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500세대 미만 아파트에도 범죄예방 건축기준 의무적용 추진된다

- '국민생각함' 설문조사 응답자 94.1%가 확대필요성 공감 -

 
□ 앞으로 범죄예방 건축기준이 의무적으로 적용되는 대상 주택이 종전 500세대 이상 아파트에서 500세대 미만 아파트뿐만 아니라 소규모 다가구 주택으로까지 확대돼 좀 더 안전한 거주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주거지에 대한 국민 안전강화를 위해 ‘범죄예방 건축기준 의무적용 주거지 확대’ 방안을 마련해 지난 10월 말 국토교통부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
 
□ 범죄예방 건축기준이란 범죄 예방과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자연 감시와 주거침입 방지가 용이하도록 건축물 배치‧조명 설치‧출입구 설계‧CCTV(감시카메라) 설치 등에 대한 기준을 정한 것이다. 범죄예방 건축기준은 2015년 4월에 제정되어 시행(국토교통부 고시)되고 있다.
※ 범죄예방 건축기준이 구체적으로 적용된 사례는 붙임 1. 참조
 
그런데 주거지 중 범죄예방 건축기준이 의무 적용되는 주택은 500세대 이상 아파트에 한정되고, 500세대 미만 아파트 등 나머지 주택들은 권장사항으로 돼 있어 소규모 다가구 주택이 상대적으로 범죄예방에 취약한 실정이다.
 
실제로 주거지 범죄 발생 통계를 살펴보면, 공동주택보다는 다가구주택 등 소규모 주택에서의 범죄발생이 많았으며 동일 단위면적당(10만m2당) 범죄발생 건수는 소규모 주택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단독・공동주택의 건축물 현황 및 범죄발생건수>
(자료: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구분
동수(천 동)
범죄발생건수*
연면적(10만m2)**
10만m2당 범죄발생건수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포함)
4,166
34,535
4,975
6.94
공동주택
(아파트‧연립‧
다세대주택 포함)
422
33,593
12,085
2.78
* 범죄발생건수 출처: 경찰청 2016년 범죄통계
** 연면적 및 동수 출처: 2017 건축통계 요약집
 
□ 국민권익위는 범죄예방 건축기준 개선에 대한 국민 의견을 듣기 위해 건축도시공간연구소(건축도시공간분야 국책연구기관)와 협업하여 국민참여 소통 기반인 ‘국민생각함(idea.epeople.go.kr)’을 통해 지난 5월 11일부터 17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설문조사에는 국민 409명이 응답했으며, 댓글 의견은 180건
 
설문결과에 따르면, ▲ 500세대 미만 아파트 등에도 범죄예방 건축기준 의무적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94.1%였고 ▲ 소규모 주택에서 범죄에 가장 취약한 장소는 사각지대(고립지대)라고 응답한 비율이 77.8%였으며 ▲ 범죄예방 건축기준이 500세대 이상 아파트에만 의무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도 85.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0세대 미만 아파트 등에도 범죄예방 건축기준을 적용하되, 주택규모에 따라 합리적으로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 등이 있었다.
 
√ 500세대 미만 아파트에도 범죄예방 건축기준을 의무적용하는 게 맞지만, 규모가 다르므로, 규모나 주택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정하는 게 합리적
(국민생각함 설문조사, 2018. 5.)
 
√ 500세대 미만의 아파트부터 우선 의무 적용하되, 범죄발생률이 높은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에도 의무 적용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
(전문가 의견)
 
□ 국민권익위는 ‘국민생각함’ 설문결과와 전문가 의견, 제도의 현실적 적용 가능성 등을 종합 검토한 개선방안을 마련해 국토교통부에 내년 10월까지 제도개선할 것을 권고했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 범죄예방 건축기준*의 경우 의무적용 대상을 현행 500세대 이상 아파트에서 300세대 이상으로 확대하도록 했다.
* 아파트 범죄예방 건축기준: 출입구, 담장, 부대‧복리시설(CCTV 설치 포함), 경비실(CCTV 설치 포함), 주차장(CCTV 설치 포함), 조경, 주동 출입구, 현관문‧창문, 승강기‧복도‧계단(CCTV 설치 포함), 수직 배관 등의 설치기준 등 10개 항목
※ 세부기준은 붙임 2. 참조
 
300세대 미만 아파트와 다세대‧연립‧다가구 주택 등 소규모 주택은 현행 권장기준* 중 건축물 외부 출입문‧사각지대 및 주차장에 적정한 조명 또는 반사경을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했다.
* 현행 권장기준: 창호재(창문 등을 만드는 재료), 출입문, 주출입구, 수직 배관, 건축물 외부‧사각지대‧주차장, 검침 기기 등 설치기준 등 6개 항목
 
□ 국민권익위 안준호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이번 개선방안이 현장에서 시행되면 주거지에서의 범죄 예방과 안전이 보다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국민이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생활 속 안전 개선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8-11-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0 청년의 푸른 미래, 보건복지부가 응원합니다. “청년저축계좌” 4월 7일부터 모집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0 59
1789 청년장애인을 위한 채용정보의 장을 마련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1 38
1788 청년정책 포털 ‘온통청년’ 인지도 조사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30 13
1787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2월 21일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1 17
1786 청년취업에 필요한 실무경력 인정 문턱 확 낮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4 30
1785 청년특별구직지원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3 14
1784 청년특별구직지원금 추가신청 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1 8
1783 청명(淸明)의 밤에 다시 찾아온 창덕궁 달빛기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9 40
1782 청명한 가을 달빛 아래 창덕궁에서 밤을 즐기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6 35
1781 청소년 가짜 신분증에 속아 담배 판매했다면? 영업정지처분 면제 … 개정 「담배사업법」, 7월 1일부터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4
1780 청소년 맞춤형 흡연예방‘캠페인’시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4
1779 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방과후활동서비스 9월부터 시작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17
1778 청소년 보건위생물품(생리대) 한번만 신청하면 계속 지원받을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01 63
1777 청소년 비타민 A·칼슘 섭취 부족...라면을 먹을 땐 우유와 함께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4 16
1776 청소년 알바, 한 달을 일해도 근로계약서 꼭 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30 77
Board Pagination Prev 1 ...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