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국립공원 그린포인트 누리집에서 1만 포인트로 신청 가능

▷ 각 공원별 깃대종 뱃지 수집 후 인증사진 행사도 실시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권경업)은 그린포인트 누리집(http://greenpoint.knps.or.kr)에서 2019년 국립공원 달력 교환 행사를 10월 23일부터 11월 21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내년도 국립공원 달력을 1만 그린포인트로 교환하여 신청할 수 있다. 국립공원 달력은 벽결이형과 탁상용으로 제작될 예정이며, 올해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이 실린다.

교환 방법은 1만 그린포인트 이상 보유자가 10월 23일부터 11월 21일까지 국립공원 그린포인트 누리집의 상품교환 게시판에서 2019년 국립공원 달력을 신청하고 주소지를 입력하면 된다. 달력은 11월 말부터 배송될 예정이며, 택배비는 무료다.

2010년 8월부터 시작한 그린포인트 제도는 '자기 쓰레기 되가져가기' 캠페인으로 쓰레기 1g당 2포인트씩 하루 최대 2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적립된 포인트로 대피소, 야영장 등 국립공원 시설예약과 등산 용품 등의 상품을 교환할 수 있다.

포인트 적립은 국립공원 입구의 탐방지원센터 등 적립장소에서 가능하며, 올해 8월부터는 국립공원 산행정보앱을 통해 되가져간 쓰레기 사진을 전송하면 7백 포인트가 적립된다.

아울러,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그린포인트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기존의 등산 용품 외에도 외부업체와 협력하여 편의점 생수 등 교환상품을 확대했으며, 깃대종 뱃지 수집 이벤트도 10월 23일부터 진행한다.

각 국립공원별 깃대종 뱃지 21종을 10월 23일부터 2,500포인트로 전국 국립공원 탐방지원센터에서 즉시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깃대종 뱃지를 15개 이상 수집하여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인증사진과 함께 깃대종 뱃지, 그린포인트 글자에 해시태그(#)를 붙여 올리면 내년 6월에 12만 원 상당의 국립공원 기념주화를 추첨을 통해 40명에게 제공한다.

한편, 2017년 국립공원 내 쓰레기 발생량은 1,134톤으로 2009년 2,520톤에 비해 약 55%정도 감소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국립공원 그린포인트' 제도가 쓰레기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총 19만 8천 명의 참여자가 총 197톤의 자기 쓰레기를 되가져 갔으며, 3억 2,000만 포인트가 적립되는 등 그린포인트 제도에 참여하는 탐방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병기 국립공원관리공단 환경관리부장은 "탐방객들이 자발적으로 그린포인트 제도에 참여하면서 쓰레기 발생량이 크게 줄었다"라며, "앞으로도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쓰레기 감소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를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18-10-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06 산불예방 위해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9 9
6405 산불예방 위해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11월 15일부터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38
6404 산불피해 특별재난지역에 고향사랑기부로 따뜻한 마음을 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6 96
6403 산업단지 중소기업 근무 청년에 대한 교통비 지원 확대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8 11
6402 산업부, 가구 등 3개 생활용품의 안전기준 개정 (3/3 조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4 19
6401 산업부·한전,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113
6400 산업안전보건교육 현장에서 쉽게 받고 교육시간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3 74
6399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4
6398 산업용 색소 사용으로 위해 위험있는 건두부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2 125
6397 산업현장의 유해인자로 인한 미숙·장애아 출산 시 산재보험 적용돼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4 37
6396 산재 치료 후 복귀하면 매달 80만 원을 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6 30
6395 산재 화상환자 비급여 치료비 부담 확 줄어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6 207
6394 산재결정 전 특별진찰 기간 중에도 치료비용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9 33
6393 산재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 금리 2%에서 1.25%로 대폭 인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3 27
6392 산재근로자 전용 직업복귀 통합 플랫폼 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0 87
Board Pagination Prev 1 ...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