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가을 단풍이 절정에 이르면서 등산객 숫자도 급증하고 있어 산행할 때 실족이나 추락 등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올해 단풍 절정기*는 10월 17일 오대산을 시작으로 조금씩 내려와 10월 25일 월악산과 11월 9일 내장산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 산 전체를 볼 때 80% 정도가 단풍으로 물들었을 시기

관련 통계에 따르면 등산사고는 연평균 7,120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10월*에 등산객이 많아지면서 등산사고도 연중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월평균 등산사고 건수(593건) 대비 1.6배 많은 937건 발생

사고 유형으로는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면서 발생하는 실족과 추락이 2,577건(36%)로 가장 많았고, 조난 1,364건(19%), 안전수칙 불이행 1,174건(17%), 개인질환 사고도 848건(12%) 발생하였다.

산림 유형별로는 야산이 3,661건(52%)으로 가장 많았고, 국립공원 2,075건(29%), 군립공원 359건(5%), 도립공원 306건(4%) 순이다.

또한, 등산로 정비가 잘 되어있는 국립공원보다는 상대적으로 야산에서 사고발생이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안전한 가을 산행을 위해서는 산행 전 준비를 철저히 하고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키도록 한다.

산행은 가벼운 몸 풀기로 시작해서, 옆 사람과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의 속도로 움직여 하산할 때까지 적당한 체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고, 경사로를 오르거나 내려올 때는 떨어진 낙엽 등으로 미끄러우니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계절이 바뀌면서 일교차가 커지고 낮 시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어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해서 해가 지기 한 두 시간 전에 마쳐야 하며 특히, 갑작스러운 추위에 대비한 여벌의 옷을 꼭 가져간다.
※‘18.10.21. 일몰: 강릉17:40, 서울17:48, 충주17:44, 정읍17:50
‘18.10.28. 일몰: 강릉17:31, 서울17:39, 충주17:36, 정읍17:42(천문우주지식포털)

아울러, 혼자서 산행을 할 때는 가족이나 주변에 반드시 행선지를 알리고 여분의 휴대전화 배터리도 챙겨간다.

지만석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장은 “자신의 체력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산행은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주의하고, 산행 중이라도 몸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하산해야 한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10-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069 유리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Freche Freunde 이유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3.01.16
1068 소형부품이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MBAT 장난감 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1.16
1067 단추형 전지가 쉽게 노출되어 질식 위험 있는 LED 귀걸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3.01.16
1066 피부염 및 암을 유발할 가능성 있는 CLARKS 여성용 운동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3.01.16
1065 가전제품 판매 전자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3.01.17
1064 설 명절 선물 구매 시 온라인 부당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1.17
1063 설 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3.01.17
1062 용접 결함으로 분리되어 부상 위험이 있는 Thule 자전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3.01.17
1061 스티어링 휠 조작 불가로 부상 위험 있는 브리지스톤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3.01.17
1060 화상 및 화재 발생 가능성 있는 East 전정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3.01.17
1059 과열되어 화상 입을 가능성 있는 Nexgio 프로젝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3.01.17
1058 커버가 쉽게 제거되어 감전 및 화상 입을 가능성 있는 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3.01.17
1057 감전 위험이 있는 컵워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3.01.17
1056 라벨 미표기 성분(대두) 함유해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PBco 비건 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3.01.17
1055 절연체 열화로 전류 흐를 수 있는 Zojirushi 전기 조리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3.01.17
1054 부력 조절 실패하여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Apeks 다이빙 부력자켓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1.17
1053 감전 위험이 있고 전기 설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Algam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1.17
1052 남성의류 쇼핑몰 매니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23.01.20
1051 휴대폰 텔레마케팅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3.01.25
1050 가정용 화목보일러, 주변 가연물로 인한 화재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3.01.26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