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이번 겨울철 대책기간(‘18.11.15∼’19.3.15) 동안 대설, 한파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총력 대응에 돌입한다.
* (대책 회의) 11.14(수) 14:00/재난관리실장(주재), BH 위기관리센터, 18개 부처, 17개 시‧도

겨울철 평균기온은 1970년대 –0.04℃에서 2010년대 0.29℃로 계속 높아지고 있지만 한랭질환자 발생은 오히려 증가 추세*에 있어 인명피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한랭질환자) 259명(‘13년) → 458명(‘14년) → 483명(‘15년) → 441명(‘16년) → 632명(‘17년)

특히, 올해는 한파를 자연재난에 포함하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이 완료(‘18.9.18)됨에 따라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한파 종합대책을 새롭게 수립하고 한파 매뉴얼 제정 등 후속조치를 집중 추진한다.

□ 올해 겨울철 대설 및 한파 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 설>

제설 취약구간(1,288개소)을 기준*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하여, 전담차량 배치, 우선 제설 등 집중 관리한다.
* 기후(적설량, 최저기온), 도로시설(형식‧구조물, 제설시설), 기하구조(종단경사, 곡선반경) 등

제설에 취약한 38개 노선, 43.4㎞에 자동염수분사장치*를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 특교세(100억원)을 지원한다.
* 노즐을 통해 염수(염화칼슘+물)를 고압으로 도로에 자동으로 분사하는 장치

재난상황과 위험요인을 이웃에 전파‧공유하고 취약계층을 배려할 수 있도록 국민행동요령(대설, 한파)을 개선하고 적극 홍보한다.

지자체별 CCTV(25만대) 통합관제센터와 재난상황실을 연계해 실시간 상황관리를 실시한다.

<한 파>

한파가 자연재난에 포함됨에 따라 관계기관별 임무와 역할을 명시한 「한파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제정‧운용하고, 지난 여름철 폭염과 같이 한파가 장기간 지속되고 피해가 확산될 경우 한파대책본부 등 비상대책기구를 구성하여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겨울철부터 한파로 인해 발생한 인명피해에 대해서는 재난지원금*을 지원한다.
* (사망) 1,000만원/(부상) 1∼7등급 500만원, 8∼14등급 250만원

독거노인‧노숙인 등 취약계층을 집중 관리하기 위해 한파 상황 및 행동요령을 매일 2회 이상 마을과 거리방송을 하고, 경로당(65천개소) 난방비 지원을 확대(30만원→32만원/월, 5개월)하는 한편, 재해구호기금*을 활용하여 취약계층 물품‧난방비를 지원한다.
* ‘19년 「재해구호계획 수립지침」 내 지원 근거 신설

겨울철 농‧어업, 축산업 피해 예방을 위해 상황실 운영, 현장지도 및 점검 등을 실시하고 겨울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전력수급대책본부(‘18.12∼’19.2월)를 운영한다.

김계조 행안부 재난관리실장은 “지난번 폭염과 같이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극한기상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빈틈없이 대책기간을 운영하겠다.”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겨울철 대설, 한파에 대비하여 개인의 안전과 함께 주위의 어려운 이웃들에게도 관심과 온정을 기울여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11-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25 사회취약계층 빈발민원 해소... 생활 안정 제도개선 이뤄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2
6424 사회취약계층 요금감면! 이제 복지로 온라인으로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8 52
6423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 주거복지로드맵 」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9 36
6422 산란계 농가 계란 검사 결과, 부적합 계란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3 43
6421 산란계 농가 계란 검사 결과, 부적합 계란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5 33
6420 산란계 농가의 계란 검사 결과, 부적합 계란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29
6419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기관별 만족도 공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13
6418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아동학대 예방 대책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1 14
6417 산모.노인.장애인과 아동 이용 급식시설 대상 지자체 전국 일제 교차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6 58
6416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 대상이 늘어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1 31
6415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 대상이 늘어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7 10
6414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대상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5 23
641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7개 국어로 안내 서비스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19
6412 산모로부터 B형 간염 수직 감염된 14세 환자, 간암으로 사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125
6411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업도 국민행복카드에 통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3 72
Board Pagination Prev 1 ...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