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가을걷이가 한창인 가운데 농기계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 발생한 농기계 사고는 총 7,471건이며, 7,066명의 인명피해가(사망 541명, 부상 6,525명) 발생하였다.

특히, 연간 발생하는 농기계 사고 3건 중 1건(2,317건, 31%)이 가을 수확기에 집중되고 있으며, 10월에는 940건이 발생하였다.

사고의 원인은 운전부주의가 절반(3,746건, 50%)으로 가장 많았고, 과적이나 농기계 동승 등 안전수칙 불이행이 1,058건(14%), 정비 불량이 1,033건(14%) 발생하였다.

또한,「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및 손상조사*(‘17년)」결과에 따르면 농기계 중 경운기로 인한 사고가 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트랙터와 관리기 등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농업인에게 발생된 사고와 질병, 손상 등에 대한 실태조사(농촌진흥청)

사고발생 장소는 논과 밭이 51%로 가장 많았고, 하우스 등 시설 16%, 농로나 공공도로, 논밭진입로 등에서도 15%나 발생하였다.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려면 평소 점검과 정비를 생활화하고 다음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농기계로 좁은 농로나 내리막길, 급커브길을 운행할 때는 속도를 줄여 천천히 이동한다.

농기계로 도로를 다닐 때는 반드시 교통법규를 지키고 야간 시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농기계 뒤쪽에 야광 반사판 같은 등화장치를 꼭 붙이도록 한다.

또한, 농기계는 사용방법과 주의사항 등을 충분히 숙지한 후 작업하고 부품은 시기에 맞춰 제 때 교체하도록 한다.

작업복은 농기계 벨트 등에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소매나 바지가 길게 늘어지는 옷은 피하고 신발은 가급적 미끄럼 방지처리가 된 안전화가 좋다.

아울러, 농기계에 짐을 실을 때는 화물 적재함의 규격을 넘지 않도록 주의하고 이 때 운전석에서는 사방이 모두 보여야 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한해 농사를 갈무리 하는 바쁜 시기이지만, 농기계를 사용할 때는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특히 새참 등으로 음주를 했다면 충분히 휴식한 후 작업해 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10-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90 유리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Freche Freunde 이유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3.01.16
2989 유럽 지역 여행경보 2단계(황색경보, 여행자제)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3.17
2988 유럽 등 홍역유행 … 여행전 예방접종 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18.07.09
2987 유니버셜 보험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12.16
2986 위험 및 주의문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헤드라이트 복원 용액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03
2985 위생취약우려 식품취급시설 점검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7.08.11
2984 위드펫 / WithPe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1.10.18
2983 원자재 ETF,ETN 투자유의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2.03.17
2982 원료 함량이 승인 배합량과 다른 마쓰다 입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2.08.23
2981 원료 원산지 정보 잘못 기재한 불독(ブルドック) 오꼬노미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1.01.27
2980 웁스(WHOOPS)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23
2979 우유 성분이 실제보다 적게 표기되어 알레르기 발생 위험이 있는 초콜릿 제품 판매 중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1 2016.06.09
2978 우유 성분 미표기한 비타민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9 2017.03.06
2977 우유 성분 미표기로 알레르기 위험 있는 UpSpring 영유아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0.10.05
2976 우유 성분 미표기로 알러지 위험 있는 Black Instant Coffee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14 2015.05.22
2975 우유 성분 미표기된 쿠키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1 2017.03.06
2974 우유 성분 미표기된 초콜렛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9 2017.03.06
2973 우유 성분 미표기된 Nature’s Way 어린이 영양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0.11.23
2972 우수판매업소 지원 확대 및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8 2016.07.26
2971 우센지코리아 / 화청주식회사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7 2022.06.14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