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환자 신고건수 4주 연속 증가

최근 4주간 신고사례의 94.6%는 6세 이하의 영유아

산후조리원 신생아 등에서 호흡기감염병 예방 및 관리 강화 당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감염증 입원환자 신고건수가 10월 첫째 주부터 4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및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를 강화해야한다고 당부하였다.

* 전국 19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 감시

RSV 입원환자 신고건수는 2018년 43주(10.21~27) 301건으로 전주(42주 10.14~20) 209건 대비 144.0%로 증가하였으며,

* 최근 4주간 신고건수 : 40주 126건 → 41주 159건 → 42주 209건 → 43주 301건

최근 4주간(9.30~10.27) 신고사례의 연령별 분포는 1~6세가 61.5%, 0세 이하가 33.1% 순으로 전체 신고건수의 94.6%가 6세 이하의 영유아였다.

* 최근 4주간 연령별 현황 : ≤0세 263건(33.1%), 1~6세 489건(61.5%), ≥7세 43건(5.4%)

RSV감염증은 인두염 등 주로 상기도감염으로 나타나지만 영유아나 면역저하자, 고령자에서는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 등 하기도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주로 발생하고,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이나 호흡기 비말을 통해 쉽게 전파되므로, 산후조리원이나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는 동절기 RSV 감염증 전파 예방을 위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지역사회 유행 시기에 앞서 산후조리원 RSV 감염증 예방 홍보 포스터를 제작·배포하였고, 일선 지자체에 RSV 감염증 집단발생 대응 강화를 요청하였다.

아울러,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는 신생아 접촉 전·후 손씻기,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이나 방문객 출입 제한, 호흡기 증상이 있는 신생아 격리 및 치료 등의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호흡기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예방·관리수칙 ▶

  • 일반 예방·관리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기침예절 실천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 장난감, 식기, 수건 등 개인물품 개별 사용
  • 산후조리원에서의 예방·관리수칙
    • 신생아를 돌보는 사람은 신생아와 접촉 전·후 반드시 손씻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직원은 신생아를 돌보는 업무 제한
    • 호흡기증상이 있는 방문객 출입 금지
    • 호흡기증상이 있는 신생아는 진료 및 격리 조치



[ 보건복지부 2018-11-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93 Fair&White Miss White 바디로션, 유해물질 함유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20.05.21
3692 한랭질환자 지속 발생, 설 연휴 취약계층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20.01.22
3691 연료펌프 커버플레이트 변형 발생하는 현대자동차 투싼(LM) 차량, 기아자동차 스포티지(SL)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2.01.03
3690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0.05.21
3689 학교 휴업 기간, 집에서 안전교육 받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0.03.23
3688 2016년 1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3 2017.02.07
3687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20.05.20
3686 Whole Earth 버터(3 Nut Butter Peanut, pecan & Walnut), 견과류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19.06.14
3685 Collegiate 말안장, 사용자 낙상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19.06.14
3684 Miele 커피머신, 전원 연결부 결함으로 인한 화재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19.01.31
3683 2015년도 소비자위해정보 주요통계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2 2017.01.04
3682 고혈압 처방약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 있는 Insane Labz 운동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1 2020.02.17
3681 Delta 유모차(Cross-Country All-Terrain Jogging Stroller), 낙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1 2017.12.06
3680 홈 베이킹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0 2020.02.05
3679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계약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등 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8.05.30
3678 AOC 모니터 2종, 감전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7.12.06
3677 심폐소생술 교육으로 물놀이 안전사고 대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7.06.23
3676 2017년 3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9 2017.05.02
3675 Bachman 과자,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8 2019.04.11
3674 과열에 따른 감전 위험성 있는 암염램프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8 2017.02.08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