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韓·싱가포르, 중독문제 및 예방·치료 프로그램 공유
- 국립정신건강센터, 한·싱가포르 중독정신건강 국제 심포지엄 개최(11.1) -
- 중독정신건강의학 분야의 국제적 협력 및 이해 증진의 일환으로 중독 예방·치료재활 서비스 등
정보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 -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이철 센터장)는 2018년 11월 1일(목) 한국과 싱가포르 중독정신의학 전문가 간 이해와 국제적 협력 모색을 위해 중독정신건강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 국립정신건강센터(한국): NCMH(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정신건강센터(싱가포르): IMH(Institute of Mental Health)

이번 행사는 국내외 중독정신건강 전문가 약 100여 명이 참석하여 다양한 중독문제를 공유하고, 각국의 우수한 중독예방·치료 프로그램 등에 관한 발표와 토론을 할 예정이다

첫 번째 시간(세션)은 ‘행위중독과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란 주제로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개발한 인터넷 게임 중독 치료 프로그램(HORA)* 소개, 싱가포르에서의 온라인 기기(디바이스)와 연관된 정신건강 문제 등에 대한 각국 전문가 발표와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 인터넷 게임 중독 치료프로그램(HORA)란 전자미디어 중독문제에 대한 다학제 전문가들로 구성된 2주간 입소식 치료프로그램으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을 회복하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여 더 심각하고 복합적인 중독으로 진행하는 것을 예방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시간(세션)은 ‘중독과 인지재활 프로그램 소개’란 주제로 물질중독자를 위한 메타인지 교육 프로그램*과 뇌 과학을 기반으로 한 중독예방 교재를 공유함으로써 효과적인 중독예방 및 치료재활 프로그램을 소개할 예정이다.

* 메타인지 교육 프로그램이란 물질중독에서 회복하는 과정에 있는 분들이 문제 영역을 파악하고, 새로운 통찰력으로 뇌기능을 회복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도구를 제시하여 지속가능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국립정신건강센터 이철 센터장은 “이번 국제 심포지엄은 행위중독에 대한 대응책과 정책적 기반 마련의 중요성을 확산 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나아가 국가중독정신보건 수준 향상으로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데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붙임> 국립정신건강센터 중독정신건강 국제 심포지엄 세부일정


[보건복지부 2018-11-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06 생애주기별 맞춤형복지 완성과 안전한 국민생활 여건 조성을 위한 2016년도 민생안정 지원 주요 사업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106
7605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가이드북 제3권 및 4권 발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7 119
7604 생분해성 수지제 바르게 알고 사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6
7603 생보사,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보험계약대출금리 인하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3 12
7602 생명보험 중도해약 사유, 경제사정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8 12
7601 생명 위협하는 ‘도로 위 흉기’, 국민권익위에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7 2
7600 생리용품, 제품 유형마다 사용법과 주의사항이 달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1 21
7599 생리대·탐폰·생리컵 구매 시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5 20
7598 생리대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화 내년부터 본격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3 22
7597 생리대 착향제 중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0 50
7596 생리대 등 품질 모니터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1
7595 생닭은 냉장온도에서 보관.운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1 46
7594 생계급여 1월부터 최대 4인가구21만 3천 원 오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04 7
7593 샌드위치, 제품에 따라 맛·식감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32
7592 색조 화장품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16
Board Pagination Prev 1 ...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