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9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다가오면서 이를 악용한 스미싱, 인터넷 사기·개인정보 탈취 등 사이버범죄가 증가할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스미싱(Smishing)이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를 누르면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소액결제가 발생하거나 개인·금융정보를 탈취해 가는 수법을 말한다.

 

스미싱은 개인정보·금융정보 탈취를 통해 보이스피싱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사전 예방이 특히 중요하다.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보안설정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의 설치 제한,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소액결제 한도제한·차단, 백신 프로그램 설치 및 주기적 업데이트, 휴대폰 문자 수신 시 출처를 알 수 없는 인터넷 주소(URL) 클릭 금지 등의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수능 이후 휴대폰 등 전자제품, 의류, 콘서트 티켓 등 물품거래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른 인터넷 사기도 증가할 우려가 있다.

 

1020대 인터넷사기 피해자는 전체의 48%(58,537)를 차지한다.

 

물품 거래시에는 판매자와 직접 만나서 거래하거나 안전거래를 이용해야 사기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수험표를 제시하면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을 이용하여 수험표가 거래되는 사례가 있는데, 이 경우 수험자의 성명·주민번호 등이 유출되어 스미싱·보이스피싱 등 2차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인터넷상 타인의 수험표를 구매하여 자신의 사진을 부착해서 사용하는 행위는 공문서 위조·동행사, 사기죄 등으로 처벌될 수 있다.

 

또한 수능성적표는 공문서이므로 이를 위조하여 사용하면 공문서 위조·동행사죄로 처벌될 수 있다.

 

취업 및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신분증, 통장, 체크카드 등을 요구하여 개인정보·금융정보를 탈취하는 범죄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타인에게 자신의 주민번호·비밀번호 등을 알려주거나 통장·체크카드를 양도·대여·매매하여서는 안 된다.

 

앞으로도 경찰은 철저한 수사를 통하여 범인을 신속하게 검거하고, 다양한 사이버범죄 예방·홍보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것이다.

  


[ 경찰청 2018-11-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93 일부 제품에 재봉 바늘 혼입된 유아용 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2.20
3292 일부 제품 포장 미흡으로 품질 저하 우려있는 김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1.12.27
3291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12.23
3290 일부 원재료 성분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 카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3289 일부 어린이제품 제작 뜨개질 키트, 노닐페놀 등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01.12
3288 일부 어린이용 공기주입식 물놀이기구, 안전기준에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8.02
3287 일부 어린이 샌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9.06
3286 일부 어린이 과학교구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2.12
3285 일부 아동용 겨울 점퍼 모자에 부착된 천연모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9.12.06
3284 일부 스퀴시 완구 제품에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9.02.21
3283 일부 비눗방울 장난감에서 유해 보존제 및 기준 초과 미생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10.01
3282 일부 부품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Wearxi 농구골대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3.07
3281 일부 부품 미장착한 EXPED 등산용 배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3.01.12
3280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6 2017.02.03
3279 일부 기계식 주차장 발빠짐·추락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5 2017.08.22
3278 일부 구성품이 미생물에 오염된 Advanture 구급약품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3
3277 일부 공공시설 장애인 통행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우려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2 2017.03.07
3276 일부 건강분말 식품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한 금속성 이물(쇳가루)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1.11.10
327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7.3.3~2017.3.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7 2017.03.13
327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7.3.31~2017.4.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7 2017.04.10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