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가정에서 난방을 시작하는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 철저히 점검하여 중독 사고를 예방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전국 가구(家口)에서 사용하는 난방의 84%가 개별난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총조사(2015) 중 「거처의 종류별 난방시설 가구 조사」: 인구 부분의 전수조사는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 센서스 방식으로 매년 실시하며, 가구 부분의 일부 표본조사(20%)는 5년마다 실시
※난방의 형태: 개별 16,162,326(84%), 지역 2,425,383(13%), 중앙 524,022(3%)

개별난방의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시가스 보일러가 76%로 제일 많았고 기름보일러 15%, 전기보일러 4%, 프로판가스(LPG) 보일러 3% 순으로 사용하고 있다.

가스보일러(도시가스, LPG)로 인한 사고*는 최근 5년간(‘13~’17) 총 23건이 발생하였으며, 49명(사망 14명, 부상 35명)이 사망하거나 다쳤다.

이 중 도시가스로 인한 사상자는 38명(사망 8명, 부상 30명)이며, 난방비율이 낮은(3%) LPG도 11명(사망 6명, 부상 5명)이나 발생하였다.

특히, 배기통 이탈 등으로 유해 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중독으로 이어진 사고가 17건(74%)이었으며, 화재 부상자 1명을 제외한 48명(98%, 사망14명, 부상34명)이 일산화탄소 중독이었다.
* 일산화탄소 농도별(ppm) 증상:400-두통, 800-실신, 1,600-두통·구토, 지속 2시간부터 사망

이처럼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보일러실은 무엇보다 환기가 제일 중요하다. 빗물이나 찬바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환기구와 배기통을 막아놓으면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어 위험하므로 환기구는 항상 열어두어야 한다.

점검 시에는 배기통이 빠져 있거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내부가 이물질로 막혀있거나 구멍 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특히, 보일러를 켰을 때, 과열이나 소음, 진동, 냄새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받는다.

참고로, 동파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보일러에 연결된 배관들을 보온재로 감싸주면 좋은데, 이 때 헌옷 등 헝겊으로 감싸면 누수 시 헝겊에 배인 물 때문에 오히려 동파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겨울로 접어드는 요즘 한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 철저히 점검하여 안전하고 따듯한 겨울을 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11-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31 AK MALL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10.11
3330 우유 성분 미표기된 Nature’s Way 어린이 영양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0.11.23
3329 미표기된 대두, 계란 등 성분 함유하여 알레르기 우려 있는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4
3328 비타민 성분 과다 함유한 SimplySupplements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5
3327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21
3326 부품 불량으로 낙하 우려가 있는 천장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3325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3324 곰팡이 발생 우려가 있는 칼슘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6
3323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등 견과류, 참깨) 미표시한 스무디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7
3322 어린이보호포장 및 표시사항이 미흡한 레진 코팅 키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30
3321 HICC 성분 함유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0.17
3320 홈플러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1.29
3319 포장 비닐로 인한 질식 위험이 있는 Aiditong 리틀 월드 장난감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2.08
3318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Holland & Barrett 대두 레시틴(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2.15
3317 라벨 미표기 메탄올 성분 함유해 중독 위험으로 리콜된 Adam's Polishes 손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2.15
3316 애플스토어/에이샵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1.13
3315 캠핑나우 / NOW CAMPING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6.01
3314 파워보드 부품불량으로 화재 우려 있는 LG Electronics(호주법인) SMART 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2
3313 작동 불량으로 사고ㆍ부상 위험있는 BQQZHZ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3
3312 엠폭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08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