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가을 단풍이 절정에 이르면서 등산객 숫자도 급증하고 있어 산행할 때 실족이나 추락 등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올해 단풍 절정기*는 10월 17일 오대산을 시작으로 조금씩 내려와 10월 25일 월악산과 11월 9일 내장산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 산 전체를 볼 때 80% 정도가 단풍으로 물들었을 시기

관련 통계에 따르면 등산사고는 연평균 7,120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10월*에 등산객이 많아지면서 등산사고도 연중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월평균 등산사고 건수(593건) 대비 1.6배 많은 937건 발생

사고 유형으로는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면서 발생하는 실족과 추락이 2,577건(36%)로 가장 많았고, 조난 1,364건(19%), 안전수칙 불이행 1,174건(17%), 개인질환 사고도 848건(12%) 발생하였다.

산림 유형별로는 야산이 3,661건(52%)으로 가장 많았고, 국립공원 2,075건(29%), 군립공원 359건(5%), 도립공원 306건(4%) 순이다.

또한, 등산로 정비가 잘 되어있는 국립공원보다는 상대적으로 야산에서 사고발생이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안전한 가을 산행을 위해서는 산행 전 준비를 철저히 하고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키도록 한다.

산행은 가벼운 몸 풀기로 시작해서, 옆 사람과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의 속도로 움직여 하산할 때까지 적당한 체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고, 경사로를 오르거나 내려올 때는 떨어진 낙엽 등으로 미끄러우니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계절이 바뀌면서 일교차가 커지고 낮 시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어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해서 해가 지기 한 두 시간 전에 마쳐야 하며 특히, 갑작스러운 추위에 대비한 여벌의 옷을 꼭 가져간다.
※‘18.10.21. 일몰: 강릉17:40, 서울17:48, 충주17:44, 정읍17:50
‘18.10.28. 일몰: 강릉17:31, 서울17:39, 충주17:36, 정읍17:42(천문우주지식포털)

아울러, 혼자서 산행을 할 때는 가족이나 주변에 반드시 행선지를 알리고 여분의 휴대전화 배터리도 챙겨간다.

지만석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장은 “자신의 체력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산행은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주의하고, 산행 중이라도 몸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하산해야 한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10-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069 온라인쇼핑몰 ASTERZON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4.03.14
1068 유해물질이 검출된 공기청정기 필터 무상제공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3.12.21
1067 감전 위험이 있는 Miami Carry On 여행용 어댑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3.12.19
1066 말라리아 환자 전년 대비 3.3배 증가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3.06.15
1065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Dove 드라이 샴푸(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2.15
1064 라벨 미표기 참깨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Eva Bold 프로틴 바(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2.15
1063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라이너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1.14
1062 트로판 알칼로이드(tropane alkaloid) 다량 검출된 나초(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09.27
1061 안트라퀴논 잔류 함량이 높은 Kharta 마테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08.26
1060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Eishindo 젤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0.11.23
1059 인공 화학물질이 과도하게 함유된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4.16
1058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이 있는 건조 과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4.15
1057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엿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2.29
1056 카드뮴 최대 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2.20
1055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2.01
1054 ‘무늬만’ 신규사업, 불공정거래 집중조사 및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1.18
1053 일부 어린이제품 제작 뜨개질 키트, 노닐페놀 등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1.12
1052 쇼핑몰 가전제품 요기요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1.04
1051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라벨부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3.09.18
1050 벤조피렌 초과 검출된 ‘해바라기씨유’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3.09.20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