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자안전 및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하여 2016년 7월 29일부터 「환자안전법」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피해구제 신청된 병원 내 환자안전사고*의 67.1%가 환자관리 미흡이나 처치실수 등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발생했고, 안전사고로 장애가 남거나 사망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환자안전관리 강화가 요구된다.

* 보건의료인이 환자에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가지고 있는 질환과 직접적인 관련 없이 환자의 생명·신체·정신에 대한 손상 또는 부작용 등이 발생한 안전사고

** 의사(치과의사·한의사), 간호사, 조산사, 간호조무사, 약사(한약사), 의료기사(임상병리사·방사선사·물리치료사·작업치료사·치과기공사·치과위생사), 응급구조사 등

◎ 전년 동기 대비 60.7% 증가, 60대 이상에서 절반 가까이 발생

최근 2년 8개월간(2016.1.1.~2018.8.31.)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환자안전사고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37건으로, 특히 올해는 8월말까지 45건이 접수돼 전년 동기(28건) 대비 60.7%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고령환자의 비율이 43.0%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 환자안전사고 관련 피해구제 접수 현황 ]

      [ 단위 : 건.  (%) ]

구 분

2016

2017

2018

합 계

 

8월 기준

8월 기준

건수 (증감률)

52

40

28(-)

45(60.7)

137


◎ 처치·시술 과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 장애가 남거나 사망한 경우도 있어

사고 유형별로는 주사·부목·레이저시술·물리치료 등의 ‘처치·시술’ 문제가 41.6%(57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낙상’ 27.0%(37건), ‘투약오류’ 7.3%(10건) 등의 순이었다.

‘낙상’ 사고의 경우 화장실(27.0%, 10건)과 입원실(24.3%, 9건)에서 주로 발생해 환자 및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와 함께 낙상 위험요소 확인 등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안전사고로 인한 환자 피해는 ‘골절’ (22.6%, 31건), ‘흉터’(21.9%, 30건), ‘장기 또는 조직손상’(15.3%, 21건) 등의 순으로 많았고, ‘장애’가 발생하거나 ‘사망’한 경우도 11.7%(16건)로 적지 않았다. 또한, 환자안전사고 10건 중 약 8건은 안전사고로 인해 수술이나 입원, 통원치료 등의 추가치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 67.1%가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발생

발생 원인으로는 ‘환자관리 미흡’(37.2%, 51건) 이나 ‘처치실수’(29.9%, 41건) 등 보건의료인의 부주의가 67.1%(92건)를 차지했고, ‘시설관리 소홀’이 7.3%(10건) 등이었다.

의료기관별로 보면, ‘의원’급이 28.5%(39건)로 가장 많았고, 「환자안전법」상의 환자안전 전담인력 의무 배치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200병상 미만 병원’급도 13.9%(19건)를 차지해 치료과정에서 보건의료인의 주의가 요구된다.

◎ 보건의료인의 환자안전기준 준수 및 환자안전사고 자율보고 활성화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환자안전사고는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 가능한 만큼 보건의료인이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환자안전기준을 충실히 준수하고, 안전교육을 정기적으로 받도록 의무화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유사사고 예방 및 재발방지를 위해 안전사고 발생 시 보건의료인과 의료소비자가 자율보고*를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권고했다.

* 「환자안전법」 제14조에서는 환자안전사고를 발생시켰거나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된 보건의료인이나 환자(환자 보호자) 등은 안전사고를 자율보고(환자안전보고시스템) 하도록 하고 있음. 전체 자율보고 중 환자 및 보호자의 보고는 0.3%에 불과함(제1차 환자안전종합계획 2018.4.26., 보건복지부 자료 참조).

아울러 병원 내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의료소비자들에게 ▲거동이 불편한 경우 이동 시 보건의료인과 동행하거나 도움을 요청할 것 ▲보건의료인이 안내하는 주의사항을 잘 지킬 것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지체 없이 사고 사실을 보건의료인에게 알리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8-10-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93 감전 위험이 있는 Miami Carry On 여행용 어댑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12.19
3292 경영인정기보험 관련 불완전판매 우려 및 불건전 영업행위에 대한 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4.17
329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7.14
3290 화상 위험이 있는 건전지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8.23
3289 식품첨가제(식용색소, 산화방지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씨리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9.27
3288 안전 기술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Zhengniu 전기모기채(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11.15
3287 검사·검찰수사관 사칭 전화금융사기 증가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1.06
3286 Ledlenser 손전등 충전기 무상 교환 조치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1.12
3285 작은 부품으로 질식 위험을 초래하는 Calico Critters 인형 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4.24
3284 안정세 유지를 위한 엠폭스 고위험군의 적극적 예방접종 및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31
3283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18.12.03
3282 주식회사매니쉬컴퍼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09
3281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3280 글리시돌(glycidol) 기준 초과 검출된 오메가3 영양제(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26
3279 글리시돌(glycidol) 기준 초과 검출된 오메가3 영양제(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26
3278 해외 브랜드 노트북 A/S 관련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0
3277 비브썸 / VIVESOM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3276 부품이 분리되어 어린이에게 질식 위험 있는 이케아 블라인드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3275 에틸렌옥사이드 농약 함유돼 건강위험으로 리콜된 Mi Sedaap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2.06
3274 설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3.01.16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