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환자 신고건수 4주 연속 증가

최근 4주간 신고사례의 94.6%는 6세 이하의 영유아

산후조리원 신생아 등에서 호흡기감염병 예방 및 관리 강화 당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감염증 입원환자 신고건수가 10월 첫째 주부터 4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및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를 강화해야한다고 당부하였다.

* 전국 19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 감시

RSV 입원환자 신고건수는 2018년 43주(10.21~27) 301건으로 전주(42주 10.14~20) 209건 대비 144.0%로 증가하였으며,

* 최근 4주간 신고건수 : 40주 126건 → 41주 159건 → 42주 209건 → 43주 301건

최근 4주간(9.30~10.27) 신고사례의 연령별 분포는 1~6세가 61.5%, 0세 이하가 33.1% 순으로 전체 신고건수의 94.6%가 6세 이하의 영유아였다.

* 최근 4주간 연령별 현황 : ≤0세 263건(33.1%), 1~6세 489건(61.5%), ≥7세 43건(5.4%)

RSV감염증은 인두염 등 주로 상기도감염으로 나타나지만 영유아나 면역저하자, 고령자에서는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 등 하기도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주로 발생하고,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이나 호흡기 비말을 통해 쉽게 전파되므로, 산후조리원이나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는 동절기 RSV 감염증 전파 예방을 위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지역사회 유행 시기에 앞서 산후조리원 RSV 감염증 예방 홍보 포스터를 제작·배포하였고, 일선 지자체에 RSV 감염증 집단발생 대응 강화를 요청하였다.

아울러,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는 신생아 접촉 전·후 손씻기,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이나 방문객 출입 제한, 호흡기 증상이 있는 신생아 격리 및 치료 등의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호흡기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예방·관리수칙 ▶

  • 일반 예방·관리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기침예절 실천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 장난감, 식기, 수건 등 개인물품 개별 사용
  • 산후조리원에서의 예방·관리수칙
    • 신생아를 돌보는 사람은 신생아와 접촉 전·후 반드시 손씻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직원은 신생아를 돌보는 업무 제한
    • 호흡기증상이 있는 방문객 출입 금지
    • 호흡기증상이 있는 신생아는 진료 및 격리 조치



[ 보건복지부 2018-11-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49 독성 식물로 확인된 테호코테(Tejocote) 다이어트 보조제(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4.03.15
3248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Apex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4.03.27
3247 기준치 초과하는 성분(아세설핌K) 함유한 Ichibiki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8.26
3246 기기 및 오븐 과열돼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에어프라이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8.26
3245 비 올 때 위험해지는 지하 공간, 이렇게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9.13
3244 어린이보호포장 미흡한 방향제 자발적 리콜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0.12
3243 슈도모나스균 오염 가능성 있는 베이비워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1.16
3242 가맹사업거래 분쟁 및 피해 예방을 위한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2.07
3241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Bed Head 드라이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2.13
3240 소비기한 표기 오류로 건강 위험 있어 리콜된 Ishiya 초콜릿 오믈렛(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2.14
3239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Holland & Barrett 대두 레시틴(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2.15
3238 소형부품이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MBAT 장난감 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1.16
3237 작동하지 않는 OKEAH 연기 및 일산화탄소 감지ㆍ경보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5.26
3236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8.29
3235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피염평 999 연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9.20
3234 감전 우려 있는 닌텐도(NINTENDO) 게임기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4.01.04
3233 고무볼 혼입 가능성이 있는 Branston 콩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4.01.25
3232 온라인쇼핑몰 노리터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4.02.14
3231 적합성 평가 인증이 없는 Jiuran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4.02.20
3230 이마트몰 사칭 부업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4.02.27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