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결함제품 주의해야

- 한국소비자원·국가기술표준원, 온라인 제품 안전 국제 캠페인 전개 -

배경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편리성 등을 이유로 온라인을 통한 제품 구매가 증가하면서 결함제품의 유통 가능성도 커져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됨.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2018년 OECD 국제 인식 개선 주간*(11.12.~11.16.)을 맞아 ‘온라인 제품 안전’ 캠페인을 실시함.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매년 일정 주간을 정해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소비자 안전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음. 올해 주제는 ‘온라인 제품 안전’으로 미국, 캐나다, 호주 등 24개국 및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함께 하며, 우리나라는 OECD 소비자정책위원회 소비자제품안전작업반 일원으로 2014년부터 5회째 캠페인에 참여함.
◎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유통 결함제품에 대한 위해 우려 증가

OECD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유럽연합이 경보를 발령한 위험 제품(식품 제외) 중 온라인 판매 제품은 12%를 차지했으며, 일본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온라인 구매 제품의 ‘위해’ 또는 ‘위험’ 관련 소비자 불만이 약 8,000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남.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온라인 구매 제품의 ‘위해’ 또는 ‘위험’ 관련 소비자 불만 상담건수는 총 9,266건*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함.

또한, 2018년 상반기(1~6월) 중 한국소비자원이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제품의 국내 온라인 유통을 차단하거나 시정조치를 권고한 사례는 총 95건으로, 품목별로는 ‘아동·유아용품(26건, 27.4%)’과 ‘화장품(16건, 16.9%)’이 가장 많았음. 아동·유아용품의 경우 영유아가 완구 부품 등을 삼켜 질식할 우려가 컸고, 화장품은 발암물질 등 유해물질 함유로 인한 리콜이 대부분임.

◎ 소비자·사업자 모두 리콜 여부 등 제품 안전정보 확인 필요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OECD가 캠페인 대상(소비자·통신판매업자·통신판매중개업자)별로 마련한 권고사항을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해 배포함.


소비자

▶ 안전 문제 발생 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제조업자, 수입업자 또는 판매자 신원정보가 명확하게 게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국내외 제품 리콜정보 제공 포털*을 통해 결함 제품 여부를 확인합니다.
* 행복드림(consumer.go.kr),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go.kr), 제품안전정보센터(safetykorea.kr), OECD글로벌 리콜 포털(globalrecalls.oecd.org)
▶ 올바른 제품 선택을 위해 안전인증 표시, 주의사항, 사용 제한 연령 등 제품 안전정보를 확인합니다.
▶ 구매 후에는 가급적 사업자 공식 홈페이지에 제품을 등록해 리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안전정보를 제공받도록 합니다.
▶ 안전 문제 발생 시 판매자, 오픈마켓 사업자, 관련 정부기관에 즉시 신고합니다.


통신판매업자

▶ 판매 국가별 제품안전 관련 법규를 준수합니다.
▶ 제품의 안전정보 및 주의사항, 판매자 신원정보 등을 판매 국가별 언어로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 국내외 제품 리콜정보를 확인하고 플랫폼 내 모니터링을 강화합니다.
▶ 안전문제 발생 시 소비자 및 정부기관에 상세 연락 정보를 제공하고 즉각 대응합니다.
▶ 안전 문제에 대해 소비자와 직접 효율적으로 소통합니다.


통신판매중개업자

▶ 국내외 제품 리콜정보를 확인하고 플랫폼 내 모니터링을 강화합니다.
▶ 플랫폼에 유통되는 결함제품을 확인하고 제거합니다.
▶ 판매자가 제품안전 관련 법률을 준수하도록 촉구하고 안전정보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합니다.
▶ 판매자 신원정보의 투명성을 높이고 소비자 문의 및 불만 처리를 위해 연락 가능한 판매자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 소비자 보호를 위해 국내외 제품 안전 정부기관과 상호 협력합니다.



[ 한국소비자원/소비자안전주의보 2018-11-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72 케이블 마모되어 화상 및 감전 위험이 있는 Ikea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2.15
4071 사용 중 칼날이 떨어져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Cuisinart 믹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02.15
4070 퓨즈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15
4069 변압기의 품질이 낮으며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Bamse 무선 드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4068 과열보호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Jigong 열풍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2.15
4067 플러그 접촉핀 절연처리 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는 Tetris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02.15
4066 감전 위험있는 Tumakou 고주파 미용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2.15
4065 감전 위험있는 FOXSUR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4064 가전쇼핑몰 DH stor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2.14
4063 온라인쇼핑몰 노리터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2.14
4062 홈쇼핑업체 온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02.14
4061 피해다발업체-캐쉬메이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4
4060 B형 인플루엔자 유행 증가세, 지금이라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4.02.01
4059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2.01
4058 의약외품 액상소화제 용법·용량에 맞춰 복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31
4057 설 선물 구매할 때 허위.과대.부당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1.31
4056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31
4055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1.30
4054 화재 위험 있는 MASPRO 보안 카메라 및 모니터 세트(WHC10M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4.01.25
4053 화재 위험 있는 MASPRO 보안 카메라 및 모니터 세트(WHC7M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01.25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