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우리 아이, 표준 예방접종일정 준수 및 누락 접종 완료로 감염 예방
- 만12세 이하 어린이, 보건소와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접종
◇ 의료기관, 의심환자 진단 시 전파 예방교육 실시 및 관할 보건소에 신고
◇ 보육시설‧학교, 감염병 예방수칙 실천 및 감염 환자 등원‧등교 중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수두‧유행성이하선염 발생이 증가하는 시기(10월~이듬해 1월)가 도래함에 따라 감염병 예방에 대한 협조 및 주의를 당부하였다.

○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은 환자가 기침할 때 분비되는 침방울(비말),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주로 영‧유아나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에서 발생률이 높고 매년 4월∼6월과 10월∼이듬해 1월 사이 발생이 증가한다.
*수두: 미열을 시작으로 온몸에 발진성 수포(물집)가 1주일가량 발생하며, 수포성 병변의 직접접촉이나 호흡기 분비물의 공기전파를 통해 감염

**유행성이하선염: 무증상 감염이 20%를 차지, 증상이 있는 경우 귀밑 이하선(침샘)부위가 붓고 1주일가량 통증을 동반하며 기침 시 분비되는 비말(침방울)로 전파

○ 예방접종을 제때 완료하면 감염병 발병을 사전에 막을 수 있고, 만일 감염되더라도 가볍게 앓고 지나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 생후 12~15개월 사이에 수두와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 접종과 만 4~6세에 MMR 백신 접종을 실시하고, 접종 여부를 모르는 경우 예방접종기록*을 확인하여 줄 것을 권고하였다.
*예방접종 기록과 지정 의료기관 현황은 예방접종 도우미(https://nip.cdc.go.kr)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명칭: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을 통해 확인 가능

○아울러,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 전염기간* 동안 등원‧등교(학원 포함)를 하지 않도록 학교와 학부모님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등원‧등교 중지기간: (수두) 모든 피부병변(물집)에 딱지가 앉을 때까지
(유행성이하선염) 이하선염 증상 발생 후 5일까지

□ 의료기관은 내원한 만 12세 이하 어린이의 예방접종력을 확인하여 접종시기가 되었거나 누락된 접종이 있다면 접종*을 권고하고,

- 의심환자 진료 시 등원‧등교 중지 등 전파 예방교육을 실시한 후 관할 보건소에 지체 없이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가예방접종은 가까운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 특히, 보육시설, 학교 등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시설 내 수두 또는 유행성이하선염 집단 환자 발생* 시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발생 상황을 관할 보건소에 알려줄 것을 권고하였다.

*3주 이내 1개 학급에서 수두 또는 유행성이하선염 환자(또는 의심)가 해당 학급의 5% 이상 발생한 경우(단, 1개 학급이 20명 미만인 경우 최소 2명 이상 발생 시)

□ 질병관리본부 박혜경 감염병감시과장은 “단체생활을 할 때는 한 명만 감염병에 걸려도 집단 유행으로 번질 수 있다”며, 확산 방지를 위해 단체생활 감염병 예방수칙을 실천하고 적기에 예방접종을 완료* 할 것을 당부하였다.
*질병관리본부와 교육부는 “초·중학교 입학생 예방접종 확인사업”을 공동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학교 및 보건소에서 확인사업 대상의 유행성이하선염 등에 대한 예방접종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미접종자 접종을 독려하고 있음



[ 질병관리본부 2018-10-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93 일부 제품에 재봉 바늘 혼입된 유아용 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2.20
3292 일부 제품 포장 미흡으로 품질 저하 우려있는 김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1.12.27
3291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12.23
3290 일부 원재료 성분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 카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3289 일부 어린이제품 제작 뜨개질 키트, 노닐페놀 등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01.12
3288 일부 어린이용 공기주입식 물놀이기구, 안전기준에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8.02
3287 일부 어린이 샌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9.06
3286 일부 어린이 과학교구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2.12
3285 일부 아동용 겨울 점퍼 모자에 부착된 천연모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9.12.06
3284 일부 스퀴시 완구 제품에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9.02.21
3283 일부 비눗방울 장난감에서 유해 보존제 및 기준 초과 미생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10.01
3282 일부 부품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Wearxi 농구골대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3.07
3281 일부 부품 미장착한 EXPED 등산용 배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3.01.12
3280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6 2017.02.03
3279 일부 기계식 주차장 발빠짐·추락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5 2017.08.22
3278 일부 구성품이 미생물에 오염된 Advanture 구급약품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3
3277 일부 공공시설 장애인 통행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우려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2 2017.03.07
3276 일부 건강분말 식품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한 금속성 이물(쇳가루)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1.11.10
327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7.3.3~2017.3.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7 2017.03.13
327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7.3.31~2017.4.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7 2017.04.10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