시가스, LPG)로 인한 사고*는 최근 5년간(‘13~’17) 총 23건이 발생하였으며, 49명(사망 14명, 부상 35명)이 사망하거나 다쳤다.

이 중 도시가스로 인한 사상자는 38명(사망 8명, 부상 30명)이며, 난방비율이 낮은(3%) LPG도 11명(사망 6명, 부상 5명)이나 발생하였다.

특히, 배기통 이탈 등으로 유해 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중독으로 이어진 사고가 17건(74%)이었으며, 화재 부상자 1명을 제외한 48명(98%, 사망14명, 부상34명)이 일산화탄소 중독이었다.
* 일산화탄소 농도별(ppm) 증상:400-두통, 800-실신, 1,600-두통·구토, 지속 2시간부터 사망

이처럼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보일러실은 무엇보다 환기가 제일 중요하다. 빗물이나 찬바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환기구와 배기통을 막아놓으면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어 위험하므로 환기구는 항상 열어두어야 한다.

점검 시에는 배기통이 빠져 있거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내부가 이물질로 막혀있거나 구멍 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특히, 보일러를 켰을 때, 과열이나 소음, 진동, 냄새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받는다.

참고로, 동파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보일러에 연결된 배관들을 보온재로 감싸주면 좋은데, 이 때 헌옷 등 헝겊으로 감싸면 누수 시 헝겊에 배인 물 때문에 오히려 동파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겨울로 접어드는 요즘 한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 철저히 점검하여 안전하고 따듯한 겨울을 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11-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11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Neoprosone 피부 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2.13
3910 연소 중 연료 공급 시 화염분사 현상 발생하는 Flikr Fire 개인용 화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2.13
3909 발등 벨트 고무 부위에 문제 있어 리콜된 Asics 여성용 워킹슈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2.13
3908 단추형 전지 삼킴 우려 있는 조명 열쇠고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2.13
3907 전기 커패시터 화재 우려 있는 Bose 홈씨어터 베이스 모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12.13
3906 낙상 우려있는 시마노 자전거 부품(크랭크셋)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3.12.13
3905 화재, 유독가스 확산 전에 신속히 대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12.13
3904 롯데온 및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12.12
3903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12.12
3902 신용카드 리볼빙 이용시 다음 사항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12.11
3901 ‘㈜한국은거래소 이용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2.08
3900 공동주택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응요령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08
3899 불법적인 채권추심 관련 금융소비자 주의사항 금융소비자 2차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12.06
3898 치과 진료 중 이물질 삼킴·흡인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12.06
3897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3.12.04
3896 채권의 투자위험 및 거래비용을 충분히 이해한 후 투자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12.04
3895 전기난로·전기장판 등 전열기 화재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11.30
3894 임신 20주 이후, 이부프로펜 등 복용은 피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30
3893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11.28
3892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11.28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