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우리 아이, 표준 예방접종일정 준수 및 누락 접종 완료로 감염 예방
- 만12세 이하 어린이, 보건소와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접종
◇ 의료기관, 의심환자 진단 시 전파 예방교육 실시 및 관할 보건소에 신고
◇ 보육시설‧학교, 감염병 예방수칙 실천 및 감염 환자 등원‧등교 중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수두‧유행성이하선염 발생이 증가하는 시기(10월~이듬해 1월)가 도래함에 따라 감염병 예방에 대한 협조 및 주의를 당부하였다.

○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은 환자가 기침할 때 분비되는 침방울(비말),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주로 영‧유아나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에서 발생률이 높고 매년 4월∼6월과 10월∼이듬해 1월 사이 발생이 증가한다.
*수두: 미열을 시작으로 온몸에 발진성 수포(물집)가 1주일가량 발생하며, 수포성 병변의 직접접촉이나 호흡기 분비물의 공기전파를 통해 감염

**유행성이하선염: 무증상 감염이 20%를 차지, 증상이 있는 경우 귀밑 이하선(침샘)부위가 붓고 1주일가량 통증을 동반하며 기침 시 분비되는 비말(침방울)로 전파

○ 예방접종을 제때 완료하면 감염병 발병을 사전에 막을 수 있고, 만일 감염되더라도 가볍게 앓고 지나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 생후 12~15개월 사이에 수두와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 접종과 만 4~6세에 MMR 백신 접종을 실시하고, 접종 여부를 모르는 경우 예방접종기록*을 확인하여 줄 것을 권고하였다.
*예방접종 기록과 지정 의료기관 현황은 예방접종 도우미(https://nip.cdc.go.kr)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명칭: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을 통해 확인 가능

○아울러,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 전염기간* 동안 등원‧등교(학원 포함)를 하지 않도록 학교와 학부모님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등원‧등교 중지기간: (수두) 모든 피부병변(물집)에 딱지가 앉을 때까지
(유행성이하선염) 이하선염 증상 발생 후 5일까지

□ 의료기관은 내원한 만 12세 이하 어린이의 예방접종력을 확인하여 접종시기가 되었거나 누락된 접종이 있다면 접종*을 권고하고,

- 의심환자 진료 시 등원‧등교 중지 등 전파 예방교육을 실시한 후 관할 보건소에 지체 없이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가예방접종은 가까운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 특히, 보육시설, 학교 등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시설 내 수두 또는 유행성이하선염 집단 환자 발생* 시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발생 상황을 관할 보건소에 알려줄 것을 권고하였다.

*3주 이내 1개 학급에서 수두 또는 유행성이하선염 환자(또는 의심)가 해당 학급의 5% 이상 발생한 경우(단, 1개 학급이 20명 미만인 경우 최소 2명 이상 발생 시)

□ 질병관리본부 박혜경 감염병감시과장은 “단체생활을 할 때는 한 명만 감염병에 걸려도 집단 유행으로 번질 수 있다”며, 확산 방지를 위해 단체생활 감염병 예방수칙을 실천하고 적기에 예방접종을 완료* 할 것을 당부하였다.
*질병관리본부와 교육부는 “초·중학교 입학생 예방접종 확인사업”을 공동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학교 및 보건소에서 확인사업 대상의 유행성이하선염 등에 대한 예방접종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미접종자 접종을 독려하고 있음



[ 질병관리본부 2018-10-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96 코로나19 방역 용도로 손소독제(의약외품)를 사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1.21
2395 피부·눈 염증 유발 위험 있는 Becca Cosmetics 컨실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0.08.19
2394 Stacker2 식품보조제에 카페인 과다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9.05.16
2393 어린이의 자석 삼킴사고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8.07.09
2392 금감원, 나이롱환자 등의 허위입원을 조장하는 한방병원 무더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7.12.21
2391 일부 패션팔찌에서 납과 카드뮴 다량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7.12.14
2390 포름알데히드 검출된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6.08
238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6.08
2388 벤젠 검출된 Coppertone 유아용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12.21
2387 알레르기 성분(겨자) 미표시한 Nomad Nutrition Kathmandu Curry 카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10.08
2386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NUTRIGEE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9.13
2385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SANTAROME BIO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9.13
2384 TC Electronic 기타조율기(Polytune Clip, Polytune Clip Black, Unitune Clip) 단추형 전지관련 주의 경고 표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8.21
2383 어르신이 주의해야 하는 약에는 어떤게 있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7.19
2382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5.03
2381 겨울철 전기장판 사용 시 저온화상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2.14
2380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임신 20주 이후 사용 제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19
2379 축산물 해썹 인증제 도입하여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08
2378 단추 탈락으로 영유아 삼킴·질식 위험 있는 유아용 겉싸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08.24
2377 본격적인 겨울 시작, 한랭 질환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1.29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