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0월 12일부터 11월 9일까지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co.kr) 「안전부패 근절 이것부터 시작해야」에서 생활 속 안전부패 근절을 위한 국민의견을 접수 받는다.

이번 국민의견 조사는 국민이 일상생활 속에서 체감하는 다양한 안전문제와 안전부패 유발 요인을 확인하고, 그 결과는 안전감찰 소재에 반영되어 안전부패 근절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평소 재난안전 문제에 관심이 있는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행정안전부 누리집「안전부패 근절 이것부터 시작해야」에 의견을 남기거나, 서식을 내려 받아 우편 또는 팩스로 제출하면 된다.

주요 국민의견 조사 분야는 생활적폐 중 하나인 안전부패로 ▲ 생활 속 안전관리 사각지대 ▲ 구조적 안전부패가 유발되는 불합리한 안전제도 ▲ 지역에 토착된 안전부패 방치 또는 묵인하는 유형 등이다.

한편, 안전 위해요인에 대한 일상적인 안전신고는 ‘안전신문고*’로, 부패‧공익신고는 ‘청렴신문고**’로 안내되어, 신속하고 엄정히 처리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 안전신문고 : 재난 및 그 밖의 사고위험으로부터 국민안전을 위해 안전위험 상황을 신고
** 청렴신문고 :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와 공직자의 부정‧부패행위를 신고

접수된 의견은 ‘범정부 안전 분야 반부패협의회’에서 검토해 ‘19년도 안전감찰 및 반부패 이행과제로 선정‧추진하고 그 결과를 공개한다.

류희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고질적인 안전무시 관행과 각종 불법행위 등 안전부패는 우리 사회에 깊게 뿌리내린 일종의 생활적폐라고 볼 수 있다.”라며, “국민들께서 안전부패에 대해 다양한 의견과 제안을 주시면 안전감찰에 적극 반영하겠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10-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73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 가을철 산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7.09.29
3372 국립공원 이용시 사회적 안전거리 준수와 겨울철 안전사고 대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0.11.30
3371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31
3370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2
» 국민의 의견을 들어 안전감찰을 추진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8.10.11
3368 국민청원 검사, 시중 모든 '인공눈물' 무균시험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0.06.29
3367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노니 분말.환 제품'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5.02
3366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3365 국세청 사칭, 이메일・문자메시지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4.01.10
3364 국외 원숭이두창 대비, 위기경보 “관심단계”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6.03
3363 국제거래 소비자의 10% 이상이 소비자피해 경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0.07.29
3362 국표원, 수영복·전격살충기 등 48개 제품 리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5 2017.07.18
3361 국표원, 액체괴물·전기매트 등 132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12.20
3360 국표원, 어린이가방·학용품 등 51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02.27
3359 궁금한 독성정보, 톡스인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2.22
3358 궁금한 화학안전 정보…'화학물질 종합 포털'에서 해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17.06.02
3357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2.08.26
3356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8.26
3355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8.26
3354 규정 준수 문서가 누락된 검정색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04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