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면봉은 위생 및 인체의 청결 등을 위해 다용도로 사용되는 생활밀착형 위생용품으로 성인·어린이용 등 연령·재질에 따라 다양한 제품군이 판매되고 있으나,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일반세균·형광증백제가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 유통·판매되는 일회용 면봉 33개* 제품을 대상으로 한 시험검사 및 표시실태 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 제조사별 상위 랭크된 일회용 면봉 33개 제품
[(연령별) 성인용 24개, 어린이용 9개 / (재질별) 나무 11개, 플라스틱 12개, 종이 10개]

◎ 6개 제품은 일반세균·형광증백제 기준 초과

조사대상 일회용 면봉 33개 중 6개 제품(18.2%)에서 일반세균(5개), 형광증백제(1개)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됐다.

5개 제품은 일반세균이 기준(300CFU/g 이하)을 최소 1.1배(335CFU/g)에서 최대 1,206.7배(362,000CFU/g) 초과해 부적합했고, 1개 제품에서는 형광증백제(기준 : 불검출)가 검출됐다.

또한, 1개 제품에서 포름알데히드(61mg/kg)가 검출됐으나, 현재 일회용 면봉에는 포름알데히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면봉과 마찬가지로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위생용품인 일회용 종이냅킨·행주·타월, 화장지 등(4mg/L)과 36개월 미만 어린이용 및 일회용 기저귀(20mg/L, 75mg/L)에는 포름알데히드 기준을 정하고 있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 나무 재질 면봉 전 제품, 최소 1개~최대 9개 부러져 안전사고 발생 위험 높아

조사대상 일회용 면봉 33개 중 나무 재질 11개 제품을 대상으로 축의 강도를 시험검사한 결과, 전 제품이 300개당 최소 1개에서 최대 9개의 부러짐이 확인됐다. 또한, 종이·플라스틱 재질의 면봉도 부러지는 경우 단면이 날카로워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그러나 「위생용품의 기준 및 규격」에는 축 강도 시험검사 대상을 나무 재질 면봉으로 한정하고 있고, 검사 시료 수 기준도 없어 내용물 중 1~3개만 축의 강도 시험을 통과하면 적합으로 판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실제로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면봉’ 관련 위해사례는 총 596건이며, ‘귀나 코에 들어가 빠지지 않음’ 428건(71.8%), ‘부러져 상해를 입음’ 153건(25.7%) 등 면봉이 부러져 발생한 안전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15년) 207건 → (’16년) 175건 → (’17년) 214건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11개 제품, 표시기준에 부적합하거나 허위표시

한편, 9개 제품(27.3%) 표시기준*에 부적합했고, 3개 제품(9.1%) 허위표시를 하고 있었다(1개 제품 중복).

* 「위생용품 관리법」이 제정됐으나, 2020년까지 표시기준 적용이 유예됨에 따라 기존 법률(성인용 면봉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어린이용 면봉은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에 따라 표시실태(8개 항목)를 조사함.

9개 제품은 제조연월일, 영업소의 명칭 및 소재지, 수입자명 등을 누락했고, 3개 제품은 제조국 정보가 상이하거나 “포름알데히드 무첨가”로 표시했으나 해당 성분이 검출됐고, “한국소비자보호원 무결점 인증제품”으로 표시하는 등 허위표시가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업체에 ▲부적합 제품의 자발적 회수 및 판매 중단 ▲제품 표시개선을 권고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일회용 면봉의 ▲안전관리 및 표시·광고 관리·감독 강화 ▲축의 강도 시험검사 대상 재질 추가 및 검사 시료 수 등 기준 신설 ▲포름알데히드 사용금지 기준 마련 ▲제조국명 표시 의무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11-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91 식품 등에 '불면증 치료.완화 등' 불법 광고행위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1.01.19
2090 코웨이㈜ 안마의자 척추온열(MC-P02) 자발적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1.01.27
2089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해피포켓 쿠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1.09.13
2088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Superdiet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1.12.22
2087 다른 제품 혼입으로 알레르기 유발 성분[닭고기] 미표기된 탑밸류 컵라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2.02.10
2086 ‘노스페이스’ 사칭 해외 온라인 쇼핑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2.03.04
2085 알레르기 유발 성분(땅콩) 미표기된 Tohato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2.03.07
2084 자동심장충격기 관련 의무교육·설치 확대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8.01.31
2083 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 확대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8.02.27
2082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8.09.11
2081 식약처, 사용 금지 살균보존제 함유 세척제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04.17
2080 Nabisco 쿠키, 응고 성분 혼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06.14
2079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0.23
2078 청소년 울리는 고금리 사채, 대리입금 거래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07.09
2077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09.02
2076 안전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위한 예방수칙 준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10.26
2075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12.23
2074 잠금장치 열릴 수 있는 Sea to summit 코펠 냄비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1.27
2073 화재 위험 있는 THANKO 전기담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2.26
2072 국내 유통 수산물의 동물용의약품 잔류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4.01
Board Pagination Prev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