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18년도 하반기부터 진로체험지원 전산망 ’꿈길‘ 서비스를 초?중등학교 이외의 다양한 청소년 지원기관으로 확대하고, 청소년이 기관을 통하지 않고 직접 지역사회의 진로체험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편한다.
ㅇ 그동안 청소년 지원기관에 ‘꿈길’을 개방하여 달라는 요청과 개인의 진로체험 지원을 요구하는 현장의 목소리가 계속해서 있었으며,
ㅇ 이에 학교 밖 청소년 등 교육소외계층의 진로체험 기회를 넓히고, 개인의 진로체험 선택권을 확대하고자 ‘꿈길’ 개편을 추진하게 되었다.

◈(목적) 초.중등학교 등의 체계적인 진로탐색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발굴한 다양한 진로체험처의 정보제공 및 운영관리를 실시
◈ (경과) 중.고교 대상 서비스 실시(’14)→초교, 특수학교 대상 서비스 실시(’17)→학교 외 청소년 지원기관 및 개인 대상 서비스 실시(’18)
◈ (사용자) 초.중.고.특수 학교, 중앙행정기관, 시.도교육청, 진로체험지원센터, 광역.기초지자체, 진로체험처 등 기관/ 개인
◈ (주요기능) ① 진로체험처 정보 등록 ②진로체험처 검색.신청.매칭 운영 관리
③진로체험 질 관리(안전도, 만족도 등)

[교육소외계층의 진로체험 기회를 넓히주기 위한 ‘꿈길’ 개방]

□ 그동안 교육부는 체계적인 진로체험 지원을 위해 ‘꿈길’을 중.고교에 도입한 이후 지속적으로 서비스 대상을 확대*하였으며,
* 중.고교 대상 서비스 실시(’14)→초교, 특수학교, 각종학교 대상 서비스 실시(’17)
ㅇ 올해는 다문화학생, 학교 밖 청소년 등 진로체험기회가 부족한 청소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유관기관에 꿈길을 개방하였다.
ㅇ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 관할 가정형 위(Wee)센터, 위(Wee)스쿨 및 학교 폭력 피해학생 전담기관과 여성가족부 관할 청소년꿈드림센터(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일반 학교와 동일하게 꿈길을 이용하여 진로체험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ㅇ 향후에도 계속해서 관련 부처와 협력해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등 청소년 지원기관을 발굴하여 진로체험의 사각지대 해소할 예정이다.


[진로체험 선택권을 넓히기 위한 개인 단위 진로체험 운영 지원]

□ 또한, 교육부는 개인 맞춤형 진로개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기관 단위로만 사용 가능하였던 ‘꿈길’을 개인 단위로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ㅇ 기존에는 교사가 ‘꿈길’을 통해 진로체험을 신청?관리하여 진로체험 과정에서 학생의 의사가 제한적으로 반영될 수밖에 없으며,
ㅇ 주말이나 방학을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진로체험을 하고 싶어하는 청소년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없었다.
ㅇ 이를 해결하기 위해 ’18년도 하반기에는 청소년 개인이 ‘진로교육정보망 통합회원’* 계정으로 ‘꿈길’에 로그인하여 진로체험처와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편하고,
* 진로교육 정보망 통합회원(sso.career.go.kr):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진로교육 관련 누리집(진로정보망 커리어넷,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청소년 기업가 체험프로그램, 꿈길)를 1개의 계정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ㅇ ’19년도 말부터는 청소년들이 개별적으로 ’꿈길‘을 통해 진로체험프로그램을 신청하고 활동 결과를 누적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개인 단위 진로체험 지원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 최은옥 교육부 평생미래교육국장은 “학교 외의 청소년 지원기관과 개인의 꿈길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진로체험의 사각지대가 해소되고 개인 맞춤형 진로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히며,
ㅇ “앞으로도 교육부는 ‘꿈길’이 교육 현장의 진로체험 활동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에 계속해서 귀를 기울이며 시스템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교육부 2018-10-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0 지역중소업체 등 입찰 및 계약보증금 50% 인하, 6개월 추가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28 7
2059 지역축제, 식품 위생 및 시설 안전 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20
2058 지원받을 수 있는 보훈서비스를 하나하나 확인하고 몰랐던 지원은 원스톱으로 신청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7 6
2057 지자체 건축심의 점검, “불합리한 심의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5 85
2056 지자체 공공시설 이용요금 법정할인 간편하게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13
2055 지자체 발주사업 부정당업자 참여제한 5년간 제재 없으면 면제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9 42
2054 지자체 소비자행정에 대한 주민 인지·만족도 저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2 95
2053 지자체 소유 공유재산, 특례제한법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7 14
2052 지자체 자연휴양림, 장애인 이용요금 낮추고 편의시설 의무적으로 확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6 34
2051 지자체 재정지출, 더욱 투명하고 꼼꼼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7 84
2050 지자체 지식재산권 이용하기 쉬워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3 226
2049 지자체 회계·계약 업무지원 대폭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6 89
2048 지자체, 금주구역 지정 법적 근거 생겼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4 37
2047 지자체-복지기관 간 정보 공유와 협업으로 복지서비스 해택이 더 가까워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2 45
2046 지자체가 가입해 주는 시민안전보험 알고 계신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6 37
Board Pagination Prev 1 ...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